목(행정구역)

 

1. 개요


1. 개요



과거 한국행정구역이다.
983년 고려 성종 때 전국을 12개의 목으로 구획한 것이 시초이며,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 대도호부, 도호부, , 과 함께 아래의 행정구역 중 하나였다. 목의 수령은 목사(牧使)라 하였다.
참고로 목으로 지정된 곳들은 모두 지명이 '~주(州)'로 끝난다는 특징이 있다.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 원래는 후한 말 의 자사를 대신하는 지방관의 관명으로 만들어졌던 것을 고려와 조선에서 행정구역의 명칭으로 차용한 것이므로 지명에 주를 붙여야 했다.
다음은 역대 주(州)자가 붙은 고을 일람이다. 보다시피 주가 붙은 모든 고을이 목은 아니었다.
  • 경기도 : 양주, 광주[府][1], 여주, 파주
  • 강원도 : 원주
  • 충청도 : 충주, 청주, 공주, 홍주[2]
  • 전라도 : 전주[府][3], 나주, 광주, 제주, 능주[4], 승주[5]
  • 경상도 : 경주[府][6] , 상주, 진주, 성주
  • 황해도 : 황주, 해주
  • 평안도 : 의주[府][7], 안주, 정주, 삭주[8]
  • 함경도 : 길주
구한말 8도를 23부제로 개편하면서, 전국의 모든 부목군현의 명칭을 '군'으로 통일시켜 잠시 사라졌다. 그러다가 대한제국 시기 13도제가 부활하면서 제주군만이 제주목이란 명칭으로 다시 부활하였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 때 제주목은 다시 제주군으로 개칭되었고, 이로서 '목'이란 행정구역 단위명은 우리 역사에서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되었다.


[府] A B C D [1] 인조 대에 유수부(留守府)가 되었다.[2] 부군면 통폐합 때 결성군(지금의 홍성군 결성면 일대)과 통합해 홍성군이 되었다. 홍주로의 명칭 환원을 추진 중이다.[3] 태종 대에 부가 되었다.[4] 지금의 화순군 능주면 일대이다.[5] 본래 고려시대 12목 가운데 하나인 승주목(昇州牧)이었으나 이후 목의 지위를 잃고 지금의 순천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 일대가 현 순천, 여수, 광양포함되었다는 말이있다.[6] 태종 대에 부가 되었다.[7] 선조 대에 부가 되었다.[8] 이름과 달리 그저 도호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