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태호(조선)

 



<colbgcolor=#694462><colcolor=gold> '''대한제국 순종의 장인 | 순명효황후의 부친
여은부원군 민태호
驪恩府院君 閔台鎬'''
'''군호'''
여은부원군(驪恩府院君)
'''시호'''
충문(忠文)
'''품계'''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본관'''
여흥(驪興)
'''이름'''
태호(台鎬)
''''''
경평(景平)
''''''
표정(杓庭)
'''양부'''
민치삼
'''양모'''
정경부인[A] 기계 유씨(杞溪 兪氏)
'''생부'''
민치오
'''생모'''
정경부인[A] 김해 김씨(金海 金氏)
'''부인'''
파성부부인[B] 파평 윤씨(坡平 尹氏)
진양부부인[B] 진천 송씨(鎭川 宋氏)
의창부부인 의령 남씨(宜寧 南氏)
'''자녀'''
2남 1녀[1]
'''생몰
기간'''
<colbgcolor=#694462> '''음력'''
1834년 ~ 1884년 10월 18일
'''양력'''
1834년 ~ 1884년 12월 5일
1. 개요
2. 대중매체에서
3. 민영환의 양아버지?

[clearfix]

1. 개요


'''민태호 초상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척신(戚臣). 본관은 여흥. 순종의 비인 순명효황후의 아버지이자 순종의 장인이다.
민치오의 아들로 태어나 민치삼의 아들로 입양갔다. 그의 가계는 인현왕후의 아버지 민유중의 후손으로 정확하게는 민유중의 차남 민진원의 자손이었다. 그러나 19세기 무렵에는 한미한 가문으로 전락하여 민태호 역시 그저그런 한량으로 살았다. 그러나 12촌 남매인 명성황후가 왕비로 간택되면서 그의 집안 역시 후광을 받아 먼저 1870년 문과 별시에 응시하여 병과로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해 총융사, 어영대장, 무위도통사, 대제학을 지냈다.
흥선대원군이 실각하고 민승호가 폭발사고로 사망한 후 일족인 민겸호와 함께 명성황후의 측근으로 권세를 누렸다. 1882년 임오군란 때는 구식군인들의 습격을 받았으나, 겨우 목숨을 건졌다. 1883년 종1품 의정부좌찬성을 지냈고 전환국 관리사무를 거쳐 다시 의정부좌찬성에 임명되었다.
1884년 갑신정변 때 고종과 명성황후를 알현하기 위해 경우궁으로 입궁하던 중 참살당했다.
사후 '충문공(忠文公)' 시호를 받고 1907년에 사위 순종이 즉위한 후 이윤용의 상소로 '여은부원군(驪恩府院君)'으로 추증받았다.

2. 대중매체에서


[image]
《명성황후》의 민태호
민승호(김효원 분) 사후부터 등장했다. 소심하지만 권력을 탐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갑신정변 때 목숨을 잃는다.

3. 민영환의 양아버지?


을사조약 직후 자결한 민영환의 양아버지이자 선혜청 당상으로 임오군란 때 피살당한 민겸호의 형으로 잘못 알려진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민영환의 양아버지이자 민겸호의 형 역시 이름이 민태호(閔'''泰'''鎬)로 한글 표기가 같고, 또 예전에는 친척 간의 양자 입적이 흔해서 가계(家系) 따지다가 헷갈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기 때문이다.
일단 구한말 민씨 척족의 핵심 일원들은 다 인현왕후의 아버지 민유중(閔維重)의 자손들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민유중을 기준으로 삼고 간단하게 표를 만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민유중의 장남인 민진후(閔鎭厚) 쪽 후손 :
... 민치록 ― ''민승호'' (입적) ― ''민영익'' (입적)
... 민치록 ― 명성황후 ― 순종
・민유중의 차남인 민진원(閔鎭遠) 쪽 후손 :
... 민치오 ―
... 민치삼 ― ''민태호(閔台鎬)'' (입적) ― , 순명효황후[2]
・민유중의 삼남인 민진영(閔鎭永)[3] 쪽 후손 :
... 민치구 ― 여흥부대부인[4]고종
... 민치구 ― 민태호(閔泰鎬) ― ''민영환'' (입적)
... 민치구 ―
... 민치구 ― 민겸호 ―
촌수를 따져보면, 민유중은 '호(鎬)'자 항렬에게 6대조 할아버지이므로 민태호(閔泰鎬)와 민태호(閔台鎬)는 서로 12촌 지간이다. 명성황후도 마찬가지.
위의 표에서 보듯 민태호 한 명만 헷갈려도 족보가 완전히 꼬여버린다. 이런 문제들을 적절히 섞으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1. '민태호', 민승호, 민겸호, 여흥부대부인은 친형제자매이다.
2. 민영익, 순명효황후는 '민태호'의 자식이다. 민영익은 민승호의 자식이기도 하다.
3. 민영환은 '민태호'의 자식이다. 민겸호의 자식이기도 하다.
4. 민승호는 명성황후의 친정오라버니이고, 그 아들인 민영익은 명성황후의 친정조카이다.
5. 따라서 '민태호', 민승호, 민겸호, 여흥부대부인은 명성황후의 친형제자매이고, 또한 민영익, 순명효황후, 민영환은 명성황후의 친조카이다.
6. 그런데, 여흥부대부인은 고종을 낳고, 명성황후는 그 며느리가 되고 순종을 낳고, 순명효황후는 그 며느리가 되고 순종의 아내가 된다.
7. 그러므로 '''민영익, 순명효황후, 민영환, 고종, 순종모두 4촌지간이다.'''
'''당연히 말도 안되는 소리다.''' 그러므로 이 문서의 민태호는 '''민영환의 양아버지가 절대 아니다.'''
[A] A B 추증[B] A B 추증. 생전에는 정경부인.[1] 친자 민영익민승호의 양자로 갔고, 후사가 없어진 민태호는 21촌 조카뻘인 민영린입양했다.(인현왕후의 5대조 민사용의 아들 대에서 갈라졌다. 민사용의 장남 민여건의 9대손이 민태호이고, 6남 민여검의 10대손이 민영린이다.)[2] 순종의 아내. 황태자비. [3] 민진후, 민진원의 배다른 동생이다.[4] 흥선 대원군의 아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