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령 남씨

 


[image]
'''宜寧 南氏
의령 남씨
'''
}}}
<colbgcolor=#000> '''관향'''
경상남도 의령군
'''시조'''
남민(南敏)
'''중시조'''
남군보(南君甫)
'''집성촌'''
경기도 부천시·성남시·양주시·용인시
충청북도 영동군·음성군·진천군
충청남도 논산시·아산시
전라북도 익산시·정읍시
전라남도 고흥군·담양군·순천시·신안군·여수시
경상북도 구미시·상주시·안동시·영양군·울진군·청도군
경상남도 밀양시·의령군·진주시·창녕군·창원시·하동군
강원도 홍천군
황해도 연백군
평안남도 대동군
함경북도 경흥군·부령군·종성군
'''인구'''
162,729명(2015년)
'''링크'''
남씨대종회
1. 개요
2. 인구
3. 집성촌
3.1. 강원·경기·충청
3.2. 전라
3.3. 경상
3.4. 북한
4. 인물
4.1. 조선시대
4.2. 근·현대
4.2.1. 22세 (종(鍾), 정(廷) 항렬)
4.2.2. 23세 (연(淵), 희(熙) 항렬)
4.2.3. 24세 (상(相) 항렬)
4.2.4. 25세 (우(祐) 항렬)
4.2.5. 26세 (기(基) 항렬)
4.2.6. 27세 (현(鉉) 항렬)
4.2.7. 28세 (택(擇), 윤(潤) 항렬)
4.2.8. 29세 (식(植) 항렬)
4.2.9. 30세 (병(炳) 항렬)
4.2.10. 세수 미상
5. 관련 항목


1. 개요


경상남도 의령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증보문헌비고에 의하면, 우리나라 남씨의 시조 남민의 후손으로 고려대장군을 지낸 남진용(南鎭勇)에게는 세 아들이 있었는데, 이중 차남 남군보(南君甫)는 고려 충렬왕 때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냈으며, 이후 의령 남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하며, 그 밖에 장남 남홍보(南洪甫)는 영양 남씨의 중시조가 되었고, 3남 남광보(南匡甫)는 고성 남씨(固城南氏)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한편, 남군보의 또다른 후손 남효원(南孝元)은 조선 중종 때 충청도 수군절도사를 지냈으며, 의령 남씨의 한 파를 이루었다고 위 책에 전한다.
이후 고려조에서 밀직부사를 지낸 증손 남을번(南乙蕃)과 그의 아들 남재남은조선 태조를 도와 조선 개국에 큰 공을 세워 개국공신에 녹훈되면서부터 중앙 정계의 중추에 진출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조선시대 정승 6명과 대제학 6명, 판서 24명을 배출했다.# 남이 장군과 생육신 남효온, 숙종영의정을 지낸 남구만 등도 의령 남씨이다.
한편 남을번의 동생인 남을진(南乙珍)은 고려 말 참지문하부사(參知門下府事)를 지내다가 조선이 개국하자 양주남선굴(南仙窟)에 들어가 은거하였는데, 그의 증손자가 바로 남곤이다.
남군보의 후손으로서 조선시대 봉군(封君)된 사람은 다음과 같다.

● 남재 - 태종 때 영의정에 올랐으며, 의령부원군(宜寧府院君)에 봉해졌다.

● 남은 - 태조 때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올랐으며, 의성군(宜城君)에 봉해졌다.

● 남지 - 세종 때 우의정, 문종/단종 때 좌의정을 지냈으며 의성군(宜城君)에 봉해졌다.

● 남휘(南暉) - 남재의 손자로 남이의 조부이다. 태종의 4녀 정선공주와 혼인하여 부마가 되어 의산군(宜山君)에 봉해졌다.

● 남치원(南致元) - 남재의 5대손으로 성종의 서4녀 경순옹주(慶順翁主)와 혼인하여 부마로서 의성위(宜城尉)에 봉해졌다.

● 남섭원(南燮元) - 남재의 5대손으로 성종의 서9녀 휘정옹주(徽靜翁主)와 혼인하여 부마로서 의천위(宜川尉)에 봉해졌다.

● 남찰(南巀) - 남은의 5대손으로 선조 때 군자감첨정(軍資監僉正)에 올랐으며, 평난공신(平難功臣)#으로 의계군(宜溪君)에 봉해졌다.

● 남이흥(南以興) - 남재의 8대손으로 인조 때 평안도 병마절도사에 올랐으며, 진무공신(振武功臣)으로서 의춘군(宜春君)에 봉해졌다.

● 남이웅(南以雄) - 남재의 8대손으로 인조 때 좌의정에 올랐으며, 진무공신으로서 춘성부원군(春城府院君)에 봉해졌다.

● 남두북(南斗北) - 남재의 9대손으로 보사공신(保社功臣)으로서 의풍군(宜豊君)에 봉해졌다.

●남연년-양정공 남좌시의 후손으로 청주영장을 지냈고 이인좌의 난을 진압하다가 전사하였다.충장공 시호를 받았고 숭선군에 추봉되었다.

별록 고려시절
남효윤:남군보의 아들로 판도판서로선력좌리공신추봉되고 의산군에 봉해졌다
남훈:남효윤의 아들로 삼중대광을 지내고 의춘군에 봉해졌다
남대번:남훈의 아들로 첨의부 좌정승등을 지내고 시호는 충질공,장함부원군에 봉해졌다.
남좌시:남대번의 아들로 정당문학, 진현관 대제학을 지냈고 시호는 양정공,의성군에 봉해졌다.


2. 인구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의하면, 의령 남씨는 162,729명으로 집계되었다.
다만, 기사를 참조하면 잘못 기재된 성씨와 본관이 상당히 많다는 걸 알 수 있는데, 2015년 인구조사에서도 조사원 또는 담당 공무원의 실수로 잘못 집계된 본관들이 상당히 많다.
의령을 잘못 기재한 것으로 추정되는 본관들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의령(宜寧)의 '''의(宜)'''를 '''선(宣)'''으로 잘못 판독한 것으로 추정. 寧은 녕, 령, 영 등으로도 읽힘. - 선녕 1,583명, 선령 766명, 선영 2,452명
동남 방언의 영향으로 의령을 소리나는 대로 읽은 것을 본관에 집계한 것으로 추정. - 어령 19명, 어룡 6명, 어영 15명, 을녕 75명, 을량 12명, 을령 43명, 을영 106명
● 의령의 령(寧)을 잘못 기재한 것으로 추정. - 의녕 7,955명, 의룡 14명, 의영 1,206명
● 의령의 고려 때 이름 의춘(宜春) - 의춘 56명
● 성씨 남(南)의 한자를 잘못 기재 - 의령 남(男)씨 7명
※ 이들 본관을 의령 남씨에 합산하여 집계하면 총 177,044명이다. 남씨의 본관이 대개 의령, 영양, 고성, 남원 등 4개가 있는 것으로 보는 반면 2015년 통계에는 139개의 본관이 나타났으므로 잘못 집계된 의령 남씨의 숫자는 훨씬 더 많을 수도 있을 것이다.

3. 집성촌



3.1. 강원·경기·충청


  •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장평리
  •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여월동·원종동·중동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하패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갈담리
  • 충청북도 영동군 학산면 범화리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초천리·신천리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원덕리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
  • 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 검천리
  •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남산리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시전리

3.2. 전라


  • 전라북도 정읍시 입암면 마석리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삼담리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어량리
  • 전라남도 고흥군 과역면 호덕리
  •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가산리
  • 전라남도 여수시 오림동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월계리
  •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압곡리
  • 전라남도 순천시 월등면 운월리
  •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 대기리
  • 전라남도 영광군 군서면 송학리

3.3. 경상


  •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문암리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서부리
  • 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 신사리,신구리,금학리
  •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매화면
  • 경상북도 청도군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안법리
  •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하리
  • 경상남도 의령군 유곡면 칠곡리
  • 경상남도 의령군 정곡면 성황리[1]
  • 경상남도 진주시 진성면 대사리
  • 경상남도 창녕군 부곡면 구산리·학포리
  •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성내리[2]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금암리[3]
  •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전도리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애치리

3.4. 북한


  • 황해도 연백군 괘궁면 생금동
  • 평안남도 대동군 율리면 추빈동
  • 함경북도 경흥군 신안면 명호동
  • 함경북도 부령군 관해면 소청동
  • 함경북도 종성군 용계면 연산동·봉산동

4. 인물



4.1. 조선시대



4.2. 근·현대



4.2.1. 22세 (종(鍾), 정(廷) 항렬)



4.2.2. 23세 (연(淵), 희(熙) 항렬)



4.2.3. 24세 (상(相) 항렬)



4.2.4. 25세 (우(祐) 항렬)



4.2.5. 26세 (기(基) 항렬)



4.2.6. 27세 (현(鉉) 항렬)



4.2.7. 28세 (택(擇), 윤(潤) 항렬)



4.2.8. 29세 (식(植) 항렬)



4.2.9. 30세 (병(炳) 항렬)



4.2.10. 세수 미상



5. 관련 항목



[1] 독립유공자 남상순·남병우·남종우가 이 마을 출신이다.[2] 독립유공자 남경명이 이 마을 출신이다.[3] 독립유공자 남병희가 이 마을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