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데기

 



[image] [1]
영어: pupa / chrysalis[2]
일어: 蛹(さなぎ)
한자:
인도네시아어: kepompong
에스페란토: pupo / krizalido
1. 개요
2. 상세
3. 식용
4. 매체에서


1. 개요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애벌레(유충)에서 어른벌레(성충)로의 탈바꿈을 준비하기 위한 중간 단계. 이 단계는 성충의 몸 구조가 유충의 몸 구조로부터 새로이, 그리고 완전하게 만들어진다. 번데기라는 휴지기 껍질 안에 완전히 발육한 성충이 들어있는 형식이다. '고치', 'cocoon'은 주로 나비류의 번데기가 만드는 주머니를 말하지, 번데기 자체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사람의 성장과정에 비유하면 사춘기를 포함한 청소년기.

2. 상세


번데기 상태는 애벌레의 몸에서 어른벌레의 몸이 되는 중요한 시기로 이 때 대개의 곤충은 무방비해지므로 쉽게 죽는 경우가 많다. 또, 번데기는 애벌레나 어른벌레에 비해 굉장히 민감하기도 하니 곤충의 사육시 번데기가 되었을때는 크게 흔든다던가 스트레스를 주면 쉽게 죽으므로 주의하자.
번데기 상태에서는 아무 것도 먹지 않고 가만히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자극을 주면 대다수 곤충의 번데기는 배만 꿈틀거려 몸을 보호하려는 듯한 행동을 보인다. 다만 곤충에 따라서 헤엄치는 번데기(장구벌레), 땅을 파는 번데기(등에의 일종) 등 움직임이 격한 번데기 역시 존재한다. 또한 나비 번데기들도 일정 충격이 가해지면 성질 뻗쳐서 배를 이리 저리 흔드는 등 상당히 과격하게 반응한다. 무당벌레의 번데기는 건들면 천적(개미류가 다수)을 쫓아내기 위해 몸을 급작스레 들어올린다. 특히 숙주를 기생하는 곤충(특히 기생벌)은 번데기에겐 악마같은 존재.
여러 종류의 번데기형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 모두 생물적 분류가 달라도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번데기는 나용(Exarate)의 모습으로 되어있다. 다리, 날개, 더듬이 등 여러 부속지들이 몸에 완전히 밀착되어있지 않다. 나머지 번데기들은 피각나용(Obtect)라 하여 부속지들이 단단한 큐티클 밑에 몸 안에 싸여 보호받는다. 나용은 관절형 큰턱이 존재해, 고치를 자를 수 있게 하거나, 관절형이 아닌 경우에는 먼저 우화하고 큰턱으로 고치나 다른 부속지 부위의 큐티클을 자르고 탈출한다. 파리 대부분은 애벌레 시기 허물이 탈피되지 않은 상태로 각질화되는 위용의 형태로 번데기 자신을 보호한다. 나방이나 날도래, 풀잠자리, 꽃무지의 경우 고치를 만든다. 호랑나비과 나비 중 일부 종도 좀 엉성한 고치를 만들기는 한다.
"번데기 앞에서 주름 잡는 격이다"라는 속담이 있다. 뜻은 자기보다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 앞에서 잘난체 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굳이 주름인 것을 보면 여기서 말하는 번데기는 2번에서 언급되는 누에나방의 번데기일 듯 하다.
번데기에서 성충으로 변하는 과정인 우화는 정말 극적이다. 단순히 몸이 변형되어 애벌레에서 성충이 되는게 아니라, 애벌레였던 몸이 완전히 녹아 번데기가 되고, 그 액체 단백질을 바탕으로 성체로 재조립되는 것이기 때문.[3] 이렇게 극적인 변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험 결과 성충은 애벌레 시절의 기억까지 그대로 가지고 있다고 한다.
나방의 번데기로 우화 관련 실험을 한 적이 있다. 3개의 번데기를 반으로 가르고 하나는 절단면을 완전 봉쇄, 하나는 상하로 나뉜 절단면을 봉쇄하고 파이프 하나로 연결한 상태, 파이프로 연결하는건 같지만 파이프 중간에 이물질로 막은 상태로 우화를 시켰는데, 완전 밀폐된 개체는 반만 우화하였고, 파이프가 막힌 개체는 우화 실패, 파이프로 연결된 개체는 파이프가 꽂힌 상태로 우화하였다. 그리고 그 파이프에는 신경 한다발이 상하체를 연결하고 있었는데, 날개짓을 할때 무게를 버티지 못하고 끊어져 즉사했다고 한다. 혐짤 주의.

3. 식용


누에나방의 번데기는 음식으로 소비되고 있다. 번데기(음식) 문서 참고.

4. 매체에서


[image]
일본 특촬물 이나즈맨에서 주인공이 이나즈맨으로 변신하기 전 단계로 '''사나기맨'''이 존재한다. 존재의의는 이나즈맨으로 변신하기 전까지 기를 모으는 중간과정... 그래서 맷집이 강한데, 그렇게 활약이 두드러지는 것이 아니라 샌드백 취급을 당한다. 특촬물 히어로라고는 상상하기 어려운 안습한 외모도 특징적.
포켓몬스터에서도 번데기형 포켓몬이 등장한다. 단데기, 딱충이, 데기라스, 실쿤, 카스쿤, 분떠도리. 그런데 번데기들 중 움직일 수 있는 것은 단데기와 데기라스, 분떠도리 뿐이다. 5세대에 등장한 두르쿤은 미묘하다. 분명히 번데기같기도 한데 그냥 몸을 잎으로 감싼 벌레라…. 멀쩡히 돌아다니며 잎으로 감쌌다 해도 원래 몸이 감싸져있기보다는 자신이 양손으로 감싸매고 있는 듯한 모습이다.
일부 일본만화에서는 파워업하는 모습으로 표현되고는 한다. 고치 참고.

[1] 이 사진에 나와있는 번데기는 끝검은왕나비의 번데기다.[2] 나비 한정.[3] 3D로 번데기 내부를 촬영한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완전히 녹는건 아니라고 한다. 호흡기관과 소화기관은 번데기 상태에서도 유지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