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블레이드 버스트/발매제품
1. 개요
베이블레이드 버스트의 발매/발매 예정 제품 일람. 문서 작성 양식 혹은 읽는 방식은 아래의 룰을 따른다 :
- 국내 미발매 제품은 ★
- 국내 발매 예정인 경우 ☆
- 일본 발매 예정인 경우 ★★
- 국내 미발매 제품과 일본 발매 예정이 겹칠 경우, 두 마크를 한꺼번에 붙인다.
- 국내 단종 제품은 ※
- 주인이 있는 베이의 경우 나무위키 각주 시스템으로 표시한다.
2. 싱글 레이어
2.1. 스타터 ※
2.2. 부스터 ※
2.3. 세트 ※
3. 듀얼 레이어[30][31][32]
3.1. 스타터
3.2. 부스터[42]
3.3. 세트
4. 갓 레이어
4.1. 스타터
4.2. 부스터
4.3. 세트
5. 초Z 레이어
5.1. 스타터
5.2. 부스터
5.3. 세트
6. 진검 레이어
진검시리즈의 제품들은 초기 3인방[130][131] 과 랜덤 레이어 시리즈를 제외하고는 모두 1/72확률로 골드 터보 버전이 들어있다.[132]
6.1. 스타터
6.2. 부스터
6.3. 세트
7. 슈퍼킹 레이어
7.1. 스타터
7.2. 부스터
7.3. 세트
8. 랜덤 레이어 컬렉션 ★[176][177][178]
9. 한정
10. 스타디움 & 툴
[1] 2기 라인에 해당하는 2016년 4월 2일 발매제품이후로 디스크와 드라이버의 이름이 이니셜로 표기된다. 한국에서도 애니메이션 방송과 동시에 정식 발매를 시작했다.[2] 듀얼 레이어들은 기존의 레이어 이름에 앞에 기존 레이어의 첫번째 알파벳과 똑같이 시작하는 단어를 앞에 붙여 사용한다.[3] 여담으로 해당제품의 스타터 제품에 대부분 들어있는 라이트 런처 블랙의 경우 TVA에서도 가끔 액스트라 캐릭터들이 해당 라이트 런처 블랙을 들고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 있다. 다만 갓시리즈에서는 대부분 주연들처럼 베이런처를 사용하는 캐릭터들이 많았으며 슈퍼킹 시리즈에서는 색상이 없는 하얀색의 슈퍼킹 베이런처를 사용한다.[4] 이 중에서 라이징 라그나로크, 카이저 케르베우스는 국내에서는 스타터로서 정발되었다.[5] 캡슐뽑기 가샤퐁 제품으로 5개의 레이어 중 한개가 들어있다.[6] 랜덤 레이어의 레어 모델은 부스터 세트나 부스터 단품으로 발매되는게 확정적이다.[7] 랜덤레이어VOL.1부터는 국내출시[8] DX스타터는 베이로거가 포함되어 있다.[9] 국내 정발판에는 베이로거 삭제[10] 사용자는 아오이 바루토[11] 사용자는 쿠레나이 슈[12] 사용자는 키야마 란타로[13] 사용자는 쿠로가미 다이나[14] 디스크 정발명은 "아머"[15] 사용자는 코무라사키 와키야[16] 사용자는 샤쿠엔지 카이자[17] 발키리 윙 액셀의 저가판. 로거가 빠지고, 런쳐도 프로토타입으로 교체했다.[18] 사용자는 아오이 바루토[19] 스프리건 스프레드 퓨전의 저가판. 마찬가지로 로거 삭제, 프로토 런처로 교체.[20] 사용자는 쿠레나이 슈[21] 사용자는 난스이 유고[22] 사용자는 긴바 오로치[23] 사용자는 콘다 호우지[24] 사용자는 미나모 나오키[25] 한국판에는 베이로거대신 런처 그립이 들어있다.[26] 사용자는 아오이 바루토[27] 사용자는 쿠레나이 슈, 아오이 바루토[28] 한국판에는 롱와인더 대신 일반 와인더가 들어있다.[29] 사용자는 이부키 우쿄[30] 2기 라인에 해당하는 2016년 4월 2일 발매제품이후로 디스크와 드라이버의 이름이 이니셜로 표기된다. 한국에서도 애니메이션 방송과 동시에 정식 발매를 시작했다.[31] 듀얼 레이어들은 기존의 레이어 이름에 앞에 기존 레이어의 첫번째 알파벳과 똑같이 시작하는 단어를 앞에 붙여 사용한다.[32] 여담으로 해당제품의 스타터 제품에 대부분 들어있는 라이트 런처 블랙의 경우 TVA에서도 가끔 액스트라 캐릭터들이 해당 라이트 런처 블랙을 들고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 있다. 다만 갓시리즈에서는 대부분 주연들처럼 베이런처를 사용하는 캐릭터들이 많았으며 슈퍼킹 시리즈에서는 색상이 없는 하얀색의 슈퍼킹 베이런처를 사용한다.[33] 후속계 레이어들은 기존의 레이어 이름에 앞에 기존 레이어의 첫번째 알파벳과 똑같이 시작하는 단어를 앞에 붙여 사용한다.[34] 사용자는 아오이 바루토[35] 사용자는 쿠레나이 슈[36] 사용자는 코무라사키 와키야[37] 사용자는 샤쿠엔지 카이자[38] 폭전슛 시리즈의 드래셀과 비슷하게 베이 자체에 2개의 쇠구슬이 장착되어 있어 지구력과 방어력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39] 사용자는 잭 더 선샤인[40] 폭전슛 베이블레이드의 드래곤과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의 엘드라고를 잇는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최초의 좌회전 베이이다.[41] 사용자는 시라사기죠 루이[42] 이 중에서 라이징 라그나로크, 카이저 케르베우스는 국내에서는 스타터로서 정발되었다.[43] 사용자는 키야마 란타로,키야마 란지로[44] 사용자는 미도리카와 켄스케[45] 사용자는 쿠로가미 다이나[46] 사용자는 콘다 호우지[47] 사용자는 긴바 오로치[48] 사용자는 난스이 유고[49] 사용자는 이부키 우쿄[50] 사용자는 노바 넵튠만 미나모 나오키[51] 홈플러스 한정[52] 사용자는 쿼드 케찰카틀만 키미도리 쿠온[53] 사용자는 아즈키 벤[54] 사용자는 기간트 가이아만 차가케 고[55] 사용자는 아이자와 진[56] 사용자는 야마부키 아키라[57] 정발명은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스타트 세트. 베이블레이드 스타트 대시 세트와 같이 국내 정발판에서는 베이로거가 삭제, 대신 런처그립이 동봉되어 있다. 그리고 빅토리 발키리 B.V의 스페셜 컬러 버전이 동봉되어 있다.[58] 사용자는 아오이 바루토[59] 정발명은 듀얼 스핀 베이스태디움 DX 세트. 국내에서 발매가 안 된 엔트리 패키지에 동봉된 프로토 런처가 들어있다.[60] 사용자는 코믹스 한정으로 하인리히, 애니메이션판에는 재기 드라이버만 노먼 타마[61] 사용자는 코믹스 한정으로 장고 마타도르[62] 사용자는 코믹스 한정으로 스탠 햄버그[63] 고유번호를 보면 알겠지만 한국 내수용 한정판이며 컬러는 역시 '''일본에서는 볼 수 없는 컬러'''였다. 현재 대부분의 매장에서 구하기가 힘드며 있어도 소량이라 구매를 원한다면 서두를 것을 권장한다![64] 사용자는 카이저, 강산[65] 사용자는 아오이 바루토[66] 참고로 '''롤러가 부서질 수도 있다고 한다!.[67] 사용자는 시스코 칼라일[68] 사용자는 프리 데라호야[69] 참고로 출시되기 전에 갓 칩이 분리된다고 했었는데 후에 수정된 정보로는 갓 칩의 분해가 불가능하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초기 정발판에 레전드 스프리건 정발판의 뒤쪽의 설명을 보면 ''메탈 갓 칩은 교체 가능합니다." 라고 써있는 기괴한 모습이... 현재는 "메탈 갓 칩은 분리할 수 없습니다."라는 정상적인 문구로 바뀌었다. 차기제품인 스프리건 레퀴엠도 마찬가지로 분리가 불가능한 일체형 갓 칩을 장착했다.[70] 사용자는 레드 아이, 쿠레나이 슈[71] 사용자는 샤쿠엔지 카이자[72] 이 제품은 디스크가 레이어와 일체형이다. 디스크는 9(나인).[73] 사용자는 시라사기죠 루이[74] 제타 대쉬 드라이버도 해당.[75] 제타 드라이버는 베이블레이드 시리즈에서 최초로[74] 지구력(스태미너), 공격형(어택), 디펜스형으로 변형이 가능한 밸런스 드라이버로, 메탈파이트 베이블레이드의 베리 아레스D:D의 델타 드라이브 버텀을 오마주한 것이다.[76] 발매 직후 공개된 정보인데 스타터 제품인데도 1/72 확률로 스프리건 레퀴엠 레어어가 블랙 버전으로 동봉되있다고 한다. 블랙 버전이 들어있는 제품엔 초 레어에 당첨된 것을 축하한다는 종이가 들어있다고...[77] 국내에서는 B-101 랜덤 부스터 Vol.9와 더불어 2018년 3월 초에 발매되었다.[78] 사용자는 쿠레나이 슈[79] 사용자는 키야마 란타로[80] 사용자는 토네이도 와이번만 코무라사키 와키야[81] 사용자는 쿠자 아커만[82] 사용자는 쿠로가미 다이나[83] 사용자는 맥시멈 가루다만 가젬 마다르[84] 사용자는 죠슈아 분[85] 사용자는 잭 더 선샤인[86] 사용자는 미도리카와 켄스케, 하지만 극중 미등장[87] 참고로 박스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갓 어빌리티는 체인 프로텍션.[88] 사용자는 셸터 레굴루스만 손 루웨이[89] 사용자는 보아 알카세르,디아볼로스를 만들기 전의 아카네 델타(코로코로 코믹스 한정,애니에서는 다른 베이 사용.)[90] 사용자는 클리오 드론[91] 아! 참고로 딥 카오스는 전에 '''듀얼 레이어 트리플 부스터 세트에서 나왔던 싱글 레이어 카오스의 갓 버전이다!''' 듀얼 레이어 시리즈를 건너뛰고 바로 싱글 레이어에서 갓 레이어로 넘어온 최초의 베이. 특히 아크 바하무트는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시리즈의 네번째 '''좌회전''' 베이이다.[92] 사용자는 쿠르츠 바라타이얼[93] 드라이버인 얼티메이트 리부트는 갓 발키리 완전체 프로젝트 일환으로 코로코로 코믹스 6월호에서 10월호까지의 응모권을 각각 모아 타카라에 보내야만 구할 수 있었어서 아마존 재팬이나 일옥 등에서 최소 5,000엔, 최대 15,000엔까지 급등한 파츠이다.[94] 색상 또한 응모품과 차이점은 메탈릭 블루에서 클리어 블루로 바뀌었다는 것 외에는 차이가 없어서 갓 발키리와 궁합 또한 최상.[95] 사용자는 노먼 타마[96]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갓의 마지막 베이이지만 초제츠에서 등장한다.[97] 사용자는 아오이 토코나츠[98] 사용자는 아오이 바루토[99] 이 세트에는 스트라이크 갓 칩이 들어있는 "스트라이크 갓 발키리.무겐"이 포함되어 있다. 스트라이크 갓 칩은 갓 발키리의 바운드 어택을 봉인하고, 새 능력인 갓 슬래시란 갓 어빌리티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무겐 드라이버로 발키리를 무한 회전하게 한 다음 그걸 샌드백 삼아 노는 컨셉의 세트. 참고로 스트라이크 갓 칩과 베이스타디움의 회전판은 분리해서 새로운 "무겐 토네이도 모드"로 번경해서 2명에서 최대 4명 정도까지 놀이가 가능하다.[100] 23화에서 등장한 그 무겐 베이스타디움이 바로 이 제품이지만 베이가 다르다(애니메이션에서는 검은 갓 발키리, 코믹스에서는 사신 아마테리오스).[101] BK-01과 더불어 한국 한정판이며 전작의 VS 듀얼 배틀 세트처럼 색상이 상반되는 세트 한정 컬러가 들어있다.[102] 사용자는 강산, 시스코[103] 사용자는 아오이 바루토[104] 사용자는 아카바 아이가[105] 사용자는 시라사기죠 루이[106] 사용자는 파이[107] 사용자는 쟝 보가드[108] 사용자는 프리 데라호야[109] 사용자는 아오이 바루토[110] 사용자는 아카바 아이가[111] 사용자는 스미에 후부키[112] 사용자는 키야마 란지로[113] 사용자는 고슈인 스오우[114] 사용자는 오 호이[115] 사용자는 라반 베노[116] 사용자는 카일 하킴[117] 우리나라에서도 발매된 이 세트는 모종의 이유로 인해 울버그가 '''하운드 도그'''로 색깔, 스티커, 이름이 전부 바뀌었고, 해저드 케르베우스는 해'''자'''드 케르베우스로 발번역되었다. 영실업이 울버그를 제대로 수입하지 못한 이유는 탑블레이드의 판권에 대한 '''손오공과의 저작권 문제'''로 추정되나, 영실업이 정확한 사유를 밝히지 않아서 사람들에게 욕을 먹었다.[118] 부스터 첫 대시 파츠 수록[119] 사용자는 하츠 [120] 소유자는 초Z 스프리건, 오브 이지스 각각 쿠레나이 슈, 이벨 옥스포드.[121] 오브 이지스의 디스크는 레어 베이 오리하르콘의 디스크인 아우터.(!)[122] 오브 이지스가 영실업의 병크로 인해 '''얼'''브 이지스라는 괴상한 이름으로 발번역되어 들어왔다. [123] 오른쪽에 있는 빨간거는 초Z 스프리건의 회전 방향을 바꾸는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이다.[124] 여기서 엠페러 포르네우스의 레이어를 잘보면 초록색 레벨칩이 끼워져있다.(!!)[125] 우리나라에서도 발매된 이 랜덤부스터는 놀랍게도 울버그를 '''하운드 도그'''로 바꾼 것도 모자라, 랜덤부스터 9에서 제대로 냈던 드랜져 플레임을 '''윙 팰컨'''으로 스티커, 이름을 바꿨다. 이것도 역시 트리플 부스터 세트처럼 탑블레이드의 판권에 대한 '''손오공과의 저작권 문제'''로 인해 바뀐 걸로 추정되나, 마찬가지로 정확한 사유를 밝히지 않아서 영실업은 사람들에게 더욱 더 욕을 먹었다.[126] 사용자는 키트 로페즈 [127] 사용자는 파이[128] 판권으로 인해 국내에선 클로 타이거[129] 사용자는 아오이 바루토,아카바 아이가[130] 에이스 드래곤,슬래시 발키리,무신 아수라[131] 단 에이스 드래곤은 5개의 파츠를 모두 다른방식으로 풀었고,슬래시 발키리도 블릿츠디스크를제외한 나머지 파츠모두 골드터보버전을 풀었다.그리고 무신아수라도 레이어를 이벤트로 풀었다.[132] 다만 랜덤부스터에 들어있는 골드 터보는 베이스만 골드 터보 버전이다.[133] 사용자는 고류 드럼[134] 사용자는 킨도 후미야[135] 레이어 진검칩 일체형[136] 사용자는 아카네 델타[137] 사용자는 아카네 델타[138] 사용자는 아오이 바루토[139] 사용자는 쿠사바 아마네[140] 판권으로 인해 국내에선 플래시 슬레이프닐[141] 사용자는 루리카와 죠[142] 사용자는 하이지마 로딘[143] 판권으로 인해 국내에선 나이프 리저드[144] 사용자는 팟 호프[145] 사용자는 쿠레나이 슈, 작중에는 미등장[146] 사용자는 블린트 데보이[147] 사용자는 아카바 아이가[148] 판권으로 인해 국내에선 아쿠아 레비아단[149] 제네시스의 사용자는 그윈 로니, 아포칼립스의 사용자는 아서 퍼시벌[150] 아포칼립스와 제네시스는 신규 레이어 시스템을 탑재하여 베이스, 웨이트, 가친코칩 일체형 레이어이며 버스트되지 않는 무한 락을 지녔다.[151] Hy 드라이버는 디스크 일체형 드라이버로 모터가 내장된 전동 드라이버다.[152] 사용자는 고류 드럼[153] 사용자는 그윈 로니 다만 빅뱅 아머의 경우 아서 퍼시벌도 사용한다.[154] 사용자는 쿄류 드럼, 아오이 바루토[155] 국내명은 베어리언트 루시퍼[156] 사용자는 렌 발할라[157] 사용자는 아사히 휴우가[158] 사용자는 아사히 히카루[159] 사용자는 키야마 란타로 키야마 란지로 다만 란지로의 경우 슈퍼킹 칩과 링의 색상이 서로 반전이 되어있다(흰색 글라이드 링,주황색 라그나로크 칩)[160] 사용자는 아오이 바루토[161] 국내명은 카스 사탄[162] 커스 사탄의 사용자는 시스코 칼라일이며 글라이드 하이페리온의 하얀색 글라이드 링과 커스 라그나로크의 주황색 슈퍼킹 칩은 키야마 란지로가 사용한다.[163] 사용자는 프리 데라호야[164] 사용자는 시라사기죠 루이[165] 사용자는 코믹스 한정으로 아카네 델타 특이하게도 데스 디아볼로스와 어비스 디아볼로스 두 베이를 사용한다.[166] 사용자는 코류 드럼[167] 사용자는 쿠레나이 슈[168] 우리나라에서도 발매할 예정인 이 랜덤부스터에 수록된 드래곤 빅토리.2E.Et와 드래이거 벌컨.0.HJ'는 판권으로 인해 파이어 리자드와 팽 타이거로 바꿨다. 이것도 역시 탑블레이드의 판권에 대한 손오공과의 저작권 문제로 인해 바뀐 걸로 추정되나, 마찬가지로 정확한 사유를 밝히지 않아서 영실업은 사람들에게 더욱 더 욕을 먹었다.[169] 사용자는 아카바 아이가이며 애니메이션 작중에서는 검은색 아킬레스의 노란색 인피니트 실드도 사용한다.[170] 사용자는 렌 발할라[171] 사용자는 쿠로가미 다이나 다만 애니메이션 에서는 미등장.[172] 사용자는 코무라사키 와키야[173] 사용자는 아사히 휴우가 아사히 히카루 다만 컬러링이 스페셜 ver이라 조금 다르므로 문서 링크는 표기하지 않는다.[174] 골드색이 우회전이며 실버색이 좌회전이다. 사실 조금 억지겠지만 쉽게 아는 방법이 있는데 골드색 롱 베이런처의 추가 도색은 빨간색으로 되어있으며 하이페리온(우회전)의 전체 도색은 빨간색이다. 마찬가지로 실버색도 추가 도색이 파란색으로 되어있으며 헬리오스(좌회전)도 전체 도색이 파란색으로 되어있는걸 이용해 구별을 할수가 있다.[175] 하이페리온과 롱 슈퍼킹 베이런처 R의 사용자는 아사히 휴우가 헬리오스와 롱 슈퍼킹 베이런처 L의 사용자는 아사히 히카루[176] 캡슐뽑기 가샤퐁 제품으로 5개의 레이어 중 한개가 들어있다.[177] 랜덤 레이어의 레어 모델은 부스터 세트나 부스터 단품으로 발매되는게 확정적이다.[178] 랜덤레이어VOL.1부터는 국내출시[179] B-57 트리블 부스터 세트에 카오스.O.G (오벌 자이로) 모델로 재록[180] B-46 부스터 오벨리스크 오딘.T.X (트리플 익스트림) 모델로 재록[181] 사용자는 긴바 오로치[182] B-69 부스터 제일 요르문간드.I.Cy (인피니티 사이클) 모델로 재록[183] 사용자는 아이자와 진[184] B-80 랜덤 부스터 Vol.6에서 익시드 이블 아이.G.At (그라비티 아토믹) 모델로 재록[185] B-90 3on3 배틀 부스터 세트에서 매드 미노보로스.Q.Q (쿼터 퀘이크) 모델로 재록[186] B-90 3on3 배틀 부스터 세트에서 가디언 케르베우스.H.R (헤비 리볼브) 모델로 재록[187] 사용자는 미도리카와 켄스케, 하지만 극중 미등장[188] B-102 부스터 트윈 네메시스 3H.Ul (쓰리 히트 얼티밋 리부트) 모델로 재록[189] 사용자는 노먼 타마[190] B-103 부스터 스크류 트라이던트 8B.Wd (에이트 범프 웻지) 모델로 재록[191] 사용자는 아오이 토코나츠[192] B-121 초Z 트리플 부스터 세트 해저드 케르베우스 7.At (세븐 아토믹) 모델로 재록[193] 사용자는 카일 하킴[194] B-125 초Z 커스터마이즈 세트 오브 이지스 Ω.Qs (아우터 퀘스트) 모델로 재록[195] 사용자는 이벨 옥스퍼드 [196] B-149-2 드레드 바하무트.7W.Om 丸 모델재록[197] 사용자는 블린트 데보이[198] 이 랜덤 레이어는 진검 칩, 웨이트, 베이스가 모두 랜덤으로 나온다. 다시 말해, 진검 칩이 오딘으로 나온다고 해도 베이스가 그랜드, 웨이트가 멸이 나올 수 있는 것이다.(다만 넉아웃 베이스가 나올 시 무조건 웨이트는 환이 나온다.) 참고로 패키지에서 완전한 레어가 나올 확률은 1/24이다.[199] 2015 도쿄장난감쇼에서 선행발매한 베이들과 함께 판매했다.[200] 3천 베이포인트를 획득해야 1회 도전 찬스가 주어지는 레어 베이.[201] 베이터미널에서 게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레어베이. 게임에서 이기면 일정 확률로 기기 아래에 부착된 가챠기계를 통해 나온다. 3개의 부품이 나눠져 있기 때문에 최소 3번은 굴려야 하나의 베이가 완성된다. 그나마 베이터미널은 레이어만 있다면 무료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오리지날 아마테리오스보단 난이도가 낮다. 문제라면 베이터미널이 쉽게 고장나서 가동하는 곳이 많지 않다는 점.[202] WHF'16 한정 판매품.[203] 코로코로 코믹 2016년 2월호와 오프라인 서점의 연동이벤트[204] 국내에서는 지역대표 선발전과 같은 영실업이 주최하는 대회 등에서의 부상으로 주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당연하지만 레이어에 들어가 있어야 하는 NFC칩은 빠져있다(...).[205] 3천 베이포인트를 획득해야 1회 도전 찬스가 주어지는 레어 베이의 듀얼 레이어 버전.[206] 코로코로 코믹 2016년 8월호 부록. 레이어만 들어있다.[207] wbba.스토어 한정 판매품.[208] 탑블레이드 시절 한국에서는 드래곤이란 명칭으로 발매되었었지만,어째서인지 이름이 원래 명칭인 드라군으로 바뀌었다.[209] wbba.스토어 한정 판매품.[210] 한국에서 정식 발매 예정이 없다.(..)[211] 공식 홈페이지에는 정발이 되어있다고 나와있지만 정작 인터넷 쇼핑몰이나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찾아볼 수가 없다(...). 한 유저가 직접 메일로 관계자에게 연락해본 결과 전산상의 오류로 인한 업로드 미스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