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21

 


[image]
사진출처:http://cafe.naver.com/65736385/1760 위 차량은 두번 대차되어 168번에서 운행중이다. [A]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대체 노선


1. 노선 정보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21번
기점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창성여객)
종점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시청)
종점행
첫차
?
기점행
첫차
?
막차
?
막차
?
평일배차
40분
주말배차
45분
운수사명
창성여객
인가대수
3대
운행거리
-
노선
용당 - 동명대학교 - 부경대대연캠퍼스 - 경성대입구 - 태평양아파트 - 문현초등학교 - 문현교차로 - 문현역 - 동성고교 - 전포고개 - 한신아파트 - 송공삼거리 - 양정 - 부산광역시청

2. 개요


부산광역시의 폐선된 시내버스 노선.

3. 역사


  • 원래 화신여객과 금강여객이 공동배차했던 노선으로 구서아파트~부산대~온천장~동래전화국~교대역~영남제분(현.시청)~양정~삼전교차로~전포동~문전교차로~문현2동~부산진시장~부산역~영도대교~영선동으로 운행했다. 이후 동래여객(현.대도운수)도 참여하였다.운행당시 모습(두 번째 사진 참고)
  • 1985년 영선동에서 문현1동으로 대폭 단축되었다. 이때 동래여객도 배차에서 철수하였다.
  • 1987년 7월 15일에 문현1동에서 대연사거리로 연장되었다.
  • 1998년 화신여객에서 철수하고 동남여객이 용당동 ~ 경성대학교 ~ 대연초등학교 ~ 기존노선 ~ 교대역 ~ 구.부산백화점[A]으로 운행.
  • 2005년 하반기 동남여객 → 창성여객으로 변경.
  • 2005년 용당동 ~ 구.부산백화점에서 용당동 ~ 교대역으로 단축. 이때 감차가 이루어지면서 운행대수가 미남역 종점시절의 절반인 6대가 전부였으며, 나머지 절반의 차량들은 모두 68번 증차분으로 이동되었다.운행당시모습
  • 2006년 상반기에 용당동 ~ 시청으로 단축되었고, 운행대수는 3대였다.(...)
  • 2007년 5월 15일에 폐선되었다. 이 노선의 대안으로는 10-1번[1]의 연장과 [2]의 신설이다.

4. 특징


신설 초기에는 금정구 구서동에서 영도구 영선동까지 운행하는 초장거리 노선이었으나, 운행대수가 턱없이 부족하여 배차간격이 좋지 못했다. 결국 도시철도 1호선 개통 여파로 문현동까지 단축되었다가 이후 대연사거리까지 연장을 하게 되었지만 운행사가 화신여객에서 동남여객으로 변경되면서 차고지 주박문제로 기종점이 맞바뀌었고 노선 또한 완전 다른 형태가 되었다. 남구 구간의 경우 대연사거리에서 용당동까지 연장되었지만 중간 경유지가 변경되지 않은 반면에 반대편 교대역 이북구간이었던 동래경찰서~동래전화국~온천장~금정초등학교~부산대~구서2동 구간은 완전히 잘려나가고[3] 교대역~대선주조~여명중학교~사직운동장~사직역을 거쳐 구.부산백화점[A]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현재 동남여객/창성여객 노선에서 54xx를 면허를 볼 수가 있는데, 모두 화신여객 구.21번 출신 면허들이다. 인지도가 절대로 떨어지는 노선은 아니었지만, 후술된 사유들로 인하여 입지가 크게 줄어들면서 서서히 몰락하게 된다.
사직동 ~ 교대역까지는 10-1번, 사직동 ~ 연산교차로까지는 189번/189-1번에게 수요가 밀리면서 결국 구.부산백화점에서 교대역까지 단축되고 말았다. 아무래도 번화가인 서면을 경유하지 않고 시내 노선들의 무덤인 전포동(전포고개~대우자동차)을 양방향 경유했던 점이 몰락의 가장 빠른 지름길이었다.[4] 적자가 점점 심해지면서 결국 로얄미디 투입된데에 이어 종점도 교대역에서 시청까지 추가로 노선단축이 이루어지면서 운행대수도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다.
문현안동네에서 경성대학교로 한큐에 꽂아주는 유일한 노선이였지만 나머지구간에서는 주로 10-1번138번형제들, 심지어 문현1차현대아파트에서 부경대 용당캠퍼스 구간까지는 마을버스에게도 하극상을 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그런데 문현3동 주민센터~문현초등학교 구간에서 경성대학교로 이어지는 노선이 21번이 유일했었기 때문에[5] 해당 지역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그래서 문현안동네 주민들이 민원을 자주 올렸지만 적자가 너무 심해서 창성여객에서는 도저히 증차할 엄두가 나지 않은 듯 싶었다. 2004년도쯤에 동남여객의 용당동 본사 시종착 노선들이 창성여객으로 분리되면서 동남여객 개금영업소 일부 차량들이(70 자 16xx) 용당동 본사로 넘어온 적이 있었는데, 그 당시 방치중인 21번 전속차량까지 포함하면 12대였다. 그러나 얼마 못가서 대부분의 차량들이 68번으로 넘어가게 되고, 21번은 교대역까지 단축되었다가 얼마못가서 시청까지 추가 단축이 이루어졌을때 인가대수는 3대가 전부였다.(...) 준공영제 직전에 선형이 비슷한 가칭 34번 노선이 신설될 뻔했지만, 34번의 신설을 반대하는 신성여객, 창성여객, 감만1동 주민들과 10-1번의 폐선을 반대하는 대연5,6동, 문현1동 주민들의 항의로 결국 34번의 신설이 백지화 되었다.[7]
결국 2007년도에 폐선되면서 문현안동네 ~ 경성대학교 구간은 10-1번의 부경대(대연캠퍼스) 연장으로 대체되었다.[8]
그런데 아이러니 한 것은 2008년 7월 2일에 폐선된 19번이 폐선 직전 노선이 21번과 유사한 형태여서 욕을 한 바가지로 먹었다.[9]

5. 대체 노선


  • 부산 버스 10 (동명대학교 정문 ~ 문현교차로 / 사직운동장 ~ 교대역) ※ 구.21번의 상위호환이자 완벽한 대체노선이다.
  • 부산 버스 54 (전포롯데캐슬아파트 → 동성고등학교)[10]
  • 부산 버스 83-1 (사직운동장 ~ 미남역.반도스카이뷰)
  • 부산 버스 101 (대연사거리 ~ 문현교차로)
  • 부산 버스 138 (용당동 ~ 문현교차로)[11]
  • 부산 버스 155 (용당동 종점 ~ 경성대입구)
  • 부산 버스 189 (미남역.반도스카이뷰 ~ 목화예식장)[12]
  • 부산 버스 남구10 (부경대용당캠퍼스 ~ 전포동 부산은행(전포역))[13]

[A] A B C 종점인 부산백화점은 당시 사직동 구.고속버스터미널을 말한다. 현재는 미남역, 반도보라 스카이뷰가 위치해 있다.[1] 종점이 대연사거리에서 부경대학교(대연캠퍼스)로 연장되면서 문현교차로~문현현대아파트~경성대학교 구간을 대체하게 된다.[2] 문현교차로~전포고개~삼전교차로 구간을 대체하게 되었다. 2008년 7월 2일에 폐선되었다.[3] 이와 정반대 격인 131번이 존재하는데 이 노선과 상당히 오버랩이 된다.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131번도 구.21번과 동일하게 구.부산백화점 종점이었으나 2008년 7월 2일에 구.21번의 구.기점이었던 구서2동까지 연장되었다. 공교롭게도 131번의 운행사도 부일여객이 화신여객으로 노선을 매각 한 반면 21번은 화신여객에서 동남여객으로 양도되었다.[4] 이후 신설된 구.19번도 해당 구간을 양방향으로 경유하였는데 이 역시 징크스를 극복하지 못하고 폐선되고 말았다.[5] 이때 10-1번(현.10번)은 대연사거리에서 끊겼다.[6] 현.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7] 감만1동 ~ 감만현대아파트 ~ 용당 ~ 21번 구간 ~ 문현교차로 ~ 문전역[6] ~ 지오플레이스 ~ 서면[8] 원래 101-1번이 현재의 경성대.부경대역(구.남부경찰서)까지 연장될 계획이였지만 경성대.부경대역 회차지점이 대형차량이 U턴하기에는 벅찬감이 있었던데다, 101-1번이 폐선되는 바람에 10-1번이 승계받게 된 것이다.[9] 원래 구서동~온천장~사직운동장~거제안동네~7부두~부산외대 노선이였는데 수요가 80번에게 너무 밀리자 이와 같은 형태로 대폭 조정을 하였는데 막상 노선을 조정 시켜놓고보니 구.21번 형태가 되고 만 것이다. 다만 그보다는 번영로(도시고속도로) 문현고가교 밑에서 회차를 한게 아니라 배정고등학교에서 애매하게 끊는 바람에 수요가 더 크게 반감되었다.[10] 편도 구간[11] 이 노선은 못골역, 남구청을 경유해서 문현안동네로 진입한. 태평양아파트는 경유하지 않는다.[12] 단 이 노선은 사직야구장을 경유한다. [13] 단 이 노선은 문현교차로를 미경유하며 문현현대1차아파트에서 진남로(문현현대2차아파트)로 넘어가버리는 노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