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남구10

 




[image]
[image]
레스타 차량
NEW BS090 디젤 차량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남구10번
기점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부경대용당캠퍼스)
종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
종점

첫차
06:00
기점

첫차
06:35
막차
'''22:40'''
막차
'''23:15'''
평일배차
출퇴근 7분 / 평시 10분
주말배차
9~15분
운수사명
부경버스
인가대수
10대(예비 1대)[1]
노선
부경대용당캠퍼스 - 동명오거리 - 부산문화회관 - 유엔조각공원 - (→ 도로교통공단 →) - 부경대대연캠퍼스 - 경성대학교 - 대연초등학교 - 부산세무고등학교 - 문현현대1차아파트 - 전포고개 - 전포삼거리 - 부산마케팅고등학교 - (← 부산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 문현시장 ← 이마트문현점 ← 지오플레이스 ←) - 동성고교 - 전포1동주민센터 → 부전도서관 → 경남공고 → 부산진초등학교 →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 → NC서면점 → 전포1동주민센터 → 이후 역순
[image]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남구10번(신암지선)
기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CBS방송국)
종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동성고교)
종점

첫차
07:10
기점

첫차

막차
07:40
막차

배차간격
1일 2회
운수사명
부경버스
인가대수
-
노선
CBS방송국 - (→ 선암초교 →) - 범천2동주민센터 - 범천경남아파트 → 부산진초등학교 → 상공회의소 → 부산마케팅고등학교동성고교 → 전포1동주민센터 → 부전도서관 → 경남공고범내골역 → 범천경남아파트 → 이후 역순

2. 개요


남구 마을버스 노선 중 하나.

3. 역사


  • 예전에는 서면롯데백화점행 한정으로이 못골시장과 남구청을 경유하여 진남로로 갔으나 138번이 용당까지 연장되어 남구청과 못골시장을 모두 경유하게 되면서 남구10번은 더 이상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4. 특징


  • 준공영제 전까지만 하더라도 진남로 일대(문현현대2차아파트)~대연동/경성대의 유일한 마을버스 노선이였고 시내버스로는 구 21번이 있었다. 태평양아파트, 연포초등학교 일대 역시 10번이나 101번은 대연사거리에서 노선이 끊겨, 이 노선과 구 21번 뿐이였다. 당시 구 21번은 배차간격이 매우 안 좋았던 탓에 준공영제 이전에는 이 노선을 이용하는 사람이 많았다. 하지만 준공영제 이후 10번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까지 연장이 되면서 수요가 제법 많이 분산되었다. 남구10번은 상습정체지역을 지나며 마을버스치고는 노선이 굉장히 길기 때문이다.
  • 그래도 문현현대2차아파트, 진남로 구간을 독점하고 있고 문현안동네, 대연동 SK아파트에서 경성대로 가는 노선은 아직 이 노선과 10번 뿐이라 충분히 좋은 수요를 유지 중이다.
  • 시내버스도 아닌 마을버스가 경성대학교와 서면을 오간다. 도시철도를 비롯해서 경성대학교서면을 잇는 노선은 매우 많지만 수영로가 아닌 진남로를 경유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10번과 경합한다. 다만 10번과는 전포고개를 넘어 서면의 번화가 코앞[2]으로 바로 꽂아준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 때문에 문현동 현대2차아파트에서 유일하게 서면으로 꽂아주다보니 이쪽 수요가 상당히 많다. 또한 전포동에는 제대로 된 버스노선이 없는데 54번, 160번은 전포동을 수박 겉핥기식으로만 경유하고 있으며 그나마 안쪽까지 오는 82번은 부산진시장, 부산역으로 빠져버린다. 해당 지역에서 서면으로 이어주는 노선이 없기 때문에 이 노선이 이 일각에서 시내버스 역할을 해주고 있다. 이쯤되면 준시내버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 그 외에 용당한신아파트에서 남구9번과도 연계가 되는 점이 있어서 전체적으로 구간수요가 상당히 많다.
  • 남구 마을버스 노선들 중에서 운행대수가 가장 많은 노선이다.[3] 다만 그만큼 노선도 가장 길고 상습정체지역[4]을 지나고 굴곡구간[5]이 존재하는 노선이기 때문에 배차간격은 상위권에 들지 못하고 있다. 거기다 만디버스 출신 레스타 차량들이 투입되면서 현재 차급은 그다지 좋지 못한 편이다.
  • 남구 마을버스 노선들 중 운송수입금이 가장 많다. 타 노선들은 대부분 주요주거지에서 주요수요지로 수요가 치우쳐 있는 반면에 이 노선은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무려 수요지를 서면과 경성대, 부경대 , 동명대 까지 네 군데나 경유해주는 와중에 문현현대2차아파트를 단독으로 경유해주고 있어서 양 방향 수요가 모두 많다. 그 외에 용당한신타운에서 경성대로 향하는 유일한 노선이지만 워낙 인구가 낮은 곳이다보니 문현현대2차아파트보단 덜하나 중요성은 크다.
  • 오래 전에는 아시아자동차(현.기아자동차)의 AM818(코스모스)가 주력차종이였다가 2001년이 되면서 현대 에어로타운으로 대차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대우버스에서 BS090를 출시하면서부터는 에어로타운 역시 로얄미디로 대차되면서 현재는 로얄미디/뉴BS090 주력차종이다.
  • 2017년 하반기에 디젤 BS090차량이었던 1446호가 강서9번과 동일하게 낙동강에코버스 노선 출신 레스타로 대차되었다. 최초로 소형차량이 투입되었는데 해당 차량은 예비차량이라고 한다.[6] 다만 작은 소형차량이라 출퇴근시간에는 가축수송으로 헬게이트가 열리는데, 심지어 승차거부까지 발생하면서 소형차량은 남구10번에 부적합한 차량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업체 측도 레스타차량을 출.퇴근시 투입하지않고 오전.낮 시간대에만 운행한다. 그런데 만디버스 출신 레스타 2대가 또 이 노선에 투입되면서 논란에 오르고 있다. 업체 측은 남구10번의 이용객이 줄어들어 불가피한 결정이었다는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7]
  • 상습정체구간인 유엔평화로황령대로를 연달아 운행하는 노선이기 때문에 배차간격이 상당히 잘 벌어지는 편이다. 차가 잘 안오더라도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주자. 2017년 12월 30일남구2번남구2-1번과 노선이 통폐합 됨에 따라 유엔로 구간이 전면 폐지되었으므로 이제 유엔로 구간은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 되었다.
  • 10번과는 달리 문현교차로 범일역 쪽으로 우회하지 않는다. 다만 루트는 달라도 583번처럼 서면 쪽을 편도 운행하기 때문에 이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서면에서 남구 쪽으로 갈 때 문현금융단지로 돌아서 간다.

4.1. 노선


[image]부산광역시 마을버스 남구10번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서면로'''

▲ 부산진초등학교
'''가야대로'''
'''신천대로'''
NC서면점 ▼

'''서전로'''
'''동천로'''

▲ 경남공업고등학교
'''전포대로'''
'''전포대로199번길'''
부산은행(전포역) ▼
▲ 부전도서관
'''전포대로200번길'''
부산진여자중학교 ▼
▲ 전포1동주민센터
'''동성로'''
지오플레이스 ▼
▲ 동성고등학교
'''황령대로'''
'''봉수로'''
이마트문현점 ▼
'''남동천로'''
문현시장 ▼
'''전포대로67번길'''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
'''전포대로'''
성북초등학교 ▼
'''황령대로'''
부산마케팅고등학교 ▼
'''봉수로'''
청수탕 ▼
▲ 전포삼거리
'''진남로'''

▲ 대연초등학교
'''못골로'''
대연동제일은행 ▼
▲ 대연우체국
'''수영로'''
경성대학교입구 ▼
▲ 경성대학교
'''용소로'''

▲ 도로교통공단
'''조각공원로'''
'''유엔로'''
유엔조각공원 ▼
'''유엔로'''
부산문화회관 ▼
▲ 부산시립박물관
'''유엔평화로'''
동명오거리 ▼
▲ 한신아파트
'''신선로'''



5. 연계 철도역



[1] 중형차량 8대 / 소형차량 (레스타) 3대[2] 약속의 거리로 흔히 알려진 중앙대로692번길을 경유하는 노선은 없다. 원래는 부산진12번이 다녔으나 특화거리로 지정된 뒤 들어가지 않게 되었다.[3] 그 다음으로 많은 노선들은 남구1번, 남구2번, 남구3번, 남구6번으로 4개의 노선들 운행대수는 모두 7대다. [4] 서면역/서면롯데백화점~서전로~전포사거리 구간, 유엔공원~유엔조각공원~도로교통공단 구간[5] 지오플레이스→이마트문현점→국제금융센터→문전교차로→성북초등학교 구간[6] 여담으로 당시 2005년 7월 성진버스 금정6번 출신 부산70아1393 98년식 BM090 예비차량 격하한적이 있었다.[7] 실제로 타 보면 관광버스용 차량이라서 마을버스용 레스타보다 좌석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