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시내버스/심야

 



1. 개요
2. 역사
3. 특징
4. 목록


1. 개요


보통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막차는 기점에서 22:00~23:10 사이에 출발하며, 심야버스는 22:20 전후로 기점에서 출발하여 다음날 01:30~02:30 사이에 차고지에 들어오는 버스이다. 다만 타 노선에 차출하여 운행하는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및 전 차량 돌아가면서 기존 심야운행하는 버스와 달리 기존 노선에 일부 구간만 변형하여 막차만 연장해서 운행하며, 주간에 자사 노선버스들에서 근무하는 승무원들이 오후 순번 중 심야에 당첨되면 돌아가면서 운행한다. 다른 노선은 자차나 스페어 기사가 근무하지만 심야 1000번과 심야 1002번은 다르다.[1] 거기다 해당 노선에서 쓰던 차량으로 운행한다. 가령 평소에 '심야'라는 행선판을 달았지만, 지금은 LED 설정으로 표출 시, 거기에 불이 들어오면 심야노선으로 운행한다는 뜻이다. 물론 차내 심야노선도 역시 부착되어 있다. 타 도시도 마찬가지지만 도시철도나 타 노선 막차시간 이후의 심야시간에도 운행하기 때문에 택시를 제외하면 귀가가 늦은 사람들의 구세주(…)가 되는 버스이며 타 주간노선의 연장노선이다. 어쩐지 심야택시의 주적으로 인식되는 듯.[2]
다만, 심야버스라고 해서 무조건 심야요금을 다 받는 건 아니다. '''23:40 이전까지는 주간 요금을 받고, 23:40분을 시점으로 운행되고 있는 심야버스 개념이 있는 노선에 심야 할증요금이 적용되어[3] 기본 요금에서 성인은 400원, 청소년과 어린이는 200원씩 오른다.''' 따라서 심야버스임에도 기점에서 막차가 23:40분 이전에 타절되는 노선들의 경우 일반 요금으로 승차할 수 있다![4] 다만 기점막차가 23시 40분~0시에 막차가 나가는 심야 58-1, 141, 183, 508, 1000, 1003, 1004번은 막차가 나가는 순간 다녀올 때 까지는 심야버스 할증요금이 적용되니 참고하길 바란다.
서울의 심야버스는 별도로 지정된 노선으로 평균 00:00에 첫차가 나가지만 부산의 심야버스는 기존 노선을 약간 변형하고 서울 경기 심야운행하는 버스처럼 기존 노선 막차에서 2~3시간 더 연장해서 다니는 방식이다. 그래도 노선변경/단축으로 대체 보상차원에서는 부산의 심야버스 노선경로 운행시스템은 고려하고 전파해서 써야 종전 이용객들의 불편이 해소된다.[5]

2. 역사


  • 준공영제 시행 전
    • 98번(다대포 ↔ 장림시장 ↔ 신평역 ↔ 하단교차로 ↔ 괴정 ↔ 구덕운동장 ↔ 남포동 ↔ 부산역 ↔ 부산진시장 ↔ 서면)
    • 142번(기장교리 ↔ 기장시장 ↔ 송정해수욕장입구 ↔ 신시가지(남쪽) ↔ 해운대역 ↔ 수영교차로 ↔ 망미동 ↔ 양정 ↔ 서면)
    • 183번(기장시장 ↔ 교리 ↔ 반송 ↔ 금사동 ↔ 충렬사 ↔ 동래시장 ↔ 동래역 ↔ 온천장역 ↔ 부산대학교)
    • 301번(서창 ↔ 덕계 ↔ 노포동터미널 ↔ 부산대학교 ↔ 온천장 ↔ 사직동 ↔ 송공삼거리 ↔ 서면)
    • 302번(송정 ↔ 신시가지(북/남쪽) ↔ 해운대해수욕장 ↔ 수영교차로 ↔ 경성대학교 ↔ 부산역 ↔ 남포동 ↔ 부산대학교병원)
    • 309번(김해 구산동 ↔ 김해시청 ↔ 선암다리 ↔ 강서구청 ↔ 구포역 ↔ 서부시외버스터미널 → 구덕터널 → 충무동 → 부산역 → 서면 → 주례 → 서부시외버스터미널 이후 역순)
  • 2007년 5월 15일: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시행되면서 141번, 1000번, 1002번, 1003번, 1004번 심야 노선 개통 및 심야좌석 183번은 심야일반으로 전환.
  • 2009년 9월 11일: 1006번(현 182번) 심야 노선 개통.
  • 2012년 6월 1일: 1001번 심야 노선 개통. 심야좌석 1006번은 심야일반 182번으로 전환.
  • 2014년 2월 22일: 15번, 30번, 58-1번, 508번, 1008번, 1010번 심야 노선 개통.
  • 2017년 11월 25일: 51번, 58-2번 심야 노선 개통

3. 특징


도시철도 막차가 끊기는 23:00~00:00 전후로 14개의 심야버스 노선이 부산 각 지역의 심야 수요를 담당한다. 먼저 141번 남좌동, 2호선 해운대 ↔ 수영, 3호선 수영 ↔ 물만골, 1호선 시청 ↔ 서면 구간과 당감동 일대, 183번 1호선 동래 ↔ 부산대, 4호선 동래 ↔ 안평 구간과 기장읍 중심지, 1000번 서면 남쪽 구간[6]과 다대포, 장림동, 1002번 서면 북쪽 구간[7]과 양산시 웅상지역, 1003번 2호선 남동쪽[8]과 1호선 남쪽[9], 기장읍 중심지, 1004번 서면 서쪽 구간[10]과 김해시 구간, 15번 2호선 금곡 ~ 사상 구간과 학장동, 국제시장 일대, 30번, 508번 영도구 지역을, 182번[11], 1008번[12], 1010번[13]은 정관신도시 심야 수요를 담당한다. 58-1번은 마지막 배차, 1001번은 22:00 이후 배차가 심야로 변경된 것이다.

4. 목록


번호
기점
경유지
종점
배차
15
금곡동
와석↔구포역↔신모라↔서부터미널↔새벽시장↔학장교차로↔구덕터널↔구덕운동장↔국제시장/서구청
남포동
20분
30
태종대
동삼하리↔영도구청↔한진중공업↔영도대교↔남포동/자갈치↔송도아랫길
송도해수욕장
15분
51
금정공영차고지
노포동터미널↔부산외국어대학교↔구서시장↔부산대학교↔온천장↔동래전화국↔교대역↔연산교차로↔수영교차로↔경성대학교↔부산공고/시립박물관
동천초등학교
20분
58-1
진해(청안동)
용원↔녹산공단↔르노삼성자동차↔명지오션시티↔명지국제신도시↔을숙도
하단역
1회
58-2
진해(용원)
녹산공단↔르노삼성자동차↔신호주거단지↔명지오션시티↔을숙도↔하단역
사하구청
1회
141
송정
미포.문탠로드입구↔해운대역↔센텀시티↔수영교차로↔세정상고↔양정↔서면↔진양교차로
당감4동
30분
182
청강리공영차고지
장산역(정관행)→기장1주공아파트↔기장시장↔교리↔일광↔화전↔원자력의학원
정관
1회
183
청강리공영차고지
기장성당↔교리↔안평.고촌↔반송↔반여농산물시장↔충렬사역↔동래시장↔동래역↔온천장역
부산대학교
25분
508
고신대학교
동삼중리↔함지골수련원↔영도대교↔부산역
중앙공원(민주공원)
1회
1000
다대포
장림시장↔신평역↔하단역↔괴정시장↔구덕운동장↔남포동↔부산역↔부산진시장
서면
40분
1001
청강리공영차고지
송정↔장산역↔해운대역↔센텀시티↔경성대학교↔문현교차로↔부산역↔서대시장↔괴정시장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
20분
1002
웅상공영차고지
덕계↔월평교차로↔부산종합터미널↔구서시장↔부산대학교↔온천장↔사직운동장↔거제리
서면
20분
1003
기장(교리)
송정↔미포.문탠로드입구↔해운대해수욕장↔센텀시티↔경성대학교↔문현교차로↔부산역↔남포동
부산대학병원
15분
1004
김해(구산동)
김해시청↔대저역/강서구청↔신모라↔서부터미널↔주례역↔가야시장↔서면↔부산진시장↔부산역↔남포동
서구청
30분
1008
원자력의학원
정관↔곰내터널↔철마면사무소↔구서IC↔부산대학교↔온천장
동래역
1회
1010
정관
곰내터널↔반여농산물시장↔안락교차로↔연산교차로↔시청↔부전시장
서면
40분

[1] 50, 1002번 기사 돌아가면서 심야 1002번을 운행, 1000번 기사 돌아가면서 심야 1000번을 운행한다.[2] 준공영제 이전 시절 예전 301번 심야버스(현 1002번 심야버스)가 생겼을 때 서면에 도착했다하면 버스기사가 택시기사가 고용한 깡패들에게 폭행을 당했다는 얘기가 있을 정도이니…[3] 심야라고 표시된 시간대에 운행하는 노선들이 대부분 해당된다.[4] 대표적으로 15, 30, 51번 등이 있다.[5] 서울에서는 916번→9412번→462번 이었던 452번이 심야버스를 신설하되 심야한정으로 이 방식을 써야 그나마 서울내 심야승객이 돌아온다.[6] 1호선 신평~서면[7] 노포~서면. 단, 80번의 구간으로 갔기 때문에 양정~범어사 구간은 연계가 되지 않는다.[8] 해운대~지게골[9] 부산진~자갈치[10] 2호선 덕천 ~ 서면, 3호선 대저 ~ 덕천[11] 장산역~정관[12] 동래~정관[13] 서면~정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