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체제

 

[image]
1815년 유럽
1. 개요
2. 창설
3. 동요와 붕괴
4. 평가


1. 개요


Vienna System
'''빈 체제'''란 1814년에서 1815년까지 오스트리아 제국의 수도 에서 개최된 빈 회의를 계기로 유럽 열강들 사이에 약속된 반동적(反動的)[1] ・ 복고적(復古的) 세력 균형 체제를 이른다. 메테르니히 체제(Metternichsches System), 유럽협조체제(Concert of Europe), 또는 5두 체제(pentarchy)[2]라고도 한다.

2. 창설



전후 개최된 빈 회의에서는, 온 유럽을 전쟁의 불바다로 만든 나폴레옹 전쟁이 일어난 바탕에 프랑스 혁명, 더 근본적으로는 자유주의민족주의의 확산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혁명이 일어나기 이전의 구 체제로 되돌아가야 한다'는 것이 이 체제의 주요 골자였다. 만약 각국에서 이런 자유주의, 민족주의 운동이 일어날 경우 유럽 국가들은 이런 운동을 진압해야 할 책임이 있었다. 각국은 비밀경찰과 언론 검열 등을 펼쳤고 나폴레옹 전쟁 이전의 정부 체제를 복귀시켰다.

3. 동요와 붕괴


그러나 이 체제는 이미 변하고 있는 시대적 배경을 무시하는 조치였다. 이미 유럽 각국에서는 나폴레옹이 퍼트린 프랑스 혁명의 이념들, 즉 자유, 평등, 박애민족주의가 깊게 자리잡고 있었다.
곧 유럽 각지에서 빈 체제에 대한 반발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 지식인들은 빈 체제가 역사의 수레바퀴를 거꾸로 돌리려는 말도 안되는 시도라고 반발했고 분열되어 있던 독일이탈리아에서는 민족주의 열풍이 불었으며 프랑스에서는 7월 혁명이 일어나 루이 18세의 뒤를 이은 샤를 10세가 폐위되었다.
또한 이 체제에서 중요 역할을 맡았어야 할 영국산업 혁명과 해외 식민지 진출에 골몰하느라 관심이 없었으며[3] 러시아도 그다지 협조적이지 않았다. 또한 그리스 독립전쟁에서 영국러시아는 자유주의와 민족주의의 확산을 막아야 한다는 빈 체제의 이념을 무시하고 그리스의 독립을 지원했다. 게다가 그리스 독립전쟁으로 유럽에는 다시 열병에 가까운 자유주의, 민족주의 운동이 불기 시작했다. 샤를 10세의 뒤를 이은 것은 친 혁명 성향의 루이필리프였으나 1848년에 프랑스 2월 혁명이 벌어져 프랑스에 공화정이 세워졌고 오스트리아에서도 3월 혁명이 벌어져 메테르니히가 축출되면서 빈 체제는 막을 내렸다. 외교적으로 본다면 오스트리아-프로이센-러시아신성 동맹이 붕괴된 크림전쟁(1854년)이 결정타였다.[4]

4. 평가


빈 체제는 보수주의를 기반으로 구 체제 복원을 외쳤지만 빈 체제가 성립되고 무너져내리는 과정을 보면 이 체제의 목적은 상호 견제와 세력 균형이였고 결국 각 국의 이해관계로 인한 협력 체제의 분괴와 내부에서의 반발이 맞물려 무너져 내린 것으로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성격 때문에, 일부에서는 빈 체제를 국제기구의 첫 사례로 보기도 한다.
국제정치학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시기이기도 하며, 웬만한 외교사 관련 서적 첫머리에서 다루는 것이 바로 빈 체제의 기원이 된 빈 회의일 정도다. 특히 현실주의 외교의 거두이자 빈 체제 연구에 큰 공헌을 한 헨리 키신저는 그의 여러 논문과 저서에서 메테르니히에 대한 빠심을 열렬히 표출하기도 했다(...).
빈 체제는 1860~70년대 이탈리아 통일전쟁과 보오전쟁(1866), 보불전쟁(1871)을 거쳐 오토 폰 비스마르크에 의해 1873년의 삼제동맹으로 부활한 측면이 있지만, 다시 빌헬름 2세에 의해 붕괴되면서 독-오-이의 삼국동맹과 영-불-러의 삼국협상으로 재대립하였다. 이것이 거대한 전쟁으로 이어진것은 1914년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이것으로 빈 체제가 이루어진지 정확히 100년만에 평화는 상실되고 30년간의 양차대전이 몰아닥쳤다.

[1] 시민 혁명에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의미이다.[2] 빈 체제를 지탱한 프랑스, 오스트리아, 영국, 러시아, 프로이센의 다섯 강대국을 말함. 이중에서도 핵심은 빈 체제를 주도한 메테르니히의 조국 오스트리아, 그리고 나폴레옹을 몰락시켜 빈 회의를 여는데 가장 결정적인 공로를 세운 영국과 러시아였다.[3] 게다가 영국은 오랜 세월에 걸친 왕권과의 투쟁의 결과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자유로운 사회 환경이 갖춰져 있었으므로 타국에 비해 '탄압'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덜했고, 심지어 구체제를 혐오하는 성향도 다분했다.[4] 그러나 오스트리아가 정치체제 상 자유주의, 민족주의 운동 확산 방지를 목표로 한 빈 체제로 인해 받는 수혜가 가장 큰 나라였기에 발칸 반도에서 이익을 지키겠다고 스스로 빈 체제를 무너트린 것은 장기적으로 보면 어리석은 짓이었다. 그리고 기존의 유럽의 평화 질서가 완전히 붕괴된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오스트리아 제국은 붕괴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