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나다 노부유키

 

'''사나다 일족'''
사나다 유키타카
사나다 마사유키
'''사나다 노부유키'''
사나다 노부시게


1. 개요


[image]
真田信幸(真田信之)(진전신행 또는 진전신지)
1566년 ~ 1658년 11월 12일
일본 전국시대 말기에서 에도 시대 초기에 활동한 무장으로 통칭 겐자부로(源三郎).[1] 원래 이름은 信幸인데 세키가하라 이후 돌림자인 幸을 之로 바꿨다.(발음은 같다)

2. 생애


사나다 마사유키(무토우 키헤에)의 아들로 아버지가 다케다의 가신이라 당시의 관습에 따라 주군에게 인질로 보내지고, 1579년에 다케다 카츠요리의 아들인 다케다 노부카츠의 성인식과 같은 날에 성인식을 하며 역시 당시의 관습대로 주군의 이름에서 한 글자를 물려받아 노부카츠에게 한 글자를 받아 노부유키라고 칭하게 되었다. 1582년에 다케다 가문이 멸망하자 사나다 집안으로 돌아왔다.
아버지 마사유키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이 되자, 슨푸(시즈오카)로 이에야스의 인질로 보내졌는데, 1585년 마사유키가 누마타 령을 둘러싸고 이에야스의 요구를 거부하면서 우에스기 카게카츠의 가신이 되자 마사유키와 함께 도쿠가와 군과 싸우게 되자 제1차 우에다 합전에 참가하였다.
이후 마사유키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가신이 되었다. 히데요시의 권유로 1589년에 이에야스와 다시 화목하고 도쿠가와 가문에 가세한 다이묘가 되었으며, 이에야스의 가신인 혼다 타다카츠의 딸이자 이에야스의 양녀[2]인 코마츠(이나히메)를 부인으로 맞았다.
1590년에 후호죠씨를 정벌하는 오다와라 전투이후, 누마타 지역을 다스리는 성의 성주가 되었으며, 히데요시가 임진왜란(분로쿠의 역)을 준비할 때 히젠 국 나고야로 향했다.
1594년에 종오위하 이즈노카미에 임명되었으며, 히데요시 사후 세키가하라 전투가 일어날 때 아버지인 마사유키와 동생인 사나다 노부시게와 달리 이에야스가 있는 동군에 참가하여 도쿠가와 히데타다 휘하에서 제2차 우에다 합전에 참가했다.[3]
전후 아버지 마사유키가 다스리던 우에다 지역(3만 8천석)은 몰수당했으나, 그 영지는 노부유키가 받아서 다스리게 되었고, 기존에 다스리고 있던 누마다 지역(2만 7천석)외에 세키가하라의 공로로 따로 3만 석의 영지를 받고, 9만 5000석의 다이묘가 되었다.
마사유키에 대한 조명을 탄원하거나 아버지와 결별을 했다는 뜻으로 이름을 信之로 바꿨다. 하지만 이후에도 간간히 信幸 라고 쓰기도 한 걸 보면 본인 나름대로 막부와 집안 사이에서 타협점을 찾은 걸로 보인다.
1614년에 오사카 전투에는 병 때문에 참전하지 못하자 아들로 장남인 사나다 노부요시, 차남인 사나다 노부마사를 대리로 보냈으며, 1622년에 시나노 마츠시로 번을 추가로 받아 13만 석의 영지를 얻게 되었다. 1656년에 장남인 노부요시, 노부요시의 아들인 사나다 쿠마노스케가 먼저 사망하였기 때문에 차남인 노부마사에게 가독을 양보하고 은거하였다.
그러나 1658년 2월에 노부마사가 사망한 것을 시작으로 가독상속을 두고 노부요시의 차남인 사나다 노부토시가 노부마사의 6남인 사나다 유키미치의 상속에 이의를 제기하자 막부에 호소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소동으로 노부토시의 누마타 령은 번으로 독립하여 마츠시로 번은 10만 석으로 줄어들었으며, 유키미치가 계승했지만 2살이었기 때문에 복귀하여 번의 정치를 맡다가 10월 17일에 사망했다.
사나다 가문을 대표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협력하여 끝까지 이에야스와 대결하다 전사한 동생 사나다 노부시게와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여주지만, 이시다 미츠나리와 내통하던 문서를 담은 상자를 도쿠가와 쇼군가에게 받은 단도라고 속이고 가문 대대로 지키도록 한 일화가 전해지는 걸로 봐서는[4] 도쿠가와 가문에 대한 원한 같은 감정도 어느 정도 있었는 듯.
다이묘이기는 하지만 관직은 이즈노카미. 사에몬노스케인 동생(일설에는 히데요시에게 귀여움을 받아서 받았다고도 한다)보다 아래다. 남아있는 기록을 보면 동생에 대한 글은 칭찬 일색. 하지만 오사카의 전투에서 동생인 노부시게[5]가 참가했다는 얘기를 듣자 병상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그때 탄원해서 살려줬거늘 아직도 엉뚱한 짓을 하고 있는 거냐. 너의 자식들을 내가 책임질테니 당장 할복하라!"는 편지를 자식들을 통해 전달했던 만큼 크게 분노하기도 했다.
참고로 93살까지 살았다. 지금 기준으로도 상당히 장수한 것이다. 그러나 너무 장수해서 아들들까지 일찍 보내서 후계자 쟁탈전까지 일어나는 등 말년이 좋지 못했다. 막말에는 끝내 가문이 끊어져서 마츠다이라, 다테 등 이곳저곳에서 양자를 들이기도. 동생 노부시게가 비교적 일찍 죽었어도 아들 다이하치를 통해 피를 남긴 것과는 대조적. 그러나 당시 일본인들은 직계혈통에 대한 집착[6]이 별로 없었으니 큰 문제는 아니었다. 오히려 말년에는 장수하며 도쿠가와를 섬긴 충신으로 인정받았고 후손 중에서는 로쥬(老中)[7]까지 배출했다. 원래 사나다가 지방호족에 불과한 격이 낮은 가문[8]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상당한 출세. 또 이런저런 사정때문에 석고가 줄었다고는해도 애초에 에도 막부는 다이묘들의 힘을 깎는 데 주력[9]했고 이에 따라 에도 시대 동안 10만석 이상[10]을 유지한 가문은 소수이다. 애초에 동생인 노부시게의 핏줄이 붙잡혀 죽지 않을 수 있었던 것도 노부시게의 차남을 보호한 카타쿠라 가와 그 배후인 다테 가, 그리고 노부유키가 있었기 때문이다. 어쨌건 조카 문제 때문인지 다테 마사무네와는 사이가 좋았다고 하며 마사무네가 보낸 편지가 현재까지도 전해진다. 대충 내용은 "공(노부유키)이 편찮으시다고 들었는데 근시일 병문안 가 보겠다"하는 내용.
그럼에도 동생에게 밀려 후세에 존재감이 없는 그의 안습함 때문에 2ch에 노부유키와 함께 고난을 넘는 스레가 개설되기도 하였다.
여담으로, 일본 전국시대의 재녀 오노노 오츠우[11]와 서로 편지를 주고 받는 등 친밀한 관계였다고 한다. 이 연으로 오노노 오츠우의 딸이 노부유키의 차남 노부마사의 측실이 되어 아들까지 낳았다고 한다.

3. 대중매체에서


왠지 삼국지제갈근같은 느낌. 대다수의 삼국지 팬들에게 제갈량의 형으로 기억되고 있는 제갈근처럼 노부유키도 대다수의 센고쿠 팬들에게 '노부시게의 형'으로 기억되고 있는데다가, 연의 이곳 저곳에서 잘난 동생 때문에 굴욕을 당하는 제갈근처럼 세키가하라의 기억으로 사나다라면 치를 떨었다는 도쿠가와 히데타다가 아예 마츠시로로 전봉시키는 등 동생 때문에 좀 고생을 많이 해서 그런 듯.
또한 동생이 워낙 유명하다보니 동생에게 밀려 존재감이 없다. 이는 에도 시대 이래의 전통으로, 사나다 관련 군담의 원조 격인, 에도 시대의 군담집 '사나다 삼대기'의 사나다 삼대는 사나다 마사유키, 사나다 노부시게, 사나다 다이스케, 가독을 이은 노부유키는 제외되었다. 덧붙여 믿기 어렵겠지만 이는 일본어 위키피디아에서도 공언한 사실이다. 2016년 NHK 대하드라마 사나다마루에서도 모략가인 아버지와 재기가 넘치는 동생에 비해서 진중하고 사려가 깊지만 고지식한 면이 강한 사람으로 등장했다.
그나마 주군과 함께 시리즈에서는 본인이 주역으로 등장하는 에피소드가 있기는 하지만 본작 자체가 개그물인지라...일단 상식인 포지션에 있는 몇 안 되는 인물이기는 하나 아내 코마츠(이나히메)에게 꽉 잡혀 사는[12] 공처가다. 하도 코마츠에게 잡혀 살다보니 작중에서 붙은 별명이 '도게자무라이(土下座ムライ)[13]'일 정도. 아버지, 동생[14]과의 만담에서는 츳코미 포지션인데 한꺼번에 2명의 보케 상대로 츳코미를 거느라 이래저래 고생이 많은 모양. 애니메이션판 성우는 키시오 다이스케.

3.1. 전국 바사라 시리즈


사나다 노부유키(전국 바사라) 참고.

3.2. 전국무쌍 시리즈


사나다 노부유키(전국무쌍) 참고.

3.3. 슈팅 게임 바사라에서


[image]
[image]

형제라 하더라도 적은 용서치 않는 것이 난세의 도리. 간다!

성우는 하야미 쇼. 빨간색 인간형 갑옷 메카를 타고 4면 중간보스로 등장한다. 1P가 사나다 유키무라일 때 위의 대사가 출력되는 전용 이벤트가 발생한다.[15]
레이저 도와 산탄 공격, 유도 발칸을 사용하며, 2차 형태는 팔 한쪽과 다리가 박살난 상태에서 등의 날개로부터 산탄 공격을 해 온다.
참고로 사나다 노부유키가 탄 기체는 바사라 2에 나오는 인간형 갑옷 메카의 개량형이라고 추측된다.[16]

3.4. 노부나가의 야망 시리즈


[image]
[image]
100만인의 노부나가의 야망
[image]
노부나가의 야망 대지
전형적인 B급 무장. 그나마 천도 차대를 잇는자에서 사나다가 다이묘로 당당히 등장. 능력치 총합도 305에 무력(62)을 제외한 능력치가 80 내외를 마크하여 군주로서 나쁘지 않다. 창조에서도 미청년이 되었다.

3.5. 태합입지전 시리즈


태합입지전 5에선 아버지, 동생에 비하면 초라한 감이 있지만, 내정쪽으론 쓸 만 하다. 변설이 3이라 돈 벌어오기도 좋고 산술이 1이긴 하지만 건축, 개간이 2, 예법이 3이라 직위가 올라가도 신전개발등 내정쪽 일을 맡기기 좋다.
사나다 노부유키를 주인공으로 플레이하면서 세키가하라 전투 전 아버지 마사유키와 동생 유키무라와 헤어지는 이벤트를 보면 동생 사나다 유키무라가 해금된다.

[1] 동생 사나다 노부시게의 통칭이 겐지로인데 형이 겐자부로인 것에 대해, 노부시게의 생년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노부시게가 형이지만 모친이 첩이라 후계자가 되지 못했다는 설도 존재한다. 노부유키가 형이 맞다는 반론은, 사나다 가가 대대로 삼남이 대를 이어서 대를 이을 노부유키가 겐자부로이고 둘째인 노부시게가 겐지로라고 주장한다.[2] 하지만 이것은 아버지 마사유키가 "나도 이에야스도 다이묘인데 급수가 낮은 타다카츠에게 사위로 보내라니 말도 안된다!"라고 주장해서 형식적으로 한 것이다.[3] 별책이나 일본 전국시대를 다룬 논문에서는 아버지 마사유키와 동생 노부시게가 사나다 가문 보전을 위해 형 노부유키가 동군으로 가는 걸 허락했거나 설득했다고 한다. 마치 순욱순심처럼.[4] 저걸 걸고 넘어지면 단번에 개역당해도 할 말이 없는 증거다. 다행히도 상자의 개봉 자체는 대정봉환 이후에 이루어졌다는 듯.[5] 유키무라의 본명[6] 당시에는 병이나 사고나 전쟁으로 직계혈통이 끊기는 일이 자주 있었고 그럴 경우 비교적 혈통이 가까운 친척에서 양자를 들여오거나 사위에게 가문을 잇게 하는 것이 보통이었다.[7] 막부내에서 두번째 서열이다.[8] 에도 시대에 출세하기 위해서는 가문의 격이 높을 필요가 있었다. 근대처럼 고시를 봐서 합격하면 출세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니까.[9]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에도 막부의 만성적인 적자상태를 극복하기 위해서 가장 만만한 수법이 적당한 가문하나 잡아다가 전재산을 몰수하는 거고, 두 번째로 전국시대가 지방세력이 힘을 길러 중앙의 통제를 벗어난 것이 원인이었기 때문에 그러한 일이 되풀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각 다이묘들을 압박했다. 참근교대(参勤交代)제는 그 대표적인 수법.[10] 대부분의 사무라이는 석고가 5천석도 안되었고 에도 막부의 직참 신하나 다이묘들의 심복 중의 심복이나 5천석이었다. 에도시대에는 1만석 이상이면 다이묘였고 10만석이면 상당한 권세를 누린 것이다.[11] 조루리의 기원자인 13단 아사코의 저자와 혼동돼서 그녀가 조루리의 기원자로 알려졌지만 사실은 아니다.[12] 유키무라가 "만약 형님이 바람을 피운다면?"이라고 질문하자 그 상황을 상상하는 순간 바로 공황상태가 된다(...). 덧붙여 코마츠의 성우는 코바야시 유우.[13] 도게자+사무라이. 명색이 성주라는 사람이 아내 앞에서 고개도 못 들고 산다고 해서 붙은 별명이다.[14] 애니메이션판에서 마사유키는 이토 켄타로, 유키무라는 마에노 토모아키가 각각 담당했다.[15] 만약 1P가 사이카 마고이치나 시마 사콘이면 다른 대사가 출력된다.[16] 바사라 2가 시대적으로는 바사라 1보다 먼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