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베트

 

1. 빙과류의 간식
1.1. 이름에 관해
1.2. 셔벗과 소르베
1.3. 만드는 법
2. 티아라(만화)의 등장인물
3. 드래곤볼의 등장인물


1. 빙과류의 간식



[image]
과즙, 설탕, 안정제, 전유, 탈지유, 연유, 분유 또는 아이스크림 믹스 등을 배합하여 만들어지는 빙과류. 과일향 등 향미가 있고 달콤한 간 얼음으로, 작은 숟갈로 떠 먹기도 하고 빨대로 마시기도 한다. 아이스크림보다는 덜부드럽지만 얼음보다는 끈적하다.
인류 최초의 빙과류로 고대 중동지방에서 천연의 에 과즙이나 감미료를 섞어 먹은 것이 기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혹은 사막의 극단적인 수분 증발을 이용해 상온 응결로 만들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1] 이후 중세시대 무렵에는 유럽,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등지에 전파되었다.
오스만 제국에서도 여름에 즐겨먹었는데 알다시피 그 시절에 무더운 여름에 겨울에 언 얼음을 길게 보관할 서빙고는 극도로 한정되어 있고 엄청난 값어치가 있었기에 권력으로 엄청난 귀족이나 술탄 정도나 즐겨먹을 수 있었다. 한 오스만 장군이 여름에 벌어진 격렬한 전투를 지휘해 크게 이기고 돌아오자 술탄이 온갖 상금과 재물을 줬을때, 장군은 기뻐했는데 여름이라 더우니 이것을 특별히 하사겠다고 샤베트를 주자 장군이 "태어나서 처음으로 여름에 이런 얼음을 먹어봤사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폐하!"라고 울면서 온갖 재물을 상으로 하사하던 것보다 기뻐했다는 일화도 있을 정도이다.
현대에는 과일 주스나 다른 음료에 단맛을 첨가하고 냉동기술의 힘으로 얼려서 만든다. 우유, 달걀 흰자, 젤라틴 등 점성과 지방질이 있는 재료를 넣은 것을 샤베트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으나, 그렇게 되면 아이스크림의 영역이다. 미국의 경우 유제품 함량 2% 이하만을 샤베트로 분류하고, 프랑스에서는 유제품이 조금이라도 함유된 것은 샤베트로 인정하지 않는다고 한다.
우리 나라에는 슈퍼 아이스크림 중에 80년대 중후반에 나온 대롱대롱이라는 제품이 있었는데, 오렌지맛과 메론맛의 샤베트였다. 당시 국딩들에게 그야말로 폭발적인 인기를 자랑했으나 현재는 판매중단되었다.

1.1. 이름에 관해


일상에서는 일본식 표기를 변형한 '샤베트'(일어로 샤-벳토シャーベット)와 영어식 표기인 셔벗(sherbet)이 혼용된다. 국립국어원은 영어식 명칭 '셔벗'으로 표기할 것을 권장하며, 뒤의 e를 ㅔ로 읽어도 '셔벳'이 된다.
어원은 중세 아랍어로 음료수를 뜻했던 '샤랍'(شراب)이다.[2] 페르시아어로는 샤르바트(شربت), 터키어로는 셰르벳(Şerbet)이라고 부른다 해당 문화권에서는 과일이나 장미꽃 달인 물로 만든 주스류를 가리킨다. 이 '샤르바트'가 유럽으로 들어가면서 빙수와 유사한 형태로 발전했고, 명칭도 각 언어에 맞게 변형되어 프랑스에서는 '소르베'(sorbet)란 단어로, 영어에서는 '셔벗'(sherbet)이란 단어로 정착했다.

1.2. 셔벗과 소르베


2015년 국내에서는 프랑스어인 소르베(sorbet)라는 이름이 유행하고 있다.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영미 국가에서 본래 쓰던 셔벗(sherbet)을 밀어내고 소르베가 점차 많이 쓰이자 이에 영향을 받아 한국에서도 소르베의 사용이 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내에서 샤베트 대중화가 주로 문구점, 구멍가게, 패스트푸드점의 비닐 쮸쮸바나 기계식 슬러시를 통해 이루어진 탓에 싸구려, 불량식품이라는 이미지가 있으므로 부정적 이미지를 피하기 위해 다른 용어를 차용한 듯하다. 인식이 좋지 않은 이름을 바꾸는 것은 흔한 마케팅 기법이고 한국 시장에선 '유럽 느낌'이 고급화 마케팅에 효과적이다
한국에선 소르베와 셔벗을 동일하게 보고 소르베 문서 또한 샤베트로 리다이렉트되지만 샤베트와 소르베는 엄연히 다른식품으로, '''소르베는 우유첨가없이 과즙만으로 만든 디저트고 샤베트는 우유를 첨가한 디저트다.'''

1.3. 만드는 법


에서 만들 때는 주로 레몬이나 유자, 딸기, 키위 등 상큼한 과일을 사용한다.
홍시를 얼리면 달고 수분함량이 높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샤베트와 비슷한 느낌이 난다. 한정식집 등에서 식후 디저트로 쓰이고, 시중에서도 판매된다. 냉동홍시에 우유와 을 섞어 믹서에 간 뒤 냉동실에서 살짝 얼리는 제조법도 있다. 이외에도 투게더엑설런트같은 아이스크림들을 모아서 녹인 뒤, 다시 얼리면 샤베트와 비슷한 식감을 느낄 수 있다.

1. 과일을 살짝 얼려 얼음과 함께 갈아준다.
2. 부드러운 맛을 더하기 위해 우유, 요거트 등을 조금 넣는다.
3. 과실즙, , 설탕, 시럽 등을 넣어 맛을 내는 것도 좋다.
4. 냉동실에 넣고 가끔 꺼내서 포크로 긁어준다. 포크로 자주 긁을수록 입자가 작아져서 부드러워진다고 한다.

위키니트 버전 간단 샤베트
1. 쿨피스나 쥬시쿨 같은 유산균 음료를 산다.
2. 냉동실에 2시간 정도 얼린다
3. 컵에 붓고 먹는다.

오스만 제국 궁중에서 먹던 셰르베트는 종류가 수백가지에 달하지만 그중 가장 유명한 버전은 다음과 같다. 주로 라마단 저녁식탁에서 귀빈들을 대접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재료: 체리 혹은 붉은 자두 500그램, 물 2리터, 레몬 2개, 설탕 1컵, 계피 1토막, 생강 1조각, 정향 2-3개
1. 냄비에 물, 계피, 생강, 정향, 설탕을 넣고 5분정도 끓인 뒤, 물이 끓어오르면 준비한 과일들을 넣고 더 끓인다.
2. 레몬 2개의 즙을 짜서 추가하고 더 끓인다.
3. 끓이면서 생기는 거품은 지속적으로 걷어내야한다.
4. 과일 껍질이 갈라지기 시작한다면 대강 완성되었다는 의미이다. 이제 계피, 생강, 정향을 건져서 버리고 충분히 식혀낸다.
5. 이제 셰르베트가 완성되었다. 취향에 따라 과일도 걸러내서 맑은 물을 마시는 방법도 있고, 과일과 함께 내도 된다.
6. 여름철에는 잘 갈아둔 얼음이나 눈을 그릇에 담고 위에 셰르베트를 부어서 낸다. 완성된 셰르베트는 대략 10일동안 보관이 가능하다.

2. 티아라(만화)의 등장인물


[image]
작품 후반부에 다짜고짜 학교 방어막을 뚫고 침입한 인물.[3]빨간 색머리에 개또라이. 그렇지만 다른사람이 비정상인거라고 당당하게 우기는 멘탈갑.
처음 등장할 때 협상을 위해 피렌을 인질로 잡고 두목을 불러오라고 학생들에게 다그친다.[4] 하지만 이사장이 나타나자 예전 담탱이인 것을 알아보고 피렌이 쓸모없다며 버린다. 그리고 자기 원하는 대로 해주지 않으면 예전 성격대로 일을 쳐버릴 것이라고 협박한다.
그런 협박 후 방과 후에 이사장이 '실전 응용'이란 과목을 추가한다고 말할 때 피렌이 태클을 걸자, 놀랄만큼 빠른 움직임을 보여주고[5] 교탁을 부숴서 받아들이게 만든다. 그리고 페이와 키스첼,[6] 피렌[7]을 실전응용 나머지 공부를 하게 만든다. 이사장이 이름을 밝히라고 하자, 그 날 아침 호텔에서 먹지 못한 샤베트를 자기 가명이라고 말한다.[8] 그리고 개또라이가 어떤 것인지 체험하게 해주겠다는 파격발언을 하고 웃으면서 밖으로 나간다. 그리고 계획이 다 실행되었다고 말할때 어떤 시선을 느끼고[9] 약올리는 자세를 취한다.[10]
그 후 열심히 페이네를 밭매기 시키면서 갑자기 페이만을 끌고 나가 놀다가 수제햄버거 맛집옆에 있는 낡은 교회가 적진캠프가 되어버렸다면서 쳐버리고, 햄버거를 들고 온다. 그리고 이사장에게 책임을 떠넘긴다.[11] 그리고 다시 체력 훈련을 하고 있는데, 륜의 기사들이 침입하자 페이에게 클레어를 빌려달라고 해서 멋지게 처리하고 뒤에 나타난 유영의 정체를 알아보고, 자신의 정체가 오렌 여왕이라고 밝히고[12] 재미로 싸우자고 한다. 정체가 밝혀진 뒤에도 계속 실전응용 선생을 하고 있다.

3. 드래곤볼의 등장인물


소르베 참조.

4. 죠죠의 기묘한 모험 5부의 등장인물


소르베 & 젤라토 참조.

[1] 로마인이야기 11권 종말의 시작 122p에 로마인이 "뜨거운 사막을 보고 그 열기를 이용하여 흔히 샤베트라고 부르는 빙과까지 만들었다"는 말이 나온다.[2] 졸인 설탕물을 뜻하는 시럽(syrup)도 같은 어원이다.[3] 작가가 밝힌 바에 따르면 샤베트가 매우 강한 것이라고 한다.[4] 이 때 피렌이 툴툴거리자, 샤베트 왈, 여자나 미남을 인질로 잡으면 내가 악당으로 보이는 걸? 그리고 학생들 생각.'이미 인질극을 벌이는 것 자체가 악당이야!!'[5] 중간에 움직임을 본 키스첼에 의해 저지당했다.[6] 키스첼이 아버지인 아덴의 아들이란 이유가 크게 작용했다.[7] 인질로 잡힌 공로를 인정해서 였다.[8] 이사장과 손발이 안 맞자 학생들 생각, 사전 합의도 안 하셨나요..[9] 크리스테인 카스트리스였다. 그리고 샤베트보고 '아젠트의 또라이', '전장의 미친 개'라고 표현하고 자신과는 좋지 않은 악연으로 엮인 사이라는 것을 덧붙인다.[10] 메롱이다...[11] 이사장이 페이를 다그치자, 오히려 페이는 샤베트를 칭찬한다.[12] 그 자리에 있던 사람 모두 패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