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1227

 



[image]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기타 사건사고
4.2.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227번
기점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한성여객종점)
종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전농로터리시장·서울시동부교육지원청)
종점

첫차
04:30
기점

첫차
05:05
막차
23:20
막차
23:55
평일배차
8~13분
주말배차
10~16분
운수사명
한성여객
인가대수
14대(예비 1대)[1]
노선
한성여객종점 - 하계1치안센터[단독]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원자력병원입구 - 묵동구길 - 먹골역 - 중화역 - 중랑역·동부시장 - 삼육서울병원 - 청량리역 환승센터 → 동대문경찰서 → 정화여자중·상업고등학교 → 제기시장 → 고려대학교고려대역·고대앞삼거리 → 동부아파트 → 동대문노인종합복지관 → 서울시립대학교 → 전농로터리시장·서울시동부교육지원청 → 동대문중학교 → 신답역 → 동대문구청·용두역 → 청량리역환승센터 → 이후 역순

2. 개요


한성여객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6.9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15번 도시형버스가 전신이다. 개편 전 ‘하계동 - 노원역 - 도봉역 - 수유역 - 미아삼거리역 - 성신여대입구 - 보문동 - 신설동역 - 동대문구청 - 신답역 - 전농동 - 중랑교 - 중화역 - 공릉역 - 하계동’을 경유하는 양방향 순환노선이었다.[2]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동일로 운행구간을 공릉로 운행으로 변경하고 ‘보문동 - 성신여대입구 - 미아리 - 수유리 - 쌍문동 - 도봉동 - 수락산역 - 노원역 - 하계동’ 구간을 단축하고 보문역에서 고려대 구간을 연장하여 하계동에서 고려대 구간을 운행하는 지선버스 1147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6년 1월 12일 ‘동대문구청 - 신설동 - 보문동 - 고려대병원 - 고려대’ 구간을 단축하고, 노선번호를 1227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7년 11월 20일을 기해 대당 1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3회씩, 공휴일의 경우 2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조치에 따른 배차간격 변화 정도는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관련 공문
  • 2018년 10월 13일부터 토요일 운행 댓수가 1대 감축되면서 토요일의 총 운행횟수도 9회 줄었다. 다만, 이로 인한 배차간격 변화는 매우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관련 공문
  • 2019년 5월 13일을 기해 동년 9월 30일까지, 하절기 감압충전 및 차내 냉방 실시에 의한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따라 대당 1일 운행횟수를 일시적으로 감축 운영했으며, 이에 따라 해당 기간동안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각각 3회씩 감회 운영되었다. 다만 전반적인 배차간격 변화 수준은 크지 않고, 평일 최대 배차간격만 약간 줄어서 운영되었다.하절기 한시적 운행계통 변경 공문배차간격 재조정 및 소급 적용 공문
  • 2019년 12월 23일, 정기노선조정 심의에서 회차구간 중 영휘원교차로에서 우회전하는 부분을 '영휘원교차로 좌회전 → 제기시장 → 고려대학교 → 고려대역 → 동부아파트' 형태로 변경하는 노선 조정안이 가결되었다.[3]관련 게시물
  • 2020년 2월 1일자로 해당 조정안이 실행되었다. 또한, 같은 날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93분/92분/84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10분/102분/96분으로 늘었고 이에 따라 정상운행차량과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모두 감축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평일 단축운행차량 2대중 1대가 정상운행차량으로 전환되고 공휴일 운행 댓수가 1대 늘었다. 이번 노선조정 및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는 각각 8회/10회/1회씩 감회되었으며, 배차간격도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8~15분/10~15분/10~16분에서 10~15분/12~16분/12~16분으로 늘어나게 되었다.관련 공지사항
  • 2020년 3월 9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14분/104분/98분으로 늘었고, 이에 따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 역시 재차 감축되어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4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3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상세배차가 조정되어 최소/최대 배차간격 자체는 평일 8~13분, 토요일/공휴일 10~16분으로 좁혀졌다.관련 공문

4. 특징


  • 전 차량 저상버스로 운행중이다. 과거에는 대부분이 08년식 F/L 차량이었으나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저상화로 인해 모든 차량이 172, 1017, 1143번으로 이동했다. 그 여파로 인해 저상버스는 전부 14~15년식 차량이다. 예비차로 일반버스가 1대 남아 있었다가, 2019년 10월부로 개선형 저상으로 대차되어 100번으로 이동하면서 100% 저상화가 완료되었다.
  • 주 수요처는 하계동 및 공릉동 일대와 중화역~청량리환승센터이다. 위에 언급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기기계공고 및 동산정보산업고 통학 목적 및 시립대 통학 등이다. 동일로 구간에서는 105번 보조 역할을 하며, 과기대부터 청량리역환승센터까지 노선이 겹치는 1224번의 보조역할도 하는 편이다. 또한 장거리 수요도 상당히 있는 편이다. 실제로 종점인 용두역에서 타 보면 청량리에서 탄 승객들의 상당수가 태릉사거리 이북까지 간다. 덤으로 구 1147번 시절처럼 고려대 경유도 하면서 청량리-고려대간 이동 수요도 편도로나마 보완하게 되었다.[4]
  • 여담으로 운행구간 중 중화역 이후 청량리까지는 8자 선형으로 운행한다. 편도로 다니는 구간이 3군데 있기 때문. 대신 그 편도 구간은 반대방향에도 노선이 편도로만 다니는 경우가 있어 서로 보완하는 입장이다.
  • 2006년 5월까지 한성여객의 마지막 하이파워가 다녔었다. 차번은 74사 8819이며 2006년에 NSAC 가스차로 대차되었다가, 2010년에 기존 차량은 관악교통으로 이동하고, 100번 저상으로 조기대차되어 이동했다. 2019년 9월 잉여예비차량으로 격하되어 1144번에 이동하였다가, 2020년 3월 13일에 1120번으로 이동하였다.

4.1. 기타 사건사고


  • 2020년 3월 26일에 저녁 6시 10분쯤 고려대학교 정문 앞 도로를 달리던 본 노선 버스가 앞에 있던 승용차를 들이받아 연쇄 추돌 사고가 일어났다.[5][6][7]
다행히 사망자는 발생하지 않고 승용차 운전자 포함 4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한다.관련 기사 관련 영상

4.2.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227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6,672명
-
2014년
6,584명
▽ 88
2015년
6,417명
▽ 167
2016년
6,226명
▽ 191
2017년
5,870명
▽ 356
2018년
5,728명
▽ 142
2019년
5,854명
△ 126
2020년
4,062명
▽ 1,792
※ 하차 인원 미포함
  • 아주 혼잡하지도, 그렇다고 한산하지도 않은 평균적인 수치이다.

5. 연계 철도역



[1] 토요일 / 공휴일 10대 운행[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2] 차량마다 고정 운전기사 없이 하계동 차고에서 기사들이 교대하는 방식으로 운행하여 차량들이 거의 쉬지 않고 운행했다. 인가는 개편직전 양방향 합쳐서 54대.(외선, 내선 각 25~27대로 추정)[3] 본래 이 노선은 정기노선조정 심의 대상이 아니었으나 뒤늦게 추가되었던 것이다.관련 공문[4] 중간에 동대문경찰서 이후 정화여중 정류장을 경유한다. 해당 정류장은 구 '홍릉갈비'로 표기된 정류장이자 한때는 유령 정류장이었다. 2020년 3월 이후론 3216번도 경유하며, 서울시립대와 고려대 구간을 각각 한쪽씩 맡게 되었다(3216번은 시립대 → 고려대 방면 위주, 1227번은 고려대 → 시립대 방면 위주. 청량리역에선 둘 다 같은 정류장에서 타지만, 고려대 하차 정류장 위치가 다르다).[5] 사고 차량 면허 : 서울 74사 8807[6]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고로 추정.그러나 한성여객 측은 사고 후 졸음으로 인한 사고가 아닐 것이라고 설명했다.[7] 5월 24일기준 수리되어 다시 본 노선으로 복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