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여객

 


[image]


1. 개요
2. 역사
3. 차량 특징
4. 면허 체계
5. 보유 노선
6. 개편 전 운행 노선
7. 개편 후 폐선 된 노선
8. 보유차량
9. 지분구조


1. 개요


1962년에 설립돼서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에 본사를 두고 있는 버스 회사. 정식명칭은 한성여객운수(漢星旅客運輸) 주식회사이다.

2. 역사


1962년 설립당시 별표형광등 주식회사의 계열사였으며, 번동의 한성운수와는 관련이 없는 업체다. 사실 한성운수와 계열 관계였던 적도 있었으나 지금은 계열 분리되었다. 한 때 계열사였던 까닭인지, 그로 인해 한자 표기(漢星)도 서로 같다. 도봉구 창동에 존재했던 한성버스와 계열사였으나 한성버스는 2002년에 파산. 하계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차량 보유댓수는 126대로 중간급에 속한다. 한성버스가 현재도 있었다면 계열사가 200대 이상 보유한 큰 회사가 되었을 것이다.[1]
2003년 흥안운수에 인수되었고 노조의 상급단체 변경과 임금인상 등의 문제로 2003년 6월 18일부터 대대적인 파업을 벌여 100여일동안 버스 운행이 중단되었다. 파업 당시 사진신문기사
파업초기 흥안운수 측에서 한성여객 노선을 임시운행 스티커를 붙이고 운행하였으나 노조원들이 반발하여 길거리에서 운행하는 흥안운수 측 임시운행 버스 스티커를 모조리 때내어(!) 하계동 본사앞에 쌓아놓은 적도 있었다.
이후 시 당국의 조정으로 동아운수가 333, 아진교통, 대원여객이 15, 삼양교통이 임시운행을 했던 흑역사가 존재한다.[2][3] 파업 당시 청계천 무료 셔틀버스 1대를 차출하여 운행중이었는데, 노조원들이 차고지를 점거하는 바람에 차고지 한쪽에서 썩어가는(!) 셔틀버스의 모습을 목격할 수 있었다.
결국 파업이 끝나고 흥안운수의 계열사로 편입되었다. 한편 2004년 개편과 동시에 대대적으로 노선과 차량면허를 갈아엎었다. 이 시기에 간판노선인 15번과 34번은 큰 폭으로 노선이 잘렸다.[4]

3. 차량 특징


본래 한성여객운수는 2000년대 초반까지 일부 중고차나 지역순환버스(407번) 운행 목적으로 출고했던 코스모스와 에어로타운을 제외하면 대우버스만 도입하는 업체로 유명했지만, 2003년경 흥안운수 계열로 편입되면서 현대차 주력업체로 변모하였다. 대개편 직후에는 한성여객에서 뽑은 하이파워와 로얄시티가 주력이었고 여기에 흥안운수 인수 직후에 도입한 슈퍼 에어로시티(03년식), 삼화상운에서 넘어온 슈퍼 에어로시티(00~01년식), 흥안운수에서 넘어온 에어로시티(99~00년식)가 섞여서 다녔다. 또한 간선도색을 입고 들어온 슈퍼 에어로시티 천연가스버스(04년식)과 디젤차(04년식)가 공존하였다. 코스모스(97년식)와 에어로타운(97, 99년식)은 407(1120)번에서만 다녔다.
이후 2004년 12월부터 뉴 슈퍼 에어로시티 천연가스버스로 세대교체를 시작하여 2005, 2008년 두 차례에 걸친 유상감차와 2009~2010년에 디젤차량 대거 숙청[5]을 통해 2010년에 모두 천연가스버스로 교체되었다.
2009년부터 2016년 5월까지 저상버스만 신차로 출고하다가[6] 2016년 6월 말, 172번 2005년식 차량들이 대차되면서 일반형 신차가 투입되었다. 2017년에는 기존 2006년식 차량 대차분으로 일반형 차량들을 대량 출고했다. 또, 흥삼한 계열사 중 유일하게 2008년형 일반형 차량을 보유한 곳이기도 했다. 2018년 12월, 흥삼한 중에서 07년식 NSAC CNG[7]가 먼저 전멸하였다. 참고로, 관악교통을 제외하고 흥삼한에서 가장 먼저 지선버스에 저상을 넣은 업체이다.[8]
노선 당 예비차를 한 대 이상씩 무조건 구비하고 있다. 100번은 무려 3대다. 흥안운수와 삼화상운이 다수요 노선과 심야버스 다중등록 차량을 예비로 이용하고, 다른 노선에는 별도의 예비차를 따로 두지 않거나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모습과 대조적이다.
흥안운수와 삼화상운에 비해 지선, 간선 간 차량 투입에 있어서 차별이 덜한 편이다. 사실 이는 172번의 저상투입이 불가능한 까닭이 크다. 오히려 초기에 저상화가 된 100번의 연식이 오래된 편이다. 하지만 172, 1017번과 같이 저상버스 투입 불가 노선같은 경우에는 오랫동안 구형차량의 말년 요양원이 되었다. 현재는 나머지 노선의 저상화가 모두 완료됨에 따라 더 이상 차돌리기할 차가 없고, 이들 노선에서 운행중이던 차량들의 내구연한도 임박하여, 모두 신차로 교체되어 개선형 차량의 비중이 50% 정도로 굉장히 높은 편이다.
인가대수 128대 중 172(28대), 1017(11대), 1144번 6대, 8112번(2대)을 제외한 차량은 모두 저상이며, 투입율은 64%다.
2020년 11월 기준, 하계동 차고지 건너편에 있는 제2 차고지(세이브존 공영주차장)에 전기충전소를 짓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e-화이버드와 하이퍼스 11L이 출고되었다. 골수 현대빠이던 흥삼한에서 약 20년만에 등장한 첫 타 제조사 차량이다.[9]


4. 면허 체계


  • 서울 7068##호 ~ 69##[10]
  • 서울 748701호 ~ 8852[11]
  • 서울 751745 ~ 1754호 / 2934 ~ 2938, 2948 ~ 2950[12]

5. 보유 노선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100
하계동
길음뉴타운 - 삼선교 - 혜화동 - 을지로1~4가 - 남대문시장 - 서울역 - 삼각지역 - 이촌역 - 서빙고역
용산구청
5~15분
172
하계동
장위동 - 삼선교 - 혜화동 - 안국역 - 조계사 - 충정로역 - 신촌 - 연세대학교 - 성산동
상암 DMC
8~12분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1017
월계동
광운대학교 - 월곡동 - 종암동 - 고려대학교 - 동부병원 - 왕십리동
상왕십리역
10~15분
1131[13]
중계동
은행사거리 - 하계역 - 월계역
석계역
15~20분
1120
하계동
대진여고 - 창동주공17~19단지 - 창동역 - 노원역 - 쌍문동 - 덕성여대 - 미아역
도봉세무서
12~18분
1140[14]
월계동
하계역 - 중계역 - 상명고 - 상계역 - 중계2~5단지
은행사거리
13~20분
1141[15]
중계동
은행사거리 - 중계9단지 - 하계역 - 서울과기대 - 원자력병원 - 태릉입구역
석계역
12~22분
1143[16]
중계동
서울과기대 - 은행사거리 - 상명고 - 상계역 - 마들역 - 수락산역
수락리버시티
15~30분
1144
하계동
서울IT고 - 창동역 - 노원구청 - 방학동신동아A
북한산우이역
12~18분
1154
하계동
상명고 - 노원역 - 마들역 - 수락산역 - 장암역 - 장암주공2,5,7단지
신곡동
10~15분
1227
하계동
서울과기대 - 원자력병원 - 먹골역 - 중랑역 - 삼육서울병원 - 청량리역 - 용두동
전농동
8~15분
8112[맞춤]
월계2교
장위동 → 북서울꿈의숲 → 창문여고 → 숭곡초등학교 → 월곡뉴타운 → 길음뉴타운 → 미아리고개
성신여대입구역
8~15분

6. 개편 전 운행 노선


  • 15 : 하계동 - 노원역 - 도봉역 - 미아사거리 - 성신여대입구 - 보문동 - 신답역 - 중랑교 - 중화동 - 공릉역 - 하계동[17][18][19]
  • 20 : 상계7단지 - 수락산역 - 도봉역 - 쌍문역 - 신창동 - 미아사거리 - 삼선교 - 동소문로 - 창경궁 - 안국동 - 서울역[20][21]
  • 20-3 : 상계7단지 - 노원역 - 수락산역 - 노원마을 - 장암역 - 장암지구 - 신곡1동 - 의정부백병원[22]
  • 34 : 상계7단지 - 상계백병원 - 한신코아 - 광운대 - 장위동 - 드림랜드 - 월곡동 - 고대 - 청계천 - 퇴계로 - 만리동 - 대흥동 - 신촌 - 이대입구[23]
  • 34-1 : 하계동 - 중계동 - 하계동 - 한신코아 - 인덕대학 - 장위동 - 삼선교 - 창경궁 - 청계천/종로 - 퇴계로 - 만리동 - 대흥동 - 신촌 - 이대입구[24]
  • 333 : 하계동 - 중계동 - 창동역 - 상계주공 - 방학사거리 - 도선사입구 - 덕성여대 - 신일고 - 대지극장[25]
  • 720 : 노원교 - 노원역 - 하계역 - 광운대 - 석계역 - 이문동 - 외대 - 경희대 - 홍릉 - 청량리 - 경동시장[26]
  • 720-1 : 상계7단지 - 노원역 - 수락산역 - 노원마을 - 장암역 - 장암고개 - 장암주공 - 신곡1동사무소[28]
  • 407 : 하계동 - 대진여고 - 서울외고 - 창동역동측 - 창동역서측 - 도봉보건소 - 쌍문4동 - 덕성여자대학교[29]
  • 410 : 상계현대2차아파트 - 상계15단지 - 마들역 - 상계7단지 - 노원역 - 노원구청 - 상계고 - 창동역[30]

7. 개편 후 폐선 된 노선


  • 103 : 하계동 - 용산구청 - 2005년 8월 9일 서초역으로 연장되면서 149번으로 변경되었으나 2009년 7월 11일 용산구청으로 단축되어 다시 부활했다. 번호는 다르지만. (현재 서울 100번 버스로 변경됨)
  • 149 : 하계동 - 서초역 - 2009년 7월 11일 용산구청으로 단축되었다. 2011년경에 100번으로 번호변경.
  • 1145 : 하계동 - 도봉동[31]
  • 1147 : 하계동 - 고려대 - 2006년 1월 10일 용두역으로 연장 및 1227번으로 변경.(구 15)
  • 1153 : 하계동 - 신곡동 - 2008년 10월 28일 1154번으로 통합.(구 720-1)
  • 1159 : 창동역 - 중계역 - 개편전 번창운수로 양도 후 2005년 7월 17일 폐선.
  • 1160 : 월계청백아파트 - 하계역 - 개편전 번창운수로 양도 후 2011년 8월 25일 1161번으로 통합.
  • 3423 : 현재 노선과 99% 중복, 2005년 6월 폐선.
  • 8110 : 하계동 - 길음뉴타운 - 2009년 7월 11일 폐선, 2015년 5월 11일에 신설된 8110번과 관련없음.[32]
  • 8146 : 상계동 - 강남역 - 동부간선도로 경유 급행버스, 2009년 7월 11일 폐선.(흥안, 삼화, 한성 공동배차였었다.)

8. 보유차량



8.1. 현재 보유차량



8.1.1. 현대자동차



8.1.2. 에디슨모터스



8.1.3. 하이거



8.2. 과거 보유차량



8.2.1. 자일상용차



8.2.2. 현대자동차



8.2.3. 기아



9. 지분구조


주주
지분율
비고
삼화상운
29.83%

흥안운수
29.76%

자사주
22.60%

조성봉
16.78%

조장우
1.03%
現 대표이사

[1] 1990년에 한성버스 버스 보유댓수가 150대를 넘었다. 당시엔 상계동~망원동(인가 17대...)/상계동~목동(인가 21대...) 등의 노선도 있었다.[2] 임시운행 당시 임시 운행사의 차고지 사정으로 원래 노선과 약간 다른 노선을 운행하거나 일부 구간을 단축 운행했다. 이로 인해 혼란이 있었다.[3] 위 링크의 사례로 당시 15번은 하계동 본사를 중심으로 노원역, 도봉로 일대, 고려대, 청량리 등을 돌아서 내/외선으로 운행하던 순환선이었다. 그런데 임시지원을 나온 대원여객은 의정부기점으로 이 노선을 운행했고, 아진교통은 자기네 차고지인 도봉산을 기점으로 운행했다. 거기다가 한성여객 비파업차량은 하계동 기점으로 운행하는 바람에 혼란이 심했다. 결국은 한성여객 기준으로 통일되었다, 그것말고도 한성운수는 34-1번 공배에 참여했는데, 한성여객 차량이 자기 노선을 따라서 하계동으로 갈 때 한성운수 차는 자기네 차고지인 번동으로 가서 승객들이 혼란을 빚었다.[4] 15, 34번 인가댓수는 모두 103(현 100)번 신설, 172, 1144번 증차, 1145(이후 폐지)번 양수, 1154번 연장에 따라서 배분되었다.[5] 차령이 남은 03~04년식 슈퍼 에어로시티도 중고매각 및 수출. 일부는 도영운수에서 다녔다. 그리고 디젤차 대차분 중에는 2007년식도 있었는데, 자제출고분이 아닌 계열사인 흥안운수 출신 차량이었다.[6] 처음에는 100번에만 투입했지만, 2013년부터는 1140번, 1144번, 1154번, 1227번등의 지선노선에도 투입하기 시작했다.[7] 07년식 상당수는 흥안운수, 삼화상운에서 이관된 차량으로가 저상버스 출고로 인해 밀려난 차량이 있고, 그 외에도 일부는 2008년 12월 유상감차 말소로 인해서 06~07년식 차량을 말소시키면서 가져왔으며 이를 통해 한성여객 소속의 99~01년식 구형차량을 대차시켰다.[8] 관악교통은 흥삼한 인수 이전에 6515번에 구형 BS110CN과 구형 NSAC 저상을 투입해왔고, 인수 이후에도 꾸준히 저상버스를 넣었다. 다만, 관악교통 지선버스 중 저상투입이 가능한 노선이 6515번 뿐이고, 6515번이 주력노선이라는 게 흠... (5515, 5519는 언덕을 올라가기 때문에 그린시티만 투입이 가능하며, 8541은 6515 출신 예비차 등록 3대로만 운행한다.)[9] 순수 흥삼한에서 최초이며, 관악교통서울교통네트웍은 좀 더 앞서서 e-화이버드와 하이퍼스 11L을 출고했다.[10] 노원구 면허 시내버스 회사들 증차번호. 그 중 6860호가 유일하다.[11] 본 회사 주 면허.[12] 본 회사 추가 면허.[13] 흥안운수와 공동 배차.[14] 삼화상운과 공동 배차.[15] 흥안운수와 공동 배차.[16] 흥안운수, 삼화상운과 공동 배차.[맞춤] 맞춤버스. 아진교통, 진아교통, 삼양교통과 공동배차.[17] 반시계방향과 시계방향으로 나뉘어서 다녔다.[18] 양방향 합쳐 54대로 운행하던 동북부를 순환하는 전설의 노선이자, 동일로를 주름잡던 한성여객의 과거 밥줄. 자세한 운행경로는링크 참고. 개편으로 노선이 반토막나서 1227번으로 운행중이지만 실질적 수요구간은 142번이 가져갔다.[19] 142번 구간 중 도봉역 - 보문역 구간이 구. 15번 구간이다. [20] 복편은 서울역에서 회차하고 퇴계로를 따라 창경궁으로 돌아온 뒤, 대학로를 찍고 역순으로 되돌아갔다.[21] 2002년 부도난 한성버스에서 승계받은 노선이었으나 운행파행을 겪었으며, 2004년 1월쯤이 돼서야 버스 개편 직전에야 정상운행했던 흑역사급 노선[22] 2004년 대개편과 함께 1154번으로 계승. 이쪽은 특이하게도 노원로를 따라서 하계동으로 연장되었다.[23] 상계동 - 이대입구 - 노선 개편과 함께 월계동-상계 7단지, 상왕십리-이대구간이 단축되어 1017번으로 계승. 사실 이쪽도 묻혀서 그렇지, 7 (1138) 만큼이나 반 이상이 잘려나가고 청계로~신촌구간은 서울 버스 173이 대체운행 하고 있다.[24] 하계동 - 이대입구 - 노선 개편과 함께 상암동으로 연장 및 변경하여 172번으로 계승[25] 노선 개편과 함께 수유역으로 단축하여 1144번으로 계승[26] 본래 동대문, 종로, 광화문, 마포를 거쳐서 여의도 가는 좌석버스 였다가 2001년 5월 말 경에 도시형 버스로 전환하여 다녔으나 무성의 하고 긴 배차간격 운행으로 인해 수요감소로 경동시장으로 단축 후 다녔으나 폐선되었다.[27] 차고지가 가스충전소 근처인 상계7단지 인지라 이런게 가능했다. 가스차들은 대부분이 1227출신으로 04 ~ 06년식이였다.[28] 개편 후에는 1153번으로 노원역-장암동 구간을 운행했다. 말년에는 다른 노선들과 달리 가스차까지 투입되었으나[27], 결국 의정부 버스 72-1, 의정부 버스 12-3과 같이 8,90% 중복되는 노선들에 밀려서 2008년 11월을 끝으로 폐선되었다.[29] 노선 개편과 함께 1120번으로 계승[30] 노선 개편과 함께 1129번으로 계승 운행 업체는 삼화상운으로 변경 기존의 기점이 종점이되고 기점은 상계8동으로 변경.[31] 흥안운수에서 도봉동-청량리를 운행하던 215번이었으나, 서울교통네트웍 컨소시엄 참여로 차가 모자라게되자, 하계동으로 단축하고 한성여객으로 넘겼다. 2005년 6월 20일을 끝으로 폐선되었다. 폐선 후 도봉구간 한정으로 146번이 대체하고 있다.[32] 이 쪽은 경기도 간선급행버스 노선으로 신설된 뒤 경기도 급행버스로 전환된 노선이다.[33] 1120번1154번에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