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100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한성여객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7.1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된 103번 간선버스(하계동 - 서빙고역)가 전신이다.
- 2005년 5월 26일에 4011번(사당역 - 용산역)이 폐선되면서 민원이 발생해, 이를 대체하기 위해 2005년 8월 9일에 서초역으로 연장되었고 권역에 맞춰 번호가 149번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0년 중반에 용산구청으로 연장되었다.
- 2012년 3월 16일에 노선번호가 권역에 맞게 100번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8년 11월 16일부터 막차시각이 22:30으로 기존보다 10분 앞당겨지고, 1일 운행횟수가 조정되어 평일 운행횟수는 2회 증회된 반면 토요일과 공휴일의 운행횟수는 감회되었다. 이와 동시에 전반적인 배차간격 조정이 이루어지기도 했다[2] .관련 공문
- 2019년 5월 13일을 기해 동년 9월 30일까지, 하절기 감압충전 및 차내 냉방 실시에 의한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따라, 대당 1일 운행횟수를 일시적으로 감축 운영했다. 이에 따라 해당 기간동안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3회씩, 공휴일의 경우 2회 감회되었으며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전반적인 배차간격 변동은 거의 없었으나 평일의 경우 최소 배차간격은 늘고 최대 배차간격은 줄어드는 형태로 배차간격이 조정됐었다.하절기 운행계통 변경 공문배차간격 재조정 및 소급 적용 공문
- 2019년 12월 30일을 기해 본래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212분/205분/190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31분/226분/209분으로 늘었고, 이에 따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3회씩, 공휴일의 경우 2회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6~13분이던 평일 배차간격이 8~12분으로 조정되고, 토요일 최대 배차간격도 12분으로 1분 줄었다.관련 공문1관련 공문2
4. 특징
- 전 차량 저상으로 운행한다. 화이버드 4대 하이퍼스 6대 현대저상버스22대
- 주 수요처는 노원구와 용산구 일대이다. 우선 이촌동 일대에서, 버스 노선은 0015번(폐선)이 있었으나 이촌동에서 도심을(서울역, 롯데백화점 본점 등) 나가기위해 이용하기엔 서부이촌동, 효창동, 후암동까지 찍고 나가는 용산구 투어 탓에 적합하지 않았다. 가뜩이나 사람이 많이 몰리는 상황에 차까지 부족한 상황에서 2005년 5월경, 당시 방배2동~용산역을 운행했던 4011번 버스가 폐선되고 이촌동에서 서초동으로 출퇴근하던 주민들의 요청으로 결국 반포대교를 건너 서초동까지 연장, 149번 번호를 달게 되었다. 기존 103번은 삼화상운의 1016번이 가져가게 되었다.
- 서초동 연장 이후 용산구를 지나 서초구 지역의 수요까지 챙기게 되면서 실상 리즈시절을 맞게 되었지만 서초동 쪽은 정체가 심해 강북 구간의 배차간격이 많이 안 좋아졌었다. 서빙고동에서 반포대교를 건너는 데만 1시간이 걸리기도 한다고 할 정도로 정체가 심했다. 결국 2009년 삼성여객 0014와 0015가 통합되어 405번이 생기면서 이 노선은 다시 서빙고역까지 단축되었고, 그 이후 2010년 용산구청으로 올라가게 되는 것으로 변경됐다.
- 이 노선이 서빙고역까지 단축될 때에는 아래의 100번이 운행 중이어서 번호 변경이 불가능했었다. 2010년 1월 기존 100번이 140번과 통합되어 '100'이라는 번호가 공번이 되어 번호 변경이 가능했으나 이용승객들의 혼란을 막고자 노선 번호 변경을 바로 하진 않았던 것으로 보여진다. 마침내 2012년 3월 100번으로 변경되었다. 이제서야 제 번호를 찾게 된 셈.
- 참고로 하계동에서 시간이 촉박한 상황에서 서울 도심 방향으로 가려면 차고지에서 버스를 타지 말고 하계동 세이브존 옆의 정류장에서 타는 것을 추천한다. 차고지에서 타면 마을버스 수준으로 중계동, 하계동을 한바퀴 휘감아 돌고 좀 전에 있었던 차고지 앞을 지나서 바로 인근의 하계역.세이브존 정류장을 찍고 도심(혜화동, 종로5가)방향으로 신나게 직진한다. 참고로 앉아가고 싶으면 대진고등학교 건너편 정류장에서 타자.
- 배차가 수요에 비해 다소 긴 편이며, 하계동 한 바퀴 돌고 막 인덕대로 나갈때부터 이미 차는 만차이다. 이 기세로 대부분 길음뉴타운 내지 성신여대까지 간다. 따라서 하계 미성, 장미 아파트 인근에 산다면 장위동으로 돌아가더라도 그냥 172번 타는게 속 편하다. 월계로를 관통하는 유일한 노선으로 하계동과 미아사거리를 빠르게 이어주기 때문에 월계로 연선과 하계동에서는 늘 수요가 폭발하는 중이다. 이 때문에 막장배차가 항상 문제가 되고 있다.
- 새벽 첫차시간대나 야간 심야시간대에는 장거리 수요가 어느정도 있다. 해당시간대 연선지역에서 대중교통편이 이것 뿐이니 지하철로는 접근이 애매한 장위동, 하계동과 서울 시내간을 쭉 자리깔고 오가는 사람들이 상당수 있다.
- 서빙고역 정류장에서는 하계동 방면과 용산구청 방면이 모두 정차하니 행선지를 잘 보고 타야한다. 앞쪽 정류장에 용산구청행이, 뒤쪽 정류장에 하계동행이 정차한다.
- 2020년 11월 전기버스 8대가 투입되었다. 차종은 E화이버드와 하이거 하이퍼스 11L이다.
- 다른 흥삼한 간선처럼 이 노선 역시 에코시스템이 도입된 이후에도 꽤 속도를 내며 다니는 노선 중 하나이다. 노선 특성 상 정체로 인해 배차를 맞추기 힘든 구간이 많기 때문이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역, 남영역[3] , 용산역[A]
-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4가역[4] , 을지로3가역[5] , 을지로입구역[6]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B]
- [image] 수도권 전철 3호선: 을지로3가역
- [image] 수도권 전철 4호선: 길음역[7] , 성신여대입구역[8] , 한성대입구역[9] , 혜화역[10]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B] , 서울역, 숙대입구역, 삼각지역, 신용산역, 이촌역
- [image] 수도권 전철 5호선: 을지로4가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B]
- [image] 서울 지하철 6호선: 삼각지역
- [image] 서울 지하철 7호선: 중계역, 하계역
- [image]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 용산역[A] , 이촌역, 서빙고역
- [image]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image]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성신여대입구역
-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공항철도 직통열차), 용산역(KTX, ITX-청춘,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A]
[1] 토요일 26대 / 공휴일 24대 운행[2] 평일의 경우 최소 배차간격은 2분 줄은 6분으로, 최대 배차간격은 1분 증가한 13분으로 조정되었다. 그리고 토요일의 최대 배차간격이 기존보다 1분 늘고, 공휴일 최대 배차간격은 2분 줄면서 전일에 걸친 인가상의 최대 배차간격은 13분으로 통일되었다.[3] 숙대입구역 하차 도보 5분 거리[A] A B C 신용산역 하차[4] 을지로4가 정류장 하차 시 1, 10번 출구와 연계[5] 을지로3가 정류장 하차 시 2, 10번 출구와 연계[6] 롯데백화점(용산구청 방면), 을지로입구.로얄호텔(하계동 방면)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약 2~3분[B] A B C 하계동 방면 한정 광희동 정류장 하차 시 8번 출구와 연계[7] 길음뉴타운 정류장 하차[8]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정류장 하차[9] 삼선교.한성대학교 정류장 하차[10] 하계동 방면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