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320

 



[image]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2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복정역환승센터)
종점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중랑구청)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08
막차
23:00
막차
00:20
평일배차
7~9분
주말배차
토요일 8~10분 / 공휴일 9~11분
운수사명
남성버스
인가대수
24대(예비 1대)[1]
노선
복정역환승센터 - 장지역·가든파이브 - 가락시장역 - 석촌역 - 잠실역 - 잠실대교 - 광진구청 - 구의사거리 - 어린이대공원후문·아차산역 - 신성시장 - 대원고교 - 용마산역 - 용마한신아파트 - 중화중학교 - 망우3동주민센터·혜원여중고후문 → 면목육거리 → 면목2동주민센터 → 면목5동 → 서울우유 → 중랑역·동부시장 → 상봉역·중랑우체국 → 신내쌍용아파트 → 중랑구청 → 성원아파트·경남아너스빌 → 망우지구대 → 상봉터미널 → 망우3동주민센터·혜원여중·고후문 → 이후 역순

2. 개요


남성버스에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9.5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311번(면목8동차고지 - 배명고)이 폐선되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 2005년 8월 5일에 신설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기존 2311번 노선을 남북으로 연장한 형태이다.
  • 송파공영차고지에 입주하기 전에는 운행 후 성남 양지동 차고지로 공차회송을 했었다. 개통하고 2주만에 송파공영차고지에 입주하게 되어 공차회송은 없어졌다.
  • 2010년 4월 29일에 회차구간이 상봉터미널에서 중랑구청으로 연장되었다.
  • 민원이 발생하면서 중랑구청으로 갈 때 면목육거리에서 상봉역으로 가지 않고 서울우유까지 돌아서 가도록 변경하는 안건에 대해 2016년 6월 14일부터 30일까지 의견조회를 받았다. 관련 공문
  • 2017년 2월 25일에 '면목육거리 → 상봉역' 구간이 '면목육거리 → 금성시장 → 면목2동주민센터 → 면목5동(겸재교) → 면목2동한신아파트 → 서울우유 → 중랑역.동부시장[2] → 상봉역'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기사 관련 게시물 안건과 달리 면목한신아파트 주민들의 민원을 반영하여 면목육거리에서 바로 상봉파출소와 서울우유로 가지 않고 면목2동과 한신아파트로 돌아서 가게 되었다. 그리고 동시에 462번에서 2대를 가지고 왔다. 관련 공문 기존 '상봉역(면목6거리) - 상봉터미널' 구간은 2230번을, '중랑구청사거리 - 중화중' 구간은 2012번을 이용하면 된다(두 노선 전부 왕복이며 특히 2230번은 320번의 편도 구간을 충분히 대체하는 성격이기 때문).[3] 이 외에 동일로 구간 정류장에선 2312번이 비슷하게 대체 가능하며, 중랑역-중랑구청 구간은 2311번으로 대체할 수 있다.
  • 2018년 3월 16일 462번 단축에 따른 감차분 4대중 2대가 이 노선으로 이동했다.
  • 2021년 2월 3일부터 송파공영차고지 앞 도로개량공사로 인해 기점이 복정역 환승센터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일반버스 5대, 저상버스 19대를 투입하여 운행한다.
  • 이 노선은 서울 동부의 끝과 끝을 이어주는 노선이라고 보면 된다. 반대로 서울 서부에는 571번이 서울 서부의 끝과 끝을 이어주고 있다.
  • 이 노선이 생긴 것은 2311번의 대체 성격도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광진구중랑구 깊숙이 들어가는 70번(남한산성입구 - 중랑공영차고지)을 견제하기 위한 카더라가 있는 듯하다. 실제로 70번은 오랫동안 중곡동/망우동 일대와 천호/잠실 일대를 이어주는 사실상의 독점 노선이었기 때문인데[4] 잠실 방면으로 빠르게 이어주는 이 노선이 개통되면서 잠실쪽 수요 대부분을 빼왔다. 아차산역 기준으로 광나루역과 천호역, 올림픽공원 등을 경유하여 돌아서 오는 70번보다 광진경찰서, 광진구청을 경유하여 잠실대교로 직접 넘어오는 이 노선이 훨씬 빠르다. 70번이 중형차량으로 바뀌게 된 결정적인 원인을 이 노선으로 꼽기도 한다. 잠실역 접근성 역시 이 노선이 한수 위에 있다.
  • 신성시장 - 광진구청 구간에서는 광진04번보다도 잘 오지 않는 데다가, 요금도 마을버스보다 비싸기 때문에 인근 주민들에게는 외면받는 경우가 잦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수요는 마을버스와 경합이 없는 중랑구 지역과 잠실역 이남을 오가는 승객들.[5]
  • 동사 노선 중 가장 북쪽으로 가는 노선이며, 3425번과 함께 서울 시내 안에서만 운행하는 노선이다. 또한 유일하게 4권역(강남구, 서초구) 땅을 밟지 않는 노선이다.
[image]
[image]
[image]
  • 여담으로 지선버스 도색을 한 차량을 운행한 적이 있었다. 4423번이 폐선으로 증차를 위해 이동.[6]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20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2,075명
-
2014년
11,916명
▽ 159
2015년
12,336명
△ 420
2016년
12,547명
△ 211
2017년
12,838명
△ 291
2018년
13,687명
△ 849
2019년
14,223명
△ 536
2020년
12,091명
▽ 2,132
※ 하차 인원 미포함
  • 2018년에 승객수가 조금 많이 늘어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면목동 구간을 더 꼬아놓으면서 구간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7]

5. 연계 철도역



[1] 토요일 21대 / 공휴일 20대 운행[2] 인가상으로 기재했으나 실제론 무정차. 그러나 동년 11월 17일로 정차하게 된다.[3] 특히 세 노선이 양방향으로 만나는 중화중학교 정류장에서의 상호 환승으로 대체 가능. 이 외에도 70번과의 환승을 통해 동원사거리 정류장에서 상봉터미널 단거리 직선만 이동하는 것도 가능. 이는 2012번도 같은 조건이며, 왕편 기준이다(상봉터미널에서 돌아갈 때는 그냥 320번만 타도 충분하다). 전술한 대로 320번이 과거와 비교하면 꽤 돌아가기 때문.[4] 특히 중곡역 인근 구간이 대표적인 독점 구간이다. 2227번, 4212번도 다니지만 이 두 노선은 중곡동에서 편도로 운행하기에 거기선 반 정도 효율적이다. 특히 4212번은 2227번과 달리 회차구간 왕편 정류장과 복편 정류장 간격이 길다.[5] 하지만 구의2동주민센터~복정역 구간에서는 302번(광진경찰서 부터 겹침), 303번, 9403번이 사람이 많을때 커버를 해줄 수 있긴 하다. 실제로 303번 못타서 이 노선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다. [6] 후면부에 천연가스버스 폰트를 제거한 걸로 보아 간선도색 재도색 직전에 촬영된 것으로 추측된다. 2010년 말에 지선도색으로 재도색하여 4419번으로 이동했다가 2017년 5월에 저상버스로 대차되어 다시 이 노선으로 돌아와서 운행중이다.[7] 단, 면목2동과 상봉2동 구간은 320번의 반대편 대체 노선이 아직 없다.[8] 용암사입구 하차[9] 망우지구대 하차.[10] 평일6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