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지선버스/2권역
1. 개요
2. 공번
3. 2012A, 2012B(상진운수)
4. 2016(대원교통)★
5. 2111(북부운수)
6. 2212(북부운수)
7. 2214(상진운수)
8. 2215(상진운수)
9. 2216(상진운수)
10. 2217(북부운수)
11. 2219(경성여객)
12. 2220(대흥교통)
13. 2221(대공원정문)(신흥기업)
14. 2223(신흥기업 → 오케이버스)
15. 2223(상진운수)
16. 2225(신흥기업)
17. 2225(대원교통)
18. 2226(대원여객)
19. 2228(대원교통)
20. 2229(대원교통)
21. 2230(대원교통)☆
22. 2231(대원교통)
23. 2232(대원여객)
24. 2236(금진교통)
25. 2237(금진교통)
26. 2311(경성여객)☆
27. 2411(대흥교통)
1. 개요
- 주간선버스는 ㈜, 현존하는 노선과 번호만 같은 노선은 ☆, 현존하는 노선과 번호와 회사 모두 같은 노선은 ★로 표시한다.
2. 공번
2011번 : 당초 휘경동 - 동대문운동장 구간만 운행하기로 되었으나, 신설 예정이었던 1214번의 동대문운동장 - 옥수동 구간을 합쳐 2233번으로 확정.
2213번 : 당초 기존 402번 노선 그대로 운행할 예정이었으나 1214번의 성북동 - 종로6가 구간 및 신설동역 - 동대문역 구간을 붙여 2112번으로 확정.
2218번 : 당초 중랑공영차고지 - 사가정역 - 전농동 - 왕십리역 구간만 운행하기로 되었으나 동대문운동장으로 연장해 2015번으로 확정.
2414번: 사유 미상.
3. 2012A, 2012B(상진운수)
운행구간(2012A) : 중랑공영차고지 → 봉화산역(2번출구) → 화랑대역 → 봉화산역(3번출구) → 신내8~9단지 → 신내10단지 → 국민은행망우동지점 → 상봉터미널 → 동원시장 → 중화중 → 용마산역 → 대원고 → 중곡동종점 → 신성시장 → 중곡동입구삼거리 → 용마초교 → '''능동우편취급소(A만 경유)/중곡주유소(B만 경유)''' → 군자삼거리 → 세종초교 → 화양시장 → 화양리 → 성수2가3동주민센터 → 상원 → 한양대역 → 왕십리역 → 상왕십리역 → 도로교통공단 → 신당역 → 동대문운동장(당시 명칭) → 동대문 → 숭인동 → 신설동로터리 → 제기동역 → 청량리역버스환승센터 → 삼육서울병원 → 중랑교 → 중화2동새마을금고 → 중화역 → 중흥초교 → 신현중 → 중랑구청 → 동성A → 신내10단지 → 신내8~9단지 → 중랑소방서 → 신내5~7단지 → 중랑구립도서관 → 원묵초교 → 화랑대역 → 신내6~7단지 → 중랑공영차고지
운행구간(2012B) : 위 구간을 역순으로 운행(능동우편취급소 대신 중곡주유소 경유)
2004년 7월 대개편으로 신설된 노선으로, 舊 도시형 542번을 어느 정도 답습하는 노선이었다. 본디 화랑대역과 중곡동, 동대문운동장을 잇는 노선이었으나 2005년 6월 15일부로 舊 2215번과 통합하여 순환노선이 되었다. 노선번호에 A와 B가 붙기 전에는 각각 중곡동 방향, 청량리 방향이라는 명칭이 붙어있었다. 이후 화랑대역에서 중랑공영차고지로 연장.
배차 단축을 통한 노선 효율화를 위해 2010년 8월 21일 첫차부터 노선이 분리되어 A는 동대문운동장, 신당동 회차로 변경되면서 2012번으로, B는 제기동과 경동시장 회차로 변경되면서 2223번이 되었다. 동대문구 공지사항(클릭시 hwp 파일이 자동으로 다운로드되니 주의)
4. 2016(대원교통)★
[image]
서울 KD에서 극히 드물었던 2002년식 BS106L. 위 차량은 폐선 직후 타 계열사로 이동했으며, 면허는 유상감차로 말소되었다.
운행구간 : 남양주시(사릉) - 금곡 - 예비군훈련장 - 양정동사거리 - 남양주시청2청사 - 돌다리 - 망우리고개 - 상봉역 - 사가정역 - 장안교 - 전농사거리 - (→ 답십리역사거리 →/← 동대문중 ←) - 동대문구청 - 왕십리역 - 신당역 → 동대문운동장 → 동평화시장 → 성동공고 → 신당역 → 이후 역순
청량리역까지 가던 2230번이 전신이며, 2005년 7월 5일에 봉우재길, 면목육거리, 이후 2015번과 동일 경로로 동대문운동장까지 연장되면서 번호가 2016번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덕분에 진건에서는 얼떨결에 서울 도심까지 한번에 갈 수 있는 노선이 생겼다.[1]
하지만 중랑구에서는 노선이 2015번과 비슷한데 배차간격에서는 2015번에게 밀리다보니 수요가 별로 없었고[2] 결국 중앙선 전철이 개통하면서 2005년 12월 16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차량 중 일부는 2015번으로 넘어가면서 당시 10~15분 간격이었던 배차간격을 개선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으며, 나머지 차량 중 일부는 당시 신설된 240번으로 넘어갔다.
경기도 유출입 노선이 도심으로 확 연장되거나 서울 안에서만 다녔던 노선이 얼마 없는데, 그 얼마 없는 사례 중 하나가 이 노선이다. 비슷한 노선으로 舊 7023번이 있었는데, 처음에 경기도구간을 단축했다가 얼마 못 가 환원, 이후 도심구간이 단축된 후 폐선되었다.
폐선되기 직전인 2005년 9월에 대원운수에서 대체노선인 165-3번을 만들었고, 이후 2010년 후반에 진접지구로 연장됐지만, 사릉역 경유로 변경되면서 수요가 적어 2011년 5월 16일에 폐선되었다. 이후로는 91번이 진접지구로 연장되어 이를 대체하게 되었다.
1-4번과 더불어 예비군들의 수요가 많았다. 현재 청량리에서 금곡 예비군훈련장까지는 경기고속 30번, 구리에서는 23번이 대체 중이다.
현재 동일 회사와 공동배차 회사에서 운행 중인 노선과는 무관하다.
5. 2111(북부운수)
[image]
출처[3]
운행구간 : 면목동 - 장안동 - 전농동 - 경동시장 - 상월곡역
현재는 청량리역으로 단축되었다가, 신내동 발로 변경되었다. 서울 버스 2230 문서를 참조.
6. 2212(북부운수)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된 노선. 당시에는 면목4동에서 신이문역까지 갔다. 이 시절은 장안사거리에서 이문동 방향은 평범한 굴곡이나 복편의 경우 특이하게 장안지구대, 장안사거리 정류장을 2번 들렀다. 해당 정류장이 2212번의 복편 전용이긴 하나 첫 번째 경유 이후 경남호텔, 장한평역, 청년회의소, 촬영소사거리 순으로 이동했고(덤으로 면목동/이문동 양방향 중복), 두 번째 경유에서야 장평교를 건넜다.
- 2005년 3월 14일에 '이문동삼익아파트 - 신이문역' 구간이 단축되었고, 휘경동 이후의 회차지를 회기역으로 변경했다.관련 게시물 동시에 장안동 구간도 장평교를 건넌 이후 장안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장한평역 2번출구를 경유한 이후 P턴하여 장평중학교를 경유, 국민은행장안지점앞에서 우회전을 해, 장평초등학교를 경유한뒤 지금의 장한로32길에서 장한로에 합류해 장안동근린공원과 장안4동사무소(당시 기준), 휘경여중-고를 경유하는 식으로 변경. 회기역 회차 후에는 장안동삼거리에서 직진한 뒤 동대부고 앞과 장평초등학교를 경유해 성복교회에서 우회전 한뒤 장평교하단을 통과하자마자 다시 우회전해 현대홈타운, 장평중학교를 경유하고 장한평역 3번출구를 경유한뒤 경남호텔, 장안2동사무소(당시 기준), 국민은행장안지점을 경유해 장평교를 건넜다.
- 폐선되기 전인 2005년 중반에 또 변경되었고, 구간은 장평교를 건너서 장안사거리 진입후 좌회전, 이후 장한평역(1,2번 출구)과 장평중학교를 경유하고 다시 장안사거리에서 우회전, 이후 회기역까지는 2211번과 동일하게 다녔다. 그리고 역방향은 장안사거리에서 장평중학교를 경유하여 장한평역 3,4번 출구로 가고 이후 경남호텔로 해서 돌아가는 신설 초기와 비교하면 그나마 정상적인(?) 굴곡 노선이 되었다. 대신 국민은행장안동지점 정류장만 한 방향에서 장한평역을 경유하는지에 대한 여부가 문제이긴 했다.
- 2005년 7월 22일에 2211번과 통폐합하는 형식으로 폐선.
7. 2214(상진운수)
서울 버스 2214 문서 참조.
8. 2215(상진운수)
[image]
출처
위 차량은 2005년 2012번에 통폐합되면서 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대차되었다가 2015년에 뉴비 저상으로 대차되었다.
운행구간 : 신내동 - 화랑대역 - 신내아파트단지 - 중랑구청 - 중화역 - 중화2동체육공원 - 중랑교 - 위생병원 - 청량리역버스환승센터 → 제기동 → 성일중 → 경동시장 → 청량리역버스환승센터 → 이후 역순
구 도시형 47번이 단축된 노선이었다. 2005년 6월 15일부로 구 2012번과 통합되어 2012A/B가 되었다가, 2010년 8월 21일에 다시 분리되면서 2223번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2223 문서 참조.
9. 2216(상진운수)
[image]
위 차량은 2015년에 NEW BS090으로 대차되었다.출처
운행구간 : 화랑대역 - 구립도서관, 체육관 - 신내6단지 - 봉화초교 - 신내7단지, 홈플러스신내점 - 신내8~10단지 - 중랑구청 - 중화역 - 이화교 - 신이문역
구 451번 지역순환버스가 전신으로,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개편 때 번호만 2216번으로 바뀌었다.
2009년 6월 20일에 1223번과 통합되어 1122번이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10. 2217(북부운수)
[image]
2002년식 BM090.[4]출처
운행구간 : 중랑공영차고지[5] - 상봉터미널 - 사가정역 - 중곡역 - 군자역 - 면목동길 - 화양리 - 건대입구
원래 대개편 때 舊 567번은 건대입구역으로 단축될 예정이었다. 따라서 567-1번을 2217번으로 변경해 둘을 연계할 계획이었다.[6]
그러나 567번이 4212번으로 번호만 변경됨에 따라 4212번과 달리 면목동길을 경유하게 되었고, 이렇게 운행하다가 2005년 7월 18일에 폐선.
11. 2219(경성여객)
[image]
[image]
위 차량은 2009년에 BS110CN으로 대차 후 271번에 있으며, 아래 차량은 2011년에 NSAC로 대차되어 2013번에 있다.출처
운행구간 : 면목8동차고지 → 용마산역 → 중곡역 → 중곡삼거리 → 중곡역 → 용마산역 → 면목8동차고지 → 서일대 → 우림시장 → 면목역 → 청량리역 → 경동시장 → 신설동로터리 → 이후 면목8동차고지까지만 역순으로 운행
舊 도시형 132번이 전신으로,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망우로와 용마산길 대신 겸재길 경유로 바뀌었고 번호도 2219번으로 변경되었다.
2006년 11월 24일에 '면목8동차고지 - 중곡삼거리' 구간이 연장되었다. 이 땐 차고지에서 출발해 청량리와 신설동을 들른 다음, 중곡동까지 내려갔다가 차고지로 돌아오는 방식이었다.
중곡동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해 2007년 12월 1일에 중곡동을 먼저 들르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후 1213번에 통합되었다.
12. 2220(대흥교통)
서울 버스 2220 문서 참조.
13. 2221(대공원정문)(신흥기업)
2005년에 신설되었으며, 앞유리 좌하단의 작은 쪽창(AC540)이나 앞유리 좌하단(BS106)에 '대공원정문' 스티커를, 옆의 노선스티커에는 빨간 테두리와 함께 '신설노선' 표기 대신 '대공원정문'이라고 써있던 것이 특징. 대공원후문 대신 대공원정문을 경유하였다.
순수증차가 되지 않는 마당에 노선이 둘로 갈라지다보니 배차는 깨지고 수요도 깨지고, 특히 광진경찰서 쪽 정류장 관련 민원이 대량 발생하는 바람에[7][8] 신설 약 3달 만인 2005년 8월 1일에 노선이 다시 통합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그 대신 자양로와 건대입구역 쪽으로 가던 3216번이 이 경로를 이어받게 된다.
14. 2223(신흥기업 → 오케이버스)
[image]
현재는 두 번 대차되어 세원교통 중고 뉴 슈퍼 에어로시티 CNG 2017년식으로 그대로 운행 중이다.출처
서울 버스 광진05 문서 참조.
15. 2223(상진운수)
[image]
위 차량은 2015년 겨울에 NEW BS106으로 대차되었다.출처
2010년 8월 21일에 2012A/B번 중 '중랑공영차고지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구간을 2012번, '중랑공영차고지 - 제기동역' 구간을 2223번으로 분리했다. 관련 공지사항 분리 이전의 연혁은 서울 버스 2012 문서를 참조.
2011년 2월 8일에 서울의료원 경유로 변경되었다. 서울특별시 공지사항
공사로 인해 2013년 4월 3일부터 9월 25일까지 왕산로23길 대신 정릉천동로로 우회했다. 서울특별시 공지사항
2013년 9월 26일에 1212번과 통합하여 2115번이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16. 2225(신흥기업)
서울 버스 2225#s-2 참조.
17. 2225(대원교통)
서울 버스 2225#s-3 참조.
18. 2226(대원여객)
[image]
[9]출처
운행구간 : 구리(수택동)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상봉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시조사삼거리 - 떡전교사거리 - 청량리
舊 55번 도시형버스(수택동 - 서울역)가 전신으로,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청량리로 단축되었고 번호도 2226번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대원여객이 대개편을 앞두고서 서울승합으로 차량을 양도하는 과정에서 , 7대로 감차가 이뤄졌다. 7대로 끝까지 다니다가 중앙선 전철이 개통되는 2005년 12월 16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19. 2228(대원교통)
[image]
[10] 서울특별시에서 마지막으로 군(郡)까지 들어갔던 노선. 개편 전 번호는 166-2번이었다. 남양주 버스 167 문서 참조.
20. 2229(대원교통)
[image]
위 차량은 2010년에 대차되어 242번에서 운행 중. 출처
운행구간 : 덕소(도곡리) - 도농역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망우리고개 - 상봉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시조사삼거리 - 떡전교사거리 - 청량리역환승센터
舊 166번 도시형버스(도곡리 - 청량리)가 전신이며,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2229번으로 바뀌었다. 운행댓수는 18대였다.
한때는 덕소 주민들의 대표적인 교통수단이었으나 중앙선 전철이 개통하면서 2005년 12월 16일에 폐선되었다. 잉여차량 18대는 240, 2015 2228번 증차에 쓰였다.관련 공지사항
21. 2230(대원교통)☆
[image]
출처
운행구간 : 남양주(사릉) - 예비군훈련장 - 도농역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망우리고개 - 상봉역 - 중랑교 - 청량리역 - 경동시장(회차)
1990년대 초반, 금성교통에서 165번의 용정리 지선(165-3번)으로 개통하였던 노선이 시초다. 이 것이 대개편을 거치면서 번호가 바뀌고 노선도 망우사거리에서 우림시장, 면목2동으로 단축되었다. 하지만, 2004년 말에 다시 우림시장(봉우재길 경유) - 서울우유 - 청량리로 노선이 변경되면서 청량리로 다시 들어오게 되었다. 이후 2005년 7월 5일에 청량리 대신 면목동 - 왕십리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구간으로 변경되면서 번호가 2016번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는 위에 있는 2016번 항목 참조. 운행댓수는 12대 정도였다.
현재 운행 중인 북부운수 노선과는 관련이 없다.
22. 2231(대원교통)
운행구간 : 남양주(호평동) - 금곡동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망우리고개 - 망우사거리 - 망우3동사무소 - 면목역 - 하나은행면목지점 → 면목5동 → 면목2동한신아파트 → 중랑초교 → 중랑전화국 → 면목2동 → 하나은행면목지점 → 이후 역순
舊 165번 도시형버스(호평동 - 경동시장)가 전신으로,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면목역으로 단축되면서 아웃서울 노선이 되었다. 운행댓수는 7대 정도로 대개편 당시에도 적은편이었지만 더 줄어든 수준이었다. 배차간격은 25~45분으로 굉장히 길었다.
호평지구 공사로 인해 2006년 8월 17일에 '호평동종점 - 호평동사무소 - 신신상사입구 - 진주아파트 - 평내초교' 구간이 '호평동종점 - 이마트남양주점 - 평내초교'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2006년 12월 1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 '남양주/구리 - 면목동' 구간을 2227번이 대체해주기도 했지만 수요 저조로 시계외 구간이 단축되었기에 현재는 상봉역 등에서 환승해야 한다.
23. 2232(대원여객)
운행구간 : 구리시(토평동) - 교문사거리 - 망우리고개 - 상봉동 - 면목동 - 중곡동 - 어린이대공원 - 구의동 - 강변역
대개편 때 구 568번이 번호만 바뀐 노선이다. 개편 전이나 후나 사람 없는 건 마찬가지라서[11] 2005년 7월 18일에 폐선.[12] 다만 이로 인해 중랑구에서 강변역을 한 번에 이어주는 버스노선이 사라진 것은 좀 아쉽다. 사실상 중랑구-강변역간 최후의 연계버스노선이었다.
24. 2236(금진교통)
[image]
현재는 타 업체 출신 글로벌900 F/L 2009년식으로 대차되었다가 2020년식 그린시티로 대차되었다.출처
운행구간 : 성일중학교 - 동대문종합사회복지관 - 제기사거리 - 홍파초교 - 홍릉사거리 - 동부아파트 - 청량리역 - 청량리한신아파트 - 서울성심병원 - 청량리역 - 현대코아 - 청량리경찰서 - 홍릉갈비 - 홍파초교 - 서울약령시 - 동대문종합사회복지관 - 제기동역
구 마을버스 2번으로, 대개편 때 지선버스로 승격되었다.
2010년 4월 9일에 마을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동대문06번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 중복노선 과다로 인한 수요 저조 및 동대문05번 증차를 위해 2010년 8월 21일부로 폐선되었다. 마을버스는 준공영제 대상이 아니다보니 비수익 노선이던 이 노선 입장에선 마을버스 전환이 오히려 독이 된 셈이다. 이 때 성일중학교 등 일부 구간은 2012B가 2223번으로 단축되면서 경유하게 되었다.
사실 이 노선의 수요는 대부분 성일중학교의 통학수요였다. 또한 경기도 시내버스와의 환승할인이 적용되기 이전엔 청량리 한신아파트와 동부아파트쪽의 청량리행 수요도 많았다. 1227번과 2237번은 전농동으로 향했으며, 청량리행 경기도 버스는 환승이 이루어지지 않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2236번에 의존했던 것이다. 그러던 것이, 2007년 환승할인 확대와 학령 인구 감소로 인한 통학수요 감소, 방학동안의 적자 등 여러 요인이 겹쳐 공기수송 노선으로 전락했다. 결국 마을버스 전환이 결정타가 되어 적자폭이 커지자 폐선하였다.
현재 이 노선이 지났던 구간 중 절반 이상이 버스가 안 다니는 교통소외지역으로 변했다.[13] 동대문06번이 폐선된 것이 크지만, 2222번의 단축, 1213번과 2223번의 통합, 1215번의 폐선, 3200번의 정류장 조정도 한몫했다. 그나마 유일하게 약령시로로 다니는 노선이 1222번이지만, 이마저도 편도운행구간이기에 불편이 따른다.
제기로 홍릉갈비, 홍파초등학교 정류소 팻말은 한동안 버스 노선이 없었음에도 남아있었다. 2020년 2월 1일에 1227번이 고려대역으로 연장되면서 기존의 정류소를 쓰게 되었다. 전산상으로는 공식 정류소가 아니었으나 홍릉갈비 정류소에 한해 정화여자중.상업고등학교로 바뀌어 등록되었다. 이후 4월에는 3216번도 고려대로 연장하면서 하나 더 늘었다.[14]
25. 2237(금진교통)
[image]
위 차량은 글로벌900 F/L로 대차되어 강남07번에서 운행하다 카운티로 대차되었다.출처
서울 버스 동대문05 문서 참조.
26. 2311(경성여객)☆
운행구간 : 면목8동 - 용마산역 - 중곡동종점 - 아차산역 - 구의사거리 - 광진구청 - 잠실대교 - 잠실역 - 석촌역 → 송파사거리 → 배명중.고교 → 석촌지하차도 → 석촌역 → 이후 역순
경성여객에서 운행했던 노선으로 2004년 버스 개편과 함께 신설되었으며, 신설 당시에는 잠실역까지만 운행하였다.
이후 배명고까지 연장되었으나 2005년 8월 1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를 대신해서 생긴 노선이 바로 320번이다. 다만, 320번과 달리 이 노선은 상하행 모두 아차산역 가변 정류장에 정차했다.
현재 운행 중인 2311번은 북부운수에서 운행 중인 노선으로, 이 노선과는 무관하다.
27. 2411(대흥교통)
서울 버스 4211 문서 참조.
[1] 9205번과는 다르게 진건 주민들의 민원은 없었다. 금곡과 예비군훈련장까지 돌아서 도심으로 가는데, 굳이 민원을 넣을 필요가 없었기 때문.[2] 운행거리는 남양주 88번보다 더 긴 노선인데도 불구하고 12대로 다녔으니 배차간격이 20분을 넘겼다.[3] 해당 면허 번호 중 6265호는 262번에 이적, 6138호는 말소.[4] 폐선 후 2111 → 2230 → 2211번 으로 이동 후, 2010년 말에 프리머스 전기버스로 대차되어 02번으로 갔다가, 2017년에 잔고장 문제로 NSAC 일반 차량으로 조기대차되었다가 남산순환버스 전기버스 투입으로 2020년에 272번으로 이동했다.[5] 공식적으로는 중랑차고지이나 실제로는 양원역, 송곡여고에서 회차했다(주박도 운행구간의 중간에 해당하는 본사에서 주박). 당시엔 중랑공영차고지가 생긴지 얼마 되지 않아 지금처럼 많은 노선들이 입주하기 어려운 상태이였기 때문. 실질적으로 북부운수 노선중 중랑차고지 첫 입주 노선은 262번이다.[6] 567-1번의 반쪽은 4418번이 되었다가, 이후 3312와 통합되어 4318번이 되었다.[7] 광진경찰서 정류장(아차산역 방면만 해당), 즉 당시의 동부경찰서 정류장은 지금도 그렇지만 구의사거리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는 노선은 경찰서 앞 횡단보도서 구청 쪽으로 약간 떨어진 정류장에만 정차하며, 이외의 노선들은 모두 횡단보도서 구의사거리 쪽으로 약간 떨어진 정류장에만 정차한다. 그런데 원래 2221번 노선은 구의사거리서 직진을 하기 때문에 사거리 쪽과 가까운 정류장에 정차했으나 2221번 대공원정문 노선은 구의사거리서 좌회전을 하기 때문에 구청 근처의 정류장에만 정차했기 때문에 같은 2221번이라도 정차 정류장이 다른 상황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여기서 하차하려는 승객이나, 여기서 승차하려는 승객이나 큰 혼란이 생기고 이로 인해서 민원이 발생한 것.[8] 당시 승객들 대부분은 대공원 정문 노선이 생긴 것을 잘 몰랐기 때문에(특히 학생들) 갑자기 버스들이 무정차를 시작했다며 분통을 터트리는 일이 종종 있었다.[9] 7609호로, 해당 차량은 2009년에 BS106 F/L로 대차되어 108번에서 다니다 2020년 12월에 일렉시티로 대차 후 01B번에서 운행중이다..[10] 2010년에 BS106 크롬시티로 대차되어 241번에서 운행 중.[11] 사실 이용객이 그리 적은 것은 아니다. 568번 KD인수 당시만 해도 괜찮았으나, 04년 개편으로 기점을 양원역에서 구리여고로 연장하는 바람에 배차간격이 크게 벌어져 이용객이 줄게 된 것. 거리는 늘어났지만 대원여객, 대원교통 모두 차량이 줄어든 탓에 겨우 7대로 다니며 20~30분 간격으로 다녔다.[12] 참고로 광역버스를 제외하면 구리,남양주를 다녔던 서울 시내버스중 가장 먼저 폐선된 노선이다. 반대로 가장 늦게 폐선된 시내버스는 1225번.[13] 제기동주민센터 - 동대문종합사회복지관 구간에는 버스가 하나도 다니지 않는다.[14] 하지만 아직도 제기동 일대에는 버스가 다니지 않지만 남아있는 정류소 팻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