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728

 


[image]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image]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7728번
기점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대화동종점)
종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창천동(연세로)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20
막차
22:10
막차
23:35
평일배차
9~14분
주말배차
토요일 11~15분 / 공휴일 13~17분
운수사명
동해운수
인가대수
24대(예비 3대)[1]
노선
대화동종점 - 철산아파트.탄현역 - 탄현큰마을 - 메디누리병원 - 일산시장 - 일산터미널 - 하늘마을2·6단지 - 동국대병원사거리 - 식사오거리 - 고양시청 - 원당역 - 도래울마을 - 화랑교차로 - 봉산터널 - 상신초등학교 - 새절역 - 증산역·증산동주민센터 - 북가좌동삼거리 - 모래내시장.가좌역 - 연희104고지.구성산회관 → 연세대학교연세로신촌역·현대백화점 → 동교동삼거리 → 연희104고지·구성산회관 → 이후 역순

2. 개요


동해운수에서 운행 중인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 거리는 58.3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148번 도시형버스(원당 - 신촌역)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가 7728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5년 2월 28일 원릉역 근처에 있었던 차고지가 폐쇄되어 9713번과 함께 대화동 본사까지 연장되었다. 이 노선도 억지로 노선을 끌면서 일산으로 입성했고, 이 노선도 온갖 드리프트와 막장 배차가 벌어지기에 이르렀다. 연장 노선은 같은 날 사라진 7734번의 대체를 위해 신설되었다.[2] 대체 구간이 '탄현큰마을 - 고양시청'이니까 연장구간 자체가 7734번의 대체라 생각해도 된다.
  • 2018년 11월 26일부터 평일 한정으로 1일 운행 횟수가 3회 감회되었고, 그로 인해 최소 배차간격이 기존보다 1분 증가한 7분으로 조정됐다.관련 공문
  • 2019년 2월 15일에 '양조장네거리 - 고양시청 - 원릉역 - 화정역 - 고양경찰서 - 능곡역 - 가라뫼 - 화전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모래내시장' 구간이 '양조장네거리 - 고양시청 - 원당역 - 서오릉로 - 원흥지구(도래울마을) - 봉산터널 - 상신초교입구 - 새절역 - 증산역 - 모래내시장' 으로 직선화되어 변경되고 2대가 감차되었다. 이와 동시에 막차 시간도 22시 20분으로 종전보다 20분 늦춰졌고, 1일 운행 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에 각각 9회/1회/6회씩 증회되어 평일과 공휴일의 배차간격이 시간대에 따라 많게는 3분 가량 짧아지게 되었다.관련 공문관련 게시물 이에 따라 악명높은 원릉 및 능곡 굴곡 구간이 서오릉로 및 봉산터널로 변경되어 사라졌고, 원릉 구간은 771번에 넘어갔다.
  • 2019년 3월 25일에 종점(연세로/스타광장)방향 한정 덕산중학교, 씨티아파트 정류소가 신설되었다.
  • 2019년 3월 29일에 양방향 화랑교차로, 용두7통앞 정류소가 신설되었다. 관련 공문
  • 2019년 4월 22일에 대화동 방향 한정 상신초등학교 정류장의 정차 위치가 뒤로 50m 이동되었다.
  • 2019년 5월 13일에 22:20이던 대화동 막차 시각이 22:10분으로 10분 앞당겨졌다. 그와 동시에 최소 배차간격은 늘고 최대 배차간격은 줄어드는 형태로의(단, 공휴일 최대 배차간격은 계속 17분으로 유지) 상세배차 조정이 실행되었다.관련 공문 1관련 공문 2
  • 2019년 8월 9일에 기점(대화동)방향 덕산중학교, 두산위브아파트 정류소가 신설되었다. 이로써, 덕산중학교에서는 기, 종점 방향 모두 서게 되었다.

4. 특징


  • 일반버스 21대, 저상버스 3대를 투입하여 운행한다. 기존 원릉역 굴곡 때문으로 저상버스가 못 들어간다는 추측이 있었으나 현재 대신 들어가는 771번에는 잘 운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면 그냥 회사 재량인 듯. 일단 서울시 저상버스 의무출고[3] 지시로 2020년 9월 29일 첫 투입되어 동해운수의 모든 노선에 저상버스를 투입하게 되었다.
  • 한때 운행 거리가 약 68km로,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노선 중 가장 길었고[4] 동해운수 노선 중에서도 가장 길었다. 하지만 원흥지구 및 봉산터널 직선화 이후 다소 짧아졌다.[5]
  • 한때 좌석버스 차량이 일부 다녔는데, 이는 과거 9713번, 9708번, 9706번 등에서 다니던 광역버스 차량들이 감차되면서 7728번에 증차되었기 때문이다. 현재는 전부 대차되었다.
  • 노선 개편 전에는 노선 자체가 꽤 돌아가는 형태인지라, 주로 장거리 승객보다 단거리 구간 수요가 꽤 많은 편이었다.[6] 능곡에서도 삥 둘러서 가고, 옛 차고지가 있었던 원릉역 근처에서도 오르락내리락하고, 대화동차고지로 오기 전에 탄현 쪽으로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와서 차고지에 들어오는 형태였다. 이 때문에 현재 동사 700번과 더불어 수요가 많은 노선이기도 하다. 애초에 장거리 수요는 이 노선과 선형이 흡사하고 정시성이 높으며 결정적으로 평균 소요시간이 빠른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전혀 상대가 되지 않기 때문에 구간 수요로 먹고 사는 노선이었으나, 원흥지구 직선화 이후에는 구일산~원당역, 원당역~서오릉로~도래울마을, 도래울마을~새절역~신촌 구간으로 수요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 구일산, 탄현, 중산 지역이나 도래울마을에서 고양시청을 갈 일이 있는 사람들에게 요긴하게 쓰인다. 게다가 일부 구간이 유사한 567번보다 요금이 더 싸니.. 게다가 서울 면허 버스임에도 불구하고 능곡 - 원당 - 구일산 부근에서 타고 내리는 사람들이 무진장 많았다. 아침에 서울로 출퇴근하는 사람들로 꽉 찬 것이 아니라, 원당-화정-능곡 간 등하교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나[7], 개편 후 화정 쪽으로 내려가지 않고 서오릉로에 진입한다.
  • 노선 개편 전에는 동사의 771번과 유사한 구간이 많았는데, 도심에 조금이라도 더 가까이 가는 이 노선이 애매하게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잘리는 771번보다 배차간격에서도 우위에 있고 인기가 더 좋았다. 다만, 막차가 많이 빠르기 때문에, 이 노선의 막차가 끊기면 화정 이북 구간에서는 771번이, 행신, 능곡 지역에서는 신촌오거리에서 막차가 새벽 2시 가까이까지 있는 707번이 이 노선의 심야버스 역할을 해 주었다.
  • 연세로 교통 통제(매주 금 14:00 ~ 일 22:00)시 스타광장을 미경유하고 세브란스병원 → 경의선신촌역 → 신촌역 → 현대백화점신촌점 → 동교동삼거리'로 우회한다.
  • 노선 변경 후 행신/능곡~수색~가좌~신촌 구간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나 707번을, 화정~원당~고양시청 구간은 771번이나 82번을, 능곡~원당 구간은 이후 신설된 029B번을 이용하면 된다.[8]
  • 다음과 같은 구간은 대체 노선을 이용해야 한다.
    • 능곡역~대화동: 707번[9]
    • 능곡역~화정지구: 029B번, 85-1번
    • 북가좌동삼거리~ 화전역: 7727번
    • 능곡역~동국대병원: 011번, 060번, 029B번, 85-1번 승차 후, 화정역. 롯데마트 정류장에서 771번으로 환승.
    • 항공대입구~ 옥빛마을 16단지: 82번
    • 능곡역~ 옥빛마을 16단지: 011번, 029B번, 060번, 85-1번
    • 북가좌동 삼거리~디지털미디어시티역: 72번, 77번, 82번, 270번, 470번, 700번, 707번, 7727번, 750A번, 750B번
    • 능곡역~ 성사동: 029B번
    • 화전역~ 능곡지구: 707번
    • 항공대입구~화정지구: 82번, 771번.
    • 화전역~가라뫼: 707번, 72번.
    • 항공대입구~가라뫼: 707번, 72번.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7728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1,076명
-
2014년
10,712명
▽ 364
2015년
10,526명
▽ 186
2016년
10,101명
▽ 425
2017년
9,668명
▽ 433
2018년
9,563명
▽ 105
2019년
7,526명
▽ 2,037
2020년
7,279명
▽ 247
※ 하차 인원 미포함
  • 출처: 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19년 경의로, 화정역 경유에서 봉산터널, 원당역, 원흥지구, 증산로 경유로 바뀌면서 승객이 잠깐 줄어들었다. 하지만, 원흥동, 향동 북부 에서 서울로 가장 빨리[10] 갈 수 있는 중요한 노선이라는 점, 증산로~신촌에서 중복 되는 753번 버스의 수요를 분산하는 점이 있어서 승객이 늘 수 있다.

5. 연계 철도역


  •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
  • [image] 수도권 전철 3호선: 원당역
  • [image] 서울 지하철 6호선: 새절역[11], 증산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A]
  • [image]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탄현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A], 가좌역, 신촌역[12]
  • [image]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A]

6. 둘러보기






[1] 토요일 19대 / 공휴일 16대 운행[2] 2005년 2월 28일에 7733번으로 통폐합되었다. 노선 자체가 가구단지, 탄현동 지선 성격이었기 때문.[3] 노선 특성상 투입 자체가 불가능한 노선 제외.[4] 현재는 3412번이 뒤를 이어받았다.[5] 심지어 왕복 61km인 7727번보다 짧아졌다.[6] 예를 들어 탄현동 - 구일산.식사동, 혹은 원당-능곡, 능곡 - 서울 등. 그마저도 능곡 - 신촌 구간은 707번과 완전히 겹쳤다.[7] 해당 구간은 029B번으로 대체되었다. 다만 배차간격이 20분으로 긴 편이다.[8] 능곡~원당 구간은 82번이나 85-1번이 한 번에 가지만, 지도로 구간으로 가기 때문에 버스정류장까지 걸어가는 거리가 있다. 걸어가기 싫으면 060번이나 072번을 이용하여 화정에서 갈아타야 한다.[9] 개편 전에도 능곡역~대화동 구간은 화정, 원당, 식사동을 거쳐 대화동으로 갔기 때문에 707번이나 150번보다 소요 시간이 훨씬 길었다.[10] 봉산터널 이용하면 10분정도 걸린다.[11] 신촌 방향 한정으로 정차, 대화동 방향에서 가고 싶다면 신사초등학교 하차 후 도보[A] A B C 북가좌동삼거리 하차 후 도보[12] 연세로 교통 통제시에만 경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