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71

 


[image]
[image]
2011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해당 차량은 오른쪽 차량으로 대차되었다.
2020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CNG 개선형 저상.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7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대화동종점)
종점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디지털미디어시티역)
종점

첫차
04:10
기점

첫차
05:30
막차
23:30
막차
00:50
평일배차
15~23분
주말배차
토요일 18~25분 / 공휴일 20~25분
운수사명
동해운수
인가대수
12대(예비 1대)[1]
노선
대화동종점 - (→ 동문태영아파트 → 일산시장 → 현대홈타운·일산서구보건소치매안심센터 →/← 대우동양아파트 ← 일산역 ←) - 하늘마을2·6단지 - 동국대병원사거리 - 식사오거리 - 고양시청·덕양구보건소 - 원릉역 - 원당대림·래미안아파트 - 성사2동주민센터 - 화정1동행정복지센터 - 화정역·덕양구청 - 행신초등학교 - 화전역 - 덕은교·은평공영차고지 - DMC첨단산업센터 - 상암DMC홍보관.YTN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2. 개요


동해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3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1988년 개통된 구 748번 일반좌석버스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9713번으로 바뀌었다. 당시 노선은 원릉역 - 등기소(서울방향) - 고양시청 - 성사2동사무소 - 어울림누리 - 화정1동사무소 - 달빛마을 - 덕양구청 - 고양경찰서 - 능곡초교 - 능곡역 - 무원고 - 소만초교 - 가라뫼 - 화도교 - 화전역 - 항공대입구 - 수색역 - 모래내 - 연희104고지 - 서대문우체국 - 연대정문 → 세브란스병원 → 이대후문 → 사직공원 → 적선동 → 세종문화회관 → 광화문 → 서울시청 → 숭례문 → 경찰청 → 충정로역아현역이대역 → 연세로 → 연대정문 → 이후 역순이었다.
  • 2005년 2월 28일에 원릉역 인근 차고지가 폐쇄되면서 7728번과 함께 대화동 본사까지 연장되었다. 이 과정에서 온갖 드리프트(...)와 막장 배차가 펼쳐졌다. 대화동 입성 직후에는 고양소방서, 원당 동양쇼핑, 구 종점(원릉역), 고양시청, 식사오거리, 백마교, 호수공원, KINTEX, 농수산물센터를 경유했다.
  • 2008년 5월 7일부터 7728번과 함께 덕이동 로데오거리를 경유하게 되었다. 결국 일산에서 서울까지 2시간이나 걸린다고 MBC 뉴스데스크에 보도될 정도의 막장 노선이 되고 말았다. 제일 압권은 '양조장사거리 - 신원당 동신아파트' 구간. 최단거리로 가면 300m도 나오지 않는 거리를 원릉역까지 돌아서 간다. 그래서 300m 정도의 거리가 3km까지 늘어나는 비범한 구간이다.
  • 견딜 수 없게 된 동해운수는 고양시청에 여러 차례 노선변경을 요구했다.

1. 원릉역 일대 구간의 경우 위에서 언급한 양조장사거리 - 신원당 동신아파트 구간을 직선화하려고 했지만, 원릉역 종점시절부터 이용해 온 승객들과 옛 원당주공아파트 자리에 새로 입주한 대림 e편한세상 아파트, 원당 삼성 래미안아파트 주민들을 위해 원릉 구간 직선화를 포기했다.[2]

2. 7728번과 9708번(現 707번)으로 대체 가능한 능곡·행신 안동네를 포기하고 고양경찰서에서 바로 고양 BRT로 진입하는 쪽으로 노선 변경을 하려 했지만, 서울특별시청에서 승인했는데 고양시청에서는 '''지역노선의 수익을 지켜야 한다는 이유로 승인하지 않았다'''.

3. 9713번을 폐선한 후 7728번[3]

9708번으로 증차하려고 했지만, 이 역시 서울특별시청에서 승인했는데 고양시청은 '''지역 업체의 경쟁력 상실을 이유로 승인하지 않았다.'''

  • 이런 식으로 고양시청이 계속 거부하자, 2010년 1월 8일에 디지털미디어시티역까지 노선을 단축 · 변경하기로 결정하여 간선버스 771번[4]으로 전환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 때 좌석버스 3대가 7728번으로 이동했다.
  • 2012년 9월 7일부터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의 권고의 힘을 얻어 노선이 대폭 직선화되어[5], 그제서야 간선노선으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 2014년 하반기 노선 조정때(실제 시행은 2015년 2월 27일) 이 노선의 폐선안이 올라왔지만, 부결되었다. 관련 게시물 마땅한 대체 노선이 없어서인 듯. 7728번(당시)과 800번은 능곡, 행신동으로 우회하고, 1900번직행좌석버스다.
  • 2015년 12월 23일부터 대화동 방향은 행신초등학교 중앙차로 정류장 대신 햇빛마을23단지 가로변 버스 정류장에 정차했다.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방향은 기존과 같이 행신초교 중앙차로에 정차했다.
그러나, 2018년 6월 1일부터 다시 양 방향 행신초교 중앙차로 정류장 정차로 환원되었다. 본래 5월 25일에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연기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9년 1월 11일부터 후곡마을1단지 건너편에 '대우동양아파트' 정류장이 신설되어 추가로 정차한다.[6] 그러나 일산역 무정차 통과는 유지되었다. 다만, 후술된 내용을 보면 진짜로 일산역을 무정차 통과했던 것인지는 의문이다. 관련 공문
  • 2019년 2월 15일에 서오릉로 진입 및 원흥지구, 봉산터널로 직선화된 7728번의 대체 노선으로 약 6년 반만에 다시 '원릉역 - 성사고 - 원당대림/래미안아파트 - 신원당마을7단지'를 경유한다. 이와 동시에 3대가 증차돼[7] 이와 동시에 1일 운행 횟수가 평일 6회, 주말 및 공휴일 4회씩 증회돼 배차간격이 적게는 2분에서 많게는 12분까지 줄어들었고, 기점 첫막차시각도 20분씩 앞당겨졌다.관련 공문관련 게시물
  • 노선 변경 이후 일자 미상으로 산들마을5단지, 일산역 정류장에도 추가로 정차한다. 다만, 서울시 버스조합 공지사항에 올라온 게시물의 771번 정류소 리스트 첨부파일에 따르면 이 정류소들이 변경 전과 변경 후 양쪽에 다 등장하는데, 이것으로 미뤄볼 때 정류소 정차 인가는 이미 2019년 2월 15일 이전 미상의 일자에 완료됐으나 단순히 전산에 등록되지 않았던 것일 가능성이 높다.
  • 2019년 7월 5일을 기해 최소 배차간격은 늘고 최대 배차간격은 줄어드는 형태로의 상세배차 조정이 실행되었다.관련 공문 1관련 공문 2

4. 특징


  • 일반버스 9대, 저상버스 3대를 투입하여 운행한다.
  • 출 · 퇴근시간 외에는 광역버스 시절보다 승객이 줄어서 다니고 있고, 2010년 11월에 9708번이 707번으로 형간 전환되자 7대를 감차하면서 배차간격도 좋지 못한 모습을 보여 주는데, 평균 25~40분 간격. 게다가 노선의 선형에서도 영 좋지 못한 모습인데, 거의 대부분의 구간이 7728번과 겹쳤다.[8] 안 겹치는 곳은 노선 초반부[9] 및 행신동, 한국항공대학교 구간과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정도. 그나마 막차가 빠른 7728번이 끊긴 후 고양 시내의 심야 구간 수요로 간신히 연명하는 모양.[10]

  • 다만 원당, 화정~상암동을 연결하는 노선은 이 노선 하나밖에 없어서 그 구간이 굉장히 중요하다. 간선버스 전환과 7728번의 노선 변경으로 인해 승객도 예전보다 늘어났다. 회사에서도 배차간격에 대한 불만을 인지하고 있는지 차량이 부족해 배차간격이 길고, 예비차량의 상용투입을 꾸준히 건의하고 있다는 안내문을 차내에 붙여놓았다.
  • 3200번, 3300번 공항버스 막차가 끊겼을 경우 약 1시간 동안 이용할 수 있는 대체노선이다. 디지털미디어시티역 8번 출구로 나와서 → 2번 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면 771번을 탈 수 있으며 고양시 진입 후 고양 버스 1000 또는 택시로 환승하면 교통비를 크게 아낄 수 있다. 적은 짐으로 혼자 귀국할 경우 인천공항-고양시 간 택시비(4만 원대 중후반)와 비교하면 아주 합리적인 선택지다. 다만 수색로 방향 출구는 닫혀 있고 거기로 가는 것이 막장환승이라 771번부터 찾는 것이 간편하다.
  •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깔끔하게 회차하지 않고 배배 꼬아서 회차한다. 이는 좌회전 금지 때문으로, 한 정류소를 가기 위해 U턴도 못해, 좌회전도 못해, 그러한 이유로 인해 한샘본사 일대에서 中자 모양의 드리프트를 하는 괴상망측한 회차 형태를 갖게 되었다. 6호선 3번 출구에 정차한 후, 한샘본사를 돌고 나서 6호선 2번 출구에 정차한다. 하지만, 한샘본사 루프 구간에 정류소가 없어서 인천국제공항철도 측 출구에는 정차하지 못한다. 상암초교 사거리에서 좌회전해 상암동주민센터를 거쳐 공항철도 DMC역 8번출구를 경유하고 이후 6호선 쪽 찍고서 현재와 같은 식으로 돌아나오는 게 더 깔끔한데, 이렇게 변경하지 않는 이유는 불명. 7728번을 조정하는 김에 같이 조정할 수도 있었지만 이번에도 현상유지 되었다.
  • 서정마을 ~ 상암DMC홍보관.YTN 구간은 733번이나 광역버스인 9711A번를 이용해도 된다.
  •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중 총 인가대수가 9대로 가장 적은 노선이었지만, 2019년 2월 15일 이후로는 3대가 증차되어 이 점은 343번으로 넘어갔다.[11]
  • 동사의 7728번과 더불어 구일산으로 다니는 노선이다.[12]
  • 현존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들 중에서 아웃 서울 노선에 가장 가까운 노선이다. 서울 내 정류장은 왕복 17개 뿐이다.[13]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71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2,360명
-
2014년
2,522명
△ 162
2015년
2,601명
△ 79
2016년
2,570명
▽ 31
2017년
2,559명
▽ 11
2018년
2,675명
△ 116
2019년
3,857명
△ 1,182
2020년
3,464명
▽ 393
※ 하차 인원 미포함
  • 2019년 노선 변경 및 증차로 승하차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5. 연계 철도역



[1] 토요일 / 공휴일 10대씩 운행[2] 그러나, 2012년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 권고로 결국 해당 구간이 직선화되긴 했다. 따라서 7728번만 오르락내리락 코스가 남아 있었다. 하지만 2019년 2월, 7728번의 노선변경으로 771번이 이를 대체하면서 다시 원릉역 일대 굴곡이 생겨버렸다.[3] 9713번의 심야 운행도 이 노선이 하게 하려고 했다. [4] 명성운수 77번이 2개월 전인 2009년 11월에 고양시 버스번호 개편에 따라 770번으로 변경되면서 770번이 되지 못했다. 이후 770번은 2019년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되면서 77번으로 환원.[5] 원당, 능곡 미경유[6] 사실 이 정류장을 경유하던 舊 77번이 폐선한 이후로 방치되었던 정류장을 다시 사용하는 거다.[7] 707번에서 1대, 7728번에서 2대가 감차됐다.[8] 2019년 2월 15일 7728번이 서오릉로 및 원흥지구 경유로 직선화됐기 때문에 더 이상 겹치지 않는다.[9] 771번은 일산시장 앞 큰도로를(희한하게 대부분의 버스가 큰길보다 샛길로 가는데 771번은 7727번 등과 함께 큰길로), 7728번은 탄현마을교 및 탄현마을 8단지를 경유한다. 노선 초반부마저도 7727번과 겹친다.[10] 그마저도 7728번의 행신, 능곡 구간은 707번이 완벽히 대체 중이다. 화정에서 막차가 1시 30분경에 출발하여, 원당이나 구일산(산들마을, 하늘마을) 주민들이 화정 로데오거리에서 귀가할 때 가장 유용한 버스다.[11] 하지만 여전히 배차간격은...[12] 하지만 대화동 차고지로 되돌아올때는 산들마을쪽만 살짝 경유하고 일산역으로 빠져버린다.[13] 771번이 된 이후에는 서울시 정류장이 제일 적은 서울시내버스 노선이었으나, 2017.11.01~2018.04.30 까지는 775번이 이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지만 폐선되었다.[14] 대화동차고지로 돌아올 때만 정차한다. 상암동DMC 방향은 일산시장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