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07

 



[image]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부 급행형 노선
4.2. 여담
4.3.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07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대화동종점)
종점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5가(숭례문·한국일보)
종점

첫차
04:30
기점

첫차
05:55
막차
00:20
막차
'''01:40'''
평일배차
12~15분
주말배차
토요일 13~17분 / 공휴일 14~18분
운수사명
동해운수
인가대수
21대(예비 2대)[1]
노선
대화동종점 - 대화역 - 주엽역 - 일산동구청 - 마두역 - 백신중학교·금계초등학교 - 백석동우체국 - 일산병원 - 섬말다리 - 삼성당 - 능곡초교 - 능곡역 - 행신동사거리 - 서정마을 - 화전역 - 한국항공대학교 - 덕은교·은평공영차고지 -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모래내시장·가좌역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연세대학교세브란스병원이대후문금화터널 → 서울지방경찰청·경복궁역세종문화회관숭례문·한국일보 →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 → 충정로역아현역이대역 → 신촌로터리·신촌역 → 동교동삼거리 → 연남동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이후 역순

2. 개요


동해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 거리는 62.7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903번 심야좌석버스(일산신도시 - 신촌로터리)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노선변경 없이 광역버스 9708번으로 바뀌었다.
  • 2005년 6월 20일에 신촌로터리에서 서울역(구 YTN타워, 숭례문)으로 연장되었다.
  • 2010년 3월 말부터, 정류장 개수를 줄여서 급행버스[2]로 운행하기 시작했다.
  • 2010년 11월 4일에 간선버스로 형간전환하면서 번호 또한 707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9년 2월 15일부터 1대가 감차되어 771번에 증차되었으며, 이로 인해 평일 운행 횟수가 2회 감회되고 평일 최소 배차간격도 기존보다 1분 길어진 9분으로 조정됐다.관련 게시물
  • 2019년 7월 5일을 기해 평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2회 감회되었다. 이와 동시에 최소 배차간격은 늘고 최대 배차간격은 줄어드는 형태로의 상세배차 조정이 실행되었다.관련 공문 1관련 공문2
  • 2020년 5월 18일을 기해 평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2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4. 특징


  • 일반버스 12대, 저상버스 9대를 투입하여 운행한다.
  • 행신, 능곡 주민들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핵심 노선이다. 2019년 2월 14일까지는 7728번과 일산 방향은 신촌오거리~능곡초등학교 구간이 100% 겹쳤던 데다, 일산 방향 이동에 있어 이 버스는 일산신도시로, 7728번은 원당, 화정, 구일산으로 이어주었기 때문에 행신, 능곡 주민들의 수요가 상당했다. 게다가 심야에 7728번이 끊긴 뒤면 이 버스가 신촌~행신~능곡 구간을 대체해줬기에 상호 보완 관계에 있었다. 그러나 2019년 2월 15일 7728번이 원릉, 화정, 능곡 구간 폐지, 양조장~원당역~서오릉로~원흥~봉산터널~새절역 경유로 변경되면서, 능곡~신촌 구간의 서울시내버스론 707번만 다니게 됐다. 원릉 구간은 771번이 다시 다닌다.
  • 동사의 700번이나 771번처럼 2004년 개편 때부터 광역버스로 운행되었다가 간선버스로 전환된 노선이다. 이 노선의 전신인 9708번은 당사에서 가장 마지막까지 운행한 광역버스 노선이었다.
  • 9708번 시절에는 첫차는 05:00, 막차는 00:55에 출발했고 개편 전과 개편 초 신촌까지만 운행하던 시절에는 대화동차고 막차시각이 01:10이었다. 숭례문 연장 후에도 한동안은 막차가 01:05였다.
  • 동사의 700번과 비슷하면서도 약간 다른 노선이다. 비교적 직선형인 700번과 달리 대화동차고지를 출발한 후 농수산물센터를 무시해 버리고(...) 대화역부터 정차한다. 이후 고양 시내 이곳 저곳 많이 거쳐 서울로 간다. 여담이지만 700번과 함께 1000번과 거의 같은 경로가 되므로, 대화역에서 707번을 타다가 좌회전하는 금계초등학교에서 내리고 길 건너서 백신중학교 앞에서 700번으로 갈아타면 1000번과 거의 같은 경로로 서울에 갈 수 있다. 내린 장소에서 타면 700번은 일산방향으로 향하고, 707번은 일산병원 쪽으로 들어갔다가 베베 꼬아서 능곡 쪽으로 향하기 때문에 건너가야 한다. 또, 일산경찰서 ~ 마두역 정류장 사이에서 7727번을 타면 700번과 비슷한 경로로 갈 수 있다. 물론 직행좌석버스인 1000번보다 시간이 더 걸린다.
  • 사실 섬말다리 - 삼성당 - 능곡 - 가라뫼 구간은 1000번의 개통 전에 중앙로를 이용하던 노선버스들의 전유물이었다. 명성운수1000번을 신설하기 전까지 중앙로는 그저 시골길에 불과했고, 지금처럼 서울로 쭉 이어진 도로가 아니었다. 소만마을 부근에서 도로가 끊겼기에 수색동으로 가려면 지금의 제2화전교를 통해서 화전동 구도심으로 다녀야 했었다. 40여 년 전부터 구일산에서 신촌까지 시외버스로 다니던 77번 등 대부분의 버스들은 섬말다리 - 삼성당을 지나 능곡동을 거쳐 신촌으로 갔다. 후에 개통된 영등포행 버스인 87번, 914번도 같은 구간을 다녔고, 이 노선들은 지금도 그 구간을 경유하고 있다.
  • 회차 경로가 700번과 마찬가지로 매우 긴 편인데, 그마저도 다르다. 700번과 달리 동교동삼거리, 연남동을 경유하여 연희IC로 진입한다.
  • 심야 시간대에 숭례문에서 홍대 근처까지 가는 유일한 노선이다. 일산으로 가는 경우 동교동삼거리까지 올라가서 타면 되고, 반대로 홍대 근처에서 서울역 근처로 가야 하는 경우 숭례문에서 내려서 조금만 걸으면 된다. 특히 막차 시간대에 한강 이남에서 일산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2호선 열차를 탔을 때는 택시비 아껴 주는 매우 감사한 버스가 된다. 그 시간대에 홍대 근처에서는 일산으로 가는 버스가 다 끊겨 있기 때문.[3]
  • 숭례문 방면으로는 연대, 이대 인근을 경유하고, 일산 방면으로 이대, 신촌, 홍대 인근(동교동삼거리)을 경유하는 노선의 특성으로 인해 일산 및 행신, 능곡지역에서는 홍대, 신촌방면 이동시 평시에는 경의중앙선을, 심야에는 이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4] 신촌에서 01:50경까지도 이용이 가능하기에,[5] 경의중앙선에 의존하는 구일산 및 파주 주민들에 비해 우월감을 느낄 수 있게 해 주는 노선이다.[6]
  • 서울시 일반버스 노선 중 대화역에 정차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또, 광역버스와 직행좌석버스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시내버스 중 농수산물센터와 성저초등학교, 예비군훈련장 정류소를 쿨하게 무정차 통과해 준다. 그 외에 대화역에 정차하는 서울 시내버스는 모두 광역버스다. 우연히도 똑같은 번호로 있다가 706번에 통합된 구 707번 역시 대화역을 지나가긴 했다.[7] 따지고 보면, 아직도 급행의 성격이 남아 있긴 하다. 일부 정류소 통과라는 타이틀로.
  • 경복궁역~숭례문 구간에서는 700번과 정차하는 정류장이 같다. 따라서 서울역환승센터에 들어가지 않고 숭례문에서 곧바로 경찰청으로 우회전하며, 광화문빌딩에 정차하는 대신 서울특별시청을 무정차 통과하고 소공동주민센터(삼성본관 앞)에 정차하므로 700번이나 이 버스를 타고 서울시청으로 가고 싶으면 광화문빌딩에서 내린 후 걸어가야 한다.
  • 동사 최장거리 노선이다. 총 62.7km로, 700번과 단 700m차이다.[8]

4.1. 일부 급행형 노선


광역버스에서 형간 전환하면서 9708번이 보유했던 일부 급행형의 정체성도 이어받아, 현재 수많은 서울면허 간선/지선 노선 중 적은 수를 자랑하는 간선/지선 급행형 노선 중 하나이다. 다만 당연히 직행좌석버스광역급행버스처럼은 아니고, 짧은 구간만 무정차한다.
다음은 무정차 정류장 목록이다.
  • 읽는 법: 무정차 통과구간 (해당 구간 중 무정차 정류장명) : 즉, ( ) 안은 노선경로상 지나가도 승하차는 할 수 없는 정류소이다.
    • 양 방향 구간
      • 대화동차고지 ↔ 대화역 (성저초등학교, 농수산물센터, 예비군훈련장 정류장)
      • 서정마을 ↔ 화전역 (화도교 정류장)
아현고가 철거 후 설치한 아현 - 충정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으로 충정로역에 정차하게 되었다.
다만, 급행구간 중 대화동차고지~대화역 구간은 어차피 노선의 시작/말단부라 별 의미가 없고, 화도교 역시 무정차한다고는 해도 화전 구간에서 중앙로가 아닌 화랑로(화전역, 항공대 앞 왕복 2차로 옛길)를 경유하기에 빛이 바랜다. 특히 퇴근시간대 서울->고양 방면으로는 중앙로를 타다가 화랑로로 들어가기 위해 1차 좌회전 신호대기, 화랑로에서 다시 중앙로를 타기 위해 2차 좌회전 신호대기를 해야 하고, 좁은 도로임에도 통행량이 의외로 많은데다가 신호주기도 짧아 중앙로를 직통하는 다른 노선들보다 시간이 더 걸린다. 버스철 회피를 위한 중앙버스전용차로 이탈 및 과속을 하는 경기도 버스들과 달리, 서울 버스로서 중앙버스전용차로 준수+에코드라이빙으로 인한 저속운행은 덤. 이러한 단점은 (급행형 노선은 아니지만) 7727번 등도 해당된다.

4.2. 여담


유희열의 원맨밴드 토이의 4집, <A Night In Seoul>의 더블 타이틀곡인 <거짓말 같은 시간>의 뮤직비디오에 깨알같이 등장한다. 이 뮤비를 찍을 당시가 1998년 말이었으니 동해운수신촌교통공동 배차하던 시절.

4.3.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07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7,835명
-
2014년
7,768명
▽ 67
2015년
7,449명
▽ 319
2016년
7,023명
▽ 426
2017년
6,859명
▽ 164
2018년
6,717명
▽ 142
2019년
7,025명
△ 308
2020년
5,535명
▽ 1,490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1] 토요일 17대 / 공휴일 16대 운행[2] 기존 정류소에서 80개로 줄었다. 3호선과 겹치는 고양 중앙로 구간과 서울 구간에서의 승객이 적거나 미미한 구간을 축소시켰다.[3] 지금은 M7731번이 생겼지만, 이건 KINTEX대화역만 경유한다.[4] 심야시간 문산행 열차는 홍대입구역이나 서강대역에서 착석이 거의 불가능하여, 앉아 가기 위하여 이 버스를 이용하는 수요가 어느 정도 있는 편이다.[5] 2010년 초 까지는 예전 9708시절 습관(?) 때문인지 조금 일찍 도착해도 2시 땡 칠 때까지 기다렸다 출발했기에 신촌로타리가 사실상의 종점 역할이었는데 어느 순간부터는 진짜 종점 출발 시각인 01:40만 지키는 것 같다. 만약 광화문 인근에서 아슬아슬하게 막차를 놓쳤을 시 재빨리 택시를 잡아 신촌으로 향한다면 현대백화점에서 막차를 잡아탈 수 있다.[6] 홍대입구역 기준으로 문산행 막차는 23:40경이지만, 능곡행 막차는 00:10 전후에 출발하며, 능곡행까지 끊겨도 능곡행 열차가 지나가는 행신, 능곡 지역을 이 버스가 상당히 커버해 주고 있다.[7] 773번은 대산로(오마초등학교 입구, 문촌4단지)에 들어가기 때문이다.[8] 원래 가장 길었던 노선은 68km의 7728번이었으나 직선화되면서 58km까지 줄어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