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수호자

 

[image]
출처
1. 개요
2. 도입 배경
3. 자격
4. 혜택
5. 기타
6. 관련 문서


1. 개요


대한민국 해군에서 2013년 1월부터 시행중인 제도. 제2함대사령부 예하 함정에서 근무하는 수병들 중 배치 후 6개월 이상 경과한 인원들 중 전역시까지 계속 복무할 것을 희망한 이들에게 주어지는 호칭이다.

2. 도입 배경


해군의 경우, 수병들 중 1차 발령지인 함정이나 도서 지역(), 일부 격오지 등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할 경우 일부 인원들을 차출해 2차 발령지인 육상 후방 부대로 보내주는 제도가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힘든 함정 생활을 고려하여 근무지의 환경에 따른 격차를 최대한 완화해 복무의 형평성을 최대한 보장해 주기 위한 제도로, 보통 근무지에 따라 30~80% 가량의 수병들이 중간에 2차 발령지에 가면서, 남게 되는 수병들은 선임들이 빨리 없어지며 해군 육상 및 타군 부대들에 비해 소위 끗발이 굉장히 빨리 차며 내무 생활이 편해지는 장점을 지니고, 보다 편한 2차 발령지로 가는 인원들은 근무 여건이 좋은 대신 함정에 비해 후임이 늦게 들어오거나 자기보다 선임자가 여럿 늦게 들어와 끗발이 늦게 차 내무 생활이 좀 곤란한 점 등의 단점이 있어 근무지간 격차가 상쇄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다만, 많은 수병들이 함정 등에서의 힘든 생활을 못 이기고 배를 떠나려고 하는 경향을 지니고 있고, 특히 육군GP 등 전방 철책부대에 비견될 만큼 힘든데다 교전도 잦은 2함대의 경우 대표적인 근무 기피지로 여겨질 만큼 이런 현상이 심각했기 때문에, 어떻게든 이들을 최대한 함정에 붙들어 보다 숙련된 수병들을 많이 보유하고 잔류한 수병들의 근무 의욕을 고취시킬 방법이 필요했다. 이를 위해 도입된 것이 바로 서해 수호자 제도이다.

3. 자격


선술했듯, 2함대 소속 함정 근무자들 중 2차발령 조건을 충족한 일병 이상 계급의 수병들 가운데, 함정에 전역시까지 남겠다고 자원하여 계속복무 서약서를 쓰면 이 칭호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해군 은어로는 '앵카 박는다'라고 한다. 서약서 작성시 무슨 '''노예계약서'''를 체결하는 것 같은 매우 찜찜한 기분을 느낄 수 있는데, '''그거 맞다'''.
보통 똘똘하고 말 잘 듣고 성실한 수병은 앵카 1순위이다. 당연한 것이, 숙련된 일병/상병을 보내봐야 오는 건 새로 가르쳐야 할 어리버리한 이병 하나이기 때문에 별로 내키지 않는 것. 함정 근무자들 일이 힘든 건 사람들 다 알고, 웬만해서는 다 내리고 싶어하기 때문에 장교들은 무조건 잡고 싶어한다. 수병이 발령시기가 가까워지면 대개 장교들은 앵카를 박으라며 온갖 회유와 협박과 설득을 가하며, 수병들은 반대로 무슨 일이 있어도 내리겠다며 온갖 핑계를 주워 넘긴다. 반대로 사고 치고 어리버리한 수병은 퇴출 1순위이며, 앵카를 박겠다고 결심해도 장교들이 만류하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위 조건을 충족해도 원칙적으로 전역시까지 2차발령지로 보내지 않는 임기제부사관들은 자동으로 서해 수호자가 될 수 있다.
단, 서약서를 쓰고나서 배에서 절대로 내릴 수 없는 것만은 아니다. 수병에게 뒤늦게 건강상의 문제가 생긴다거나 다른 상급 부대에서 특별히 수병을 뽑아가는 경우가 있다면 서약서를 취소할 수 있다.
당연히, 하사 이상 간부는 해당되지 않으며, 1차발령지가 육상인 수병 역시 이 칭호를 받을 수 없다. 단, 함정으로 간주되는 바지선인 해상전진기지(YPK), 도서지역 근무자는 가능하다.
제도가 도입된 이래, 계속복무 서약자가 기존에 비해 40% 가량 늘어나는 등 효과가 제법 있다고 한다.

4. 혜택


서해 수호자가 되면 (문서 최상단의) 배지가 수여되고 상시 패용 자격이 부여된다. 고속정복에는 왼쪽 칼라에, 해상병전투복(샘브레이, 당가리)에는 왼쪽 주머니 덮개 오른쪽(계급장 반대편)에 부착한다.
(처음 배에 전입온 신병에겐 멋있어 보일 수도 있지만, 되도록 뭔지 묻지 말고, 말해줘도 듣지 말자.)
또한, 휴가나 표창 등에 있어서도 인센티브가 부여된다.
그러나 앵카를 박는다고 해도, 배의 특성상 휴가를 많이 나가기는 힘들다. 배의 경계임무 스케쥴이 촘촘하게 짜여져 있고, 출동기간 사이사이의 정박기간에만 휴가를 돌리는 데다가, 그마저도 경계근무일정 변경으로 인해 씹힐 때가 많다.
함정에서 근무하면 함정근무수당, 출동수당 등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일부 수병들은 전역할 때 돈을 모아서 나갈 생각으로 앵카를 박는다. 그러나 병사들의 함정근무수당, 출동수당은 부사관과 장교에 비하면 굉장히 보잘것 없는데다가, 최근 병들의 월급이 오르면서 그 메리트는 더더욱 없다.
1급함(DDH 등)은 사정이 훨씬 낫지만, 2급함(PCC 등)이나 3급함(참수리 등)의 근무환경은 그야말로 열악하기 짝이 없다.
배는 오만곳이 쇠인데다가 군데군데 요철도 많고, 공간도 비좁아서 장기근무할 수록 발목, 무릎 관절이 상하기 쉽다. 병들은 짬에 상관없이 배의 오만 잡일을 도맡아하기 때문에 사무직에 가까운 간부들에 비해 다치기도 훨씬 쉽다. 게다가 군기도 훨씬 강하고 시도때도 없이 상황이 걸리는 2함대 함정이라면 육체적 스트레스는 물론 정신적인 스트레스는 말할 것도 없다.
특히 2함대 참수리는 전 해군은 물론, 육해공, 해병대, 일반적인 특수부대까지 합쳐도 최상위권에 놓일 정도로 근무강도가 강하다.
함정생활이 천직이 아니라면 6~7개월만 근무한 후 2함대의 육상부대나, 인방사로 전출가는 것이 베스트.
휴가를 많이 나가고 싶다면 공군을, 돈을 모으고 싶다면 차라리 육군을 가서 월급을 착실히 모으고, 한두달 일찍 전역한 다음에 막노동이나 알바를 하는 게 낫다. 분위기에 절대 휩쓸리지 말고, 무엇이 자신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에 이로울지 반드시 따져보자.
게다가 함장에 따라서는 쥐뿔 아무것도 없는 경우도 있고, 작은배는 특성상 휴가를 많이 주기 힘든경우도 있다. 휴가를 주기 힘든 경우 배에서는 기껏 내리려는 수병을 붙잡아놓고 못해줘서 미안해하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은 체념하고 만다.
전입으로 인해 배에서 내릴 때, 군생활을 잘했거나 현문당직자(부사관, 병)과 친하면 배에 방송을 해주는 경우도 있다.
("일병 XXX, 전출로 인해 하선.")

5. 기타



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