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병
[image]
대한민국 해군 수병
미합중국 해군 수병
[image]
독일 해군 수병
위의 사진들은 다 행사 및 휴가용 복장, 즉 정복으로 근무복/전투복이 아니다.
1. 일반적인 정의
해군 및 해안경비대의 병을 의미한다. "병사"라는 단어는 육군의 병만을 뜻하며 공군은 공군병이다. 해병대의 병은 해병대원 혹은 해병대병. 영어로는 'Seaman' 혹은 'Sailor' 라고 표기하는데, 군대 계급으로서의 수병은 'Seaman'이고, Sailor는 수부(水夫), 즉 '''배를 타는 선원'''의 의미를 포괄하는 성격이 강하다.[1] 사실 이것은 다른 유럽의 문화권에서는 거의 비슷해서, 어휘만 가지고는 해적선이든 군함이든 민간 선박이든 '배를 타고 일하는 사람'을 표현하는 말과 '해군의 말단계급'을 호칭하는 단어는 거의 비슷하며 이 단어들의 생성 과정도 비슷하다. 그러나 한국에서 수병이라는 단어는 '''해군 병'''을 나타내는 의미로만 사용되며, 민간 선박의 경우에는 수부, 혹은 선원이라고 한다.
[image]
[image]
고로 위나 아래나 다 수병이다. 윗 사진은 전탐병, 아래 사진은 해군 군사경찰(해안초소 경계병).[2]
육군에서 병사라는 단어를 공식 문서 등에서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관습적으로만 쓰는 반면, 해군은 수병이라는 단어를 공문서 등에도 등장시키는 등 정식 용어로 인정하고 있다.
북한군은 해병대가 없기 때문인지 수병을 해병이라고 부른다.
러시아 해군 등 구 공산권 국가의 해군들은 육전, 항공, 의무, 법무 병과는 육군식 계급 명칭을 쓰는 곳이 많고, 이런 곳들은 이 병과의 병들도 수병이 아닌 병사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2. 계급 체계
대한민국 해군에서 수병은 이등병에서 병장까지의 계급이지만, 세계 모든 나라가 이런 4계급 체계인 건 아니다. 해군은 육군에 비해 경력과 기술을 많이 요구하는데, 이 때문에 중사 이하의 부사관도 수병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
통상 중사 이하를 "Petty Officer", 상사 이상을 "Chief Petty Officer"라 하며 전자는 경력이 쌓인 수병이 받는 계급이고, 후자는 하급 장교다. 많은 국가에서 PO는 수병의 복제를, CPO는 장교와 같은 복제를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대한민국 해군도 1983년 5월 복제개정 이전까지는 중사 이하는 수병과 같은 옷을 입었다. 진해기지사령부에 있는 지덕칠 중사 동상이 수병복을 입은 모습으로 조각된 것도 그 때문이다.
미군의 경우 3년 이상 복무한 수병에게 장교가 될 기회를 준다. 학사 학위가 없어도 된다. 제러미 마이클 보더의 경우 수병으로 시작해 해군참모총장까지 올라간 수병 출신 제독이다.
3. [image] 대한민국 해군의 수병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병으로서의 수병 말고도, 병종(육군 병의 주특기와 유사한 개념) 이름으로도 있었는데 '''원래는 갑판병을 말하는 단어'''였다. 그러다가 수병 병종이 분화되어 갑판, 조타 등등 세부적으로 나뉘게 되었다. 이는 전통적으로 외국에서도 마찬가지라서, 계급으로서의 수병 말고도 원래 수병이라고 하면 특별한 병종이 없는, 즉 육군의 소총수에 해당하는 인원을 칭하던 단어가 바로 수병이다. 보통 외국 해군은 막 신병 훈련을 마친 신임 수병들은 후반기 교육을 수료하고 나면 자신이 부여받은 직별에 따라 '''계급 명칭이 바뀌는 경우가 부지기수'''이다. 그러나 대한민국 해군에서는 그냥 간단히 직별명+계급명으로 끝내며(보급일병, 전탐병장, 이발상병 등), 이는 부사관도 마찬가지이다.
대한민국 해군의 경우, 타 군처럼 수병들을 부를 때는 계급이 아닌 '수병'이란 호칭으로 부르는 게 일반적으로, "000 병장님" 대신 "XXX 수병님"으로 호칭한다. 간부가 수병을 부를 때도 'XXX 수병'[3] 으로 호칭한다. 육군에서 분대장 등을 따로 호칭하는 것과 달리, 해군은 '''병은 무조건 수병'''이다. 물론 계급은 존재하므로 공문에 표기할 경우이거나 복명복창시에는 '병장 XXX' 같이 계급으로 한다. 사실 해군 함정에서 계급 명을 넣어 부르는 경우는 하사를 호칭할 때밖에 없을 정도로 드문데, 중사는 전부 '직별 + 선임하사'로 호칭하며(예를 들어서 '갑판 선임하사님' 등등), 상사나 원사는 직별장('직별 + '''장'''')으로 호칭한다.(갑판 직별의 상사 = 갑판장님) 또한 장교도 해당 장교가 맡은 직책으로 호칭(통신관, 전투정보관, 작전관, 부장 등)하게 된다. 수병들 사이에서는 자기와 기수 차이가 별로 나지 않은 수병을 '''수뱀'''으로 칭하기도 하는데 '수병님'을 줄인 말이다. 쌤이랑 같은 원리인듯.
그리고 참고로 육군이나 공군은 타 부대 병들을 '아저씨' 라고 부르는데 반해 해군 수병들은 타 부대 수병들에게도 아저씨가 아니라 수병님이라 부른다. 즉 육군 병이 타 부대 병을 보면 "저기 아저씨, 무슨 일로 오셨어요?" 를 수병들이 부르면 "저기 수병님, 무슨 일로 오셨어요?" 더 정확히 파고 들면 "저기 수병님, 무슨 일로 오셨습니까?" 처럼 다나까와 같은 군대 말투는 유지하는 게 일반적이다. 처음 보는 수병들에게 요자쓰는 경우는 십중팔구 국직부대 근무자일 가능성이 크다. -
제2함대의 수병들 중 함정 근무자로서 전역시까지 배에 남기로 서약하면 서해 수호자가 될 수 있다(서해수호자 배지는 큰 자랑거리가 된다). 수병들 말로는 앵카박는다고 얘기하는데, 간혹 육상부대에 인원이 모자라는 경우 서해 수호자를 육상부대로 발령보내기도 한다.
하지만 2010년대 말부터 2020년대 중반까지의 대대적인 건함정책으로 인해, 하루가 멀다하고 새 함정이 취역하는 상황에서 지원제인 해군이 정해진 수병 TO를 채우기 위해는 육상의 수병 TO를 줄이는 방향밖에 없다는 의견이 있다.
4. 수병의 이미지와 복장
보통 선원도 비슷하지만 수병의 경우도 창작물에서는 '''바다 사나이'''의 강직한 인상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으며 보통은 파이프 담배를 물고우락부락한 근육질에 거친 성격을 가진 사람으로 표현되는데, 이 경우 보통은 팔에 닻 문신 정도는 이미 클리셰처럼 되어 있다. 해군은 보통 영국 해군의 영향으로 인해, 흔히 대항해시대의 해군 하면 장교들은 금테가 달린 긴 코트와 삼각모를 착용한 귀족적인 이미지로 나오는 반면 수병들은 두말할 것 없이 보통은 우락부락하고 거친 바다 사나이로 그려진다.
왜냐하면, 그들에겐 통일된 제복이 정해져 있지 않았고 그리고 무엇보다 배 탈 때까지만 해도 비실비실했던 샌님이라 하더라도 죽거나 거친 바다사나이가 되어 살아남을 정도로 배를 타는 생활은 힘든 생활이었다. 육군은 모병제였던 반면에 해군은 힘든 생활로 인해 지원하는 사람이 없기에 거의 납치 수준으로 강제 징집하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발생했었다. 문제는 배에 수병을 채우는건 함장들이 해야 할 일이었기 때문이었고, 해군본부는 각 함 명부에 등재된 수병들의 급여 지급 정도의 일만 했기 때문에, 기껏 얻은 배를 놓치지 않으려는 무명 함장들의 필사적인 모병 행위가 뒤따랐다.
고기와 밀가루로 만든 빵[4] 을 매일 준다며 유혹하는 건 약방의 감초급 멘트였고, 자신이 얻은 포상금 따위를 자랑하며 멍청한 희생자들을 꼬드기고는 했다. 배 타고픈 사람 대다수는 급여도 더 많고 위험수당이나 입항 중 외국 항구에서 내다 팔 상품 등을 싣고 탈 수 있고 어느 때든 중간에 수틀리면 내릴 수 있는 동인도회사 등 해운사의 민간 상선 선원을 선호했기에 이들과도 경쟁해야 했다.
최초로 수병에게 국가에서 제복을 지급한 것은 1850년대 영국 해군으로, 그 이전엔 어느 해군이든 제복조차 없어 그냥 사복을 입었다. 다만, 흰색 바탕에 가로 줄무늬가 그려진 셔츠를 입거나 긴 수건을 양갈래로 묶어 오늘날의 네커치프 모양으로 만들어 목에 두르는 암묵적인 유행 정도는 있었고, 그래서 함장이 돈이 많으면 멋진 수병복을 단체로 맞춰서 입히고는 했다. 이 사제 제복들은 수량도 적고 단정하게 입어야 하며 손망실시 재지급이 까다롭거나 사비로 보충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평소엔 짱박아뒀다 행사 등에만 입는 게 대부분이었다. 일상 근무복이나 전투복으로 아낌없이 입을 만큼 승조원 총원의 옷을 지급할 만큼 부유하거나 씀씀이가 큰 함장이나 제독은 그리 많지 않았다. 아니면 보급관이 배 안에서 같은 디자인의 옷을 대량으로 사다가 옷이 떨어진 수병들에게 팔다 보니 시간이 흐르면서 자연스럽게 일종의 제복과 같은 효과가 나기도 했다.
[image]
트라팔가 해전을 묘사한 그림. 저기서 제복 같지 않은 걸 입은 사람들이 다 수병이다. 붉은색 군복을 입은 사람들은 해병대이고, 파란 제복은 장교이다.
수병 하면 흔히 떠올리는 이른바 세일러복은 1850년대에 생겨난 이래 불과 반세기 전까지만 해도 일상 근무복과 전투복의 역할도 했으나, 오늘날 몇몇 가난해서 정복/전투복도 구분 안 하고 지급하는 나라들을 빼면 대부분 행사용 복장인 정복으로 바뀌고, 일상 근무 및 전투시엔 그에 맞도록 함정이나 육상에서 입을 수 있는 근무복 및 전투복이 있다.
[image]
한때는 이렇게 이거입고 땅에서 총질도 했다. 사진은 제2차세계대전 때의 소련 해군
[image]
한국 해군 수병들의 근무복 겸 전투복. 정식 명칭은 해상병전투복이나 미 해군의 그것에서 유래한 샘브레이(Chambray, 셔츠)와 당가리(Dungaree, 바지), 약칭 샘당이라는 명칭으로 더 많이 부른다. 자세한 것은 군복 항목 참조. 육상 근무하는 수병들 중 군사경찰이나 도서지역 근무자 등 일부에겐 간부들이 전투시에 입는 통합위장무늬의 전투복이 지급된다.
[image]
영국 해군의 함상 근무복.
[image]
타이 해군의 근무복. 오른쪽 견장 달린 옷 입은 둘은 장교이다. 특이하게 카키색 세일러복을 일상 근무복으로 착용하는 사례.
현존하는 가장 특이한 함상 근무복인 미 해군의 NWU(Navy Working Uniform). 함정에서는 흙먼지보다 페인트 작업이나 기름때 등이 많이 묻기 때문에 이런 오염을 최대한 가려줄 수 있는 위장복으로 이런 색배열을 채택했다.
5. 각종 매체에서의 수병
수병 캐릭터로 가장 유명한 인물은 '''뽀빠이가''' 있다. 도날드 덕도 모티브는 수병. 그런데 제2차세계대전 때 전시 홍보 애니메이션에선 육군에 갔다.
오다 에이이치로의 만화 원피스에도 해군 수병들이 엑스트라로 다수 등장한다. 여기서는 일반적인 세일러복이 아닌 네커치프에 조끼 차림으로 나온다. 수병들이 'MARINE'이라고 적힌 모자를 쓰고 있는데, 이는 영,미 문화권과는 달리 Marine이라는 어휘를 "해군"이라는 의미로 사용하는 비영어권 유럽 국가들식의 군사 용어를 택한 것이다. 그러나 한국에선 'Marine'이라는 말은 '해병'을 뜻하는 단어라는 인식에 워낙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한국어 번역판에는 '해군'이라 하지 않고 '해병'이라고 번역했다.
마리얼레트리에는 광명학회 예하 해군 소속으로 전 승조원이 여성으로만 구성된 정보수집함 잿빗 10월함이 등장하는데, 당연히 여기는 수병들도 여성이다.
스타워즈에선 스톰 트루퍼 다음으로 등장이 많은 은하제국군이 은하 제국 해군인지라, 수병들도 많이 등장한다. 일반 수병들은 검은 제복을 입고 헬멧을 쓰고 있고, 오퍼레이터 등 기술 계열 수병들은 회색 작업복을 입고 군모를 쓰고 있다.
밀리라이브 마지막 화에서 Aqours의 사쿠라우치 리코가 FF에 갓 부임하는 신병 수병으로 등장한다.
뷰티풀 군바리의 주인공 정수아의 친구 하영이 한국 해군 수병이다.
[1] 그렇다고 'Seaman'을 군대에서만 쓰는 것은 아니다. 미 해군과 해안 경비대 등에서 '''병 신분의 해군 군인을 뜻하는 말로 Seaman'''을 쓰는 것. 미 해군 계급명칭으로도 쓰이는데, 일병~상병 정도 된다. 상선 선원들 계급 명칭에도 Seaman이란 단어가 들어간다.[2] 군사경찰 문서 참조. 해군의 육상 해안초소는 경계군사경찰이라는 이름으로 군사경찰이 들어간다. 미합중국 해군의 경우 미합중국 해병대 대원들이 군항이 있는 해안을 지키는 초소에 들어간다.[3] 공식적인 자리이거나 함장 등 계급차이가 꽤 있는 경우. 함정에서 오래 근무해서 어느 정도 안면이 튼 장교는 보통은 그냥 이름으로 수병들을 부른다. [4] 우리나라로 치면 쌀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