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역센터

 




[image]
[image]
1. 개요
2. 세부 건물 배치
3. 근황
4. 기타
4.1. 대중매체에서


1. 개요


9.11 테러로 인해 무너진 뉴욕 맨해튼구 세계무역센터를 계승하는 대규모 비즈니스 센터. 붕괴 이전의 건물과 구분하기 위해 '신 세계무역센터'라 부르기도 한다. 총 5개의 마천루와 교통센터, 추모시설과 박물관으로 이루어져있으며, 그 중 가장 높은 건물이 541m[1][2]제1 세계무역센터, 일명 프리덤 타워이다.
1WTC를 포함한 새로운 세계무역센터 건설 계획은 5개의 초고층 건물의 건설과 함께 9.11 테러로 인한 사망자들의 위령 공간[3][4], 상업시설, 뉴욕 지하철의 환승 구조물을 건설하는 것 또한 포함되어 있다.
2006년에 7번 건물이, 2013년에 4번 건물이 완공되었다. 그리고 2014년 11월 1일에 메인 랜드마크 타워인 1번 타워가 개장했다. 타워 2, 5에 해당하는 건물들은 그리니치가를 따라서 지어지고있다.

2. 세부 건물 배치


총 6개의 마천루와 추도 시설인 국립 9.11 테러 메모리얼 박물관을 비롯한 추도 시설, 및 교통센터 등이 들어서게 된다. 즉 복합 업무 및 추도 시설의 기능을 하게 되는 셈.
'''완공 순서: 7WTC→4WTC→1WTC→3WTC→2WTC(예상)→5WTC(예상)'''[5]
'''건물 명칭'''
'''높이'''
'''층수'''
'''용도'''
'''현황'''
'''완공'''
제1 세계무역센터

541m
104층
오피스, 전망대, 쇼핑몰
개장
2014년 11월 1일
제2 세계무역센터
409m
80층
오피스
공사 중단
2024년
제3 세계무역센터
378m
70층
오피스, 호텔
개장
2018년 6월 11일
제4 세계무역센터
298m
72층
오피스, 전망대
개장
2013년 11월 13일
제5 세계무역센터
220m
43층
오피스
착공
미정
제7 세계무역센터
226m
52층
오피스
개장
2006년 5월 23일
9.11 메모리얼 파크
박물관, 추모 시설
개장
2014년 5월 21일
세계무역센터 교통 허브
환승센터, 지하철역, 쇼핑몰
개장
2016년
  • 2014년 11월 12일 현재 1WTC, 3WTC, 4WTC, 그리고 7WTC는 정식 개장했으며, 2WTC와 5WTC는 공사 잠정 중단 상태.
  • 각 마천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표 안에 있는 각 항목을 참고하기 바란다.

2.1. 6 WTC의 부재


계획된 건물들을 보면 1~7동 까지의 건물 중에서 6 WTC가 없다. 계획 자체도 딱히 잡혀있지 않은 상태.
구 세계무역센터 시절에는 6WTC라는 저층 건물이 있었다. 미국 세관이 입주해있던 6층짜리 건물이었으나, 9.11 테러 당시 건물의 절반 가량이 무너지는 심한 손상을 입었고 2002년에 철거되었다. 이 때 당시 건물 자체가 매우 약해진 상태였기 때문에 기둥을 케이블로 잡아당겨서 억지로 세워놓고(...) 철거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 부지에 바로 새로운 1 WTC가 지어지게 된다.
하지만 신세계무역센터에서 복원되는 건물은 1, 2, 3, 4, 5, 7동 등 총 6개의 건물 뿐이고, 6동은 복원계획에 잡혀있지 않다. One WTC 옆에 세워지는 Performing Arts Center가 이 이름을 부여받게 될 가능성이 있지만 확실한 것은 아니다.

2.2. National September 11 Memorial & Museum


[image]
구 1WTC와 2WTC의 기반 위에 지어진 추모시설. 가장자리에는 9.11테러에서 숨진 희생자들과 1993년 세계무역센터 폭탄테러 희생자들의 이름을 새긴 명패가 놓여져 있고 안의 빈 공간에는 북아메리카 최대의 인공폭포가 조성 되어있다. 상당한 양의 물이 떨어지는데 9.11 테러로 인해 수많은 미국인들이 흘린 눈물을 상징한다. 2011년 9월 12일 이후로 일부가 개장중이었다가 테러 13주기[6]가 되는 2014년 5월 21일 완전 개장되었다.
참고로 이 거대한 땅을 놓고, 어떻게 쓸것인가에 대한 의견이 상당히 분분했다고 한다. 많은 국민들과 희생자 가족들은 이 부지를 추모시설로 사용할 것을 요구했고. 사업자들과 뉴욕시 역시 너무나 거대한 부지를 추모시설만을 설치하기에는 손해가 크다라며 건물 지하등에 추모시설을 건설하는 것과 같은 절충안을 내세우며 거절의 뜻을 내비쳤으나, 결국 강력한 여론에 의해 추모시설로 사용하기로 결론났다.
이것에 대해 모르는 관광객들 중 프리덤 타워 계획이 구 세계무역센터 부지 바로 위에 세워지는 것으로 착각하는 사람이 많다.
이 공원이 지어지는 과정은 아래의 영상을 참고하자. [7]


2.3. World Trade Center Transportation Hub


[image]
[image]
조감도
야경

원래 있던 역을 대체하는 환승센터. 뉴저지로 가는 광역철도PATH도시철도뉴욕 지하철 역들 간 환승을 한번에 할 수 있다. PATH 세계무역센터 역과 뉴욕 지하철 체임버가-세계무역센터 역이 환승센터에 자리한다. 사고 이후에 잠시 역이 폐쇄되었다가 재개장했지만 역 안에서는 환승이 안 되고 역 밖으로 나갔다가 다시 들어와야 한다.
통칭 Oculus라 불리는 이 곳은 스페인 출신 유명 건축가인 산티아고 칼라트라바가 역사를 설계했으며 38억5000만달러(4조 6천억원)의 건설비가 들었다. 내부가 텅 비어있고 하얀 대리석 바닥으로 되어있어 위에서 내려다보면 마치 거대한 아이스링크장 같다.
2016년 3월 역사가 오픈했고, 2016년 8월 16일 쇼핑몰 '웨스트필드 WTC'가 개장했다.

3. 근황


2009년 무렵 개발 주체인 뉴욕 뉴저지 항만청의 계획안 변경[8]이나, 건물주와 투자자들의 자금난, 대침체로 촉발된 장기적인 부동산 침체 등으로 인해 기존의 계획은 많이 틀어진 상황이다. 각 마천루 별 상황은 각 마천루 항목을 참조하기 바란다.
제일 먼저 개장한 건 다름아닌 7WTC로, 2006년 5월 23일에 개장했다. 그리고 2013년 11월 13일4WTC가 개장했다. 한편 랜드마크 타워인 1WTC2006년 4월 17일 착공하여, 2013년 7월 17일에 꼭대기 541m의 첨탑이 완공되었으며, 약 1년 반 만인 2014년 11월 1일 정식 개장했다. 9.11 테러가 일어난 지 약 13년 1개월 만에 새롭게 부활한 셈이다. 2018년 6월 11일에는 3WTC가 정식 개장했다.
5WTC2014년 8월 시점에서는 계획조차 잡혀있지 않다.

4. 기타


디자인이 여러번 바뀌었다. 세계적인 건축가 노먼 포스터 경의 설계도 있었고, 무너진 구 세계무역센터의 디자인을 그대로 써먹은 디자인도 있었지만 격렬한 반대끝에 건축가 '다니엘 리베스킨드'가 설계한 디자인으로 가게 되었는데, 2006년에 설계가 또 한 번 바뀌어 현재와 같은 모습이 되었다.
참고로 이 마천루 건설 계획의 이름은 기존 세계무역센터와 같은 그냥 '월드 트레이드 센터', 즉 '''세계무역센터'''다. 프리덤 타워는 애칭으로서 정식 이름은 아니었으나, 전 세계 반미 테러리스트들을 자극할 수 있다는 이유로 정식으로 월드 트레이드 센터라고 부르게 되었다. 하지만 대부분 시민들에게는 '프리덤 타워'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무너진 세계무역센터 건물을 그대로 복원하자는 계획도 있었다. 자세한 사항은 트윈타워즈 2 참조.

4.1. 대중매체에서


  • 바빌론 A.D.: 2WTC가 악당의 본부로 나온다는 설정. 게다가 1WTC보다 더 높아졌다.[9]
  • 크라이시스 2
  • 동쪽의 에덴 극장판 'The King of Eden'의 오프닝에서 등장. 화려하고, 극히 미래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이후 뉴욕을 돌아다닐 때에 간간히 배경으로 등장한다.
  • 오블리비언: 영화 오블리비언에서는 주인공의 꿈 속에서 등장한다. 파괴 이전의 뉴욕의 모습인데, 기타 매체에서와는 달리 건물들이 잘 표현된 편. 잭 하퍼가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에서 줄리아에게 고백할때 프리덤 타워를 배경으로 반지를 건네며 '미래를 보여주겠다'라는 말을 한다.
  • 명탐정 코난 19기 극장판 화염의 해바라기: 초반부에 스즈키 지로키치(정지로)가 1WTC에서 열리는 경매에서 고흐의 해바라기를 낙찰받았고. 여기서 자신의 조카인 스즈키 소노코(정보라)와 같이 기자회견에서 고흐의 해바라기 전시 계획을 발표 하다가 괴도 키드의 습격을 받는다. 7인의 호위무사중 한명이자 NYPD소속의 경찰관인 찰리가 괴도 키드를 쫒아가나 괴도 키드가 사라지고 그자리에서 쿠도 신이치(남도일)가 나타난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 '헌터 킬러' 미션 마지막 부분에서 헬기를 타고 철수할 때 전쟁터가 된 뉴욕 맨해튼 고층 빌딩들의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때 멀리 잘 보면 WTC1, WTC2, WTC3 3개의 건물들을 볼 수 있다. 고층 건물들 사이에 가려서 잘 안보이기도하고 빠르게 지나가는 장면이라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 노 클립을 사용해서 가까이 본 세계무역센터 영상
점점 매체마다 출현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뉴욕의 화려함을 강조할 때 더더욱 그 특징이 두드러지는 모양새. 영화 같은 매체에서는 한동안 뉴욕 설정샷으로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을 메인으로 두고 맨해튼 남쪽 전경을 보여주는 경향이 강했지만, 최근에는 점점 1WTC를 메인 포커싱하여 맨해튼 북쪽을 바라보는 구도가 더 잦아지고 있다. 이 추세라면 속칭 '프리덤 타워' 풍경이 뉴욕을 대표하는 얼굴이 되는 것도 시간 문제로 여겨진다.
현대나 근미래 뉴욕을 다룬 게임에서도 역시 항상 출연한다. 다만 구 세계무역센터가 뭔 일만 생기면 파괴되는 역할(...)을 맡았던 반면, 현재는 실제로 공격당했던 9.11 테러의 영향으로 프리덤 타워가 파괴당하는 일이나 이런저런 나쁜 일에 얽히는 것은 사실상 '''암묵적인 불문율으로서 금기시'''되고 있다. 어기면 불근신 게임이라는 타이틀이 붙게 되며, 앞으로도 프리덤 타워가 직접적으로 파괴되거나 나쁘게 설정되는 일은 없을거라는 전망이 크다.

[1] 첨탑을 포함한 수치. 첨탑을 제외한 건물만의 높이는 417m이다.[2] 완공된 2013년 이래로 현재까지 미국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기도 하다.[3] 1993년 세계무역센터 폭탄테러의 희생자들도 명판에 적혀있다.[4] 테러 이후 붕괴된 잔해속에서 끝까지 남은 콘크리트 계단, 일명 Survivor's Staircase도 지하로 옮겨져 전시된다.[5] 두 빌딩 아직 완공상태가 아니다. 2번빌딩은 공사가 중단된 상태이고, 5번빌딩은 시작조차 하지 않았다. 만약 두 빌딩 모두 완공된다면 2번이 먼저 완공될 것으로 예상된다.[6] 13이라는 숫자를 터부시하는 서양 문화권 특성 때문에 무리해서라도 개장을 앞당기던지, 미루던지 하라는 의견이 종종 나오곤 한다.[7] 나무가 본격적으로 성장해서 가지가 멀리 뻗어나가기 시작하면 지금보다는 훨신 울창해보일 것이다. 괜히 처음부터 빽빽하게 조성해놨다가 십수년 이상 나무가 자라면 답이 없다. 1기 신도시에 사는 사람같으면 가로수를 보면 금방 감이 올 것이다. 말라죽어서 새로 심은 가로수가 분명히 있을텐데 그런 가로수들과 도시가 처음 조성되었을 때 심겼을 나머지 가로수들의 크기를 비교해보자.[8] 특히 소유주인 래리 실버슈타인과의 갈등이 빚어졌다. 이 때문에 2WTC와 3WTC 공사가 차질을 빚는 게 아닌가라는 의심도 있다.[9] 1 WTC가 사실상 무너진 세계무역센터 재건의 상징인데다가, 여러가지 복합적이고 민감한 미국인들의 정서가 얽히다보니 악의 중심을 차마 1 WTC로 설정하기는 힘들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