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베이 회의
Congrès Solvay
1911년부터 벨기에의 기업가이자 솔베이의 창립자인 에르네스트 솔베이가 개최한 국제 물리학, 화학 학회. 이 학회는 3년마다 열리는데 3년을 주기로 첫 해에는 물리학 학회가 열리고 두번째 해는 건너뛰고 세번째 해에는 화학 학회가 열린다.
가장 최근에 열린 물리학 학회는 2017년 제27차 회의이고 2017년 10월 19일부터 21일까지 브뤼셀에서 개최되었다. 가장 최근에 열린 화학 학회는 2016년 제 24차 회의로, 2016년 10월 18일부터 22일까지 브뤼셀에서 개최되었다.
가장 유명한 회기는 1927년 10월 개최된 제5차 솔베이 회의다. 이 5차 대회의 참석자 기념사진은 <인류 역사상 다시는 없을 정모>, 또는 <지상 최강의 정모>라는 짤방으로 인터넷을 돌아다닌다. 사진의 인물 전원이 과학사에 굵직한 업적들을 남겼으며 절반 이상인 '''17명'''(!!!)이 노벨상 수상자이다.[1]
약간 과장을 보태면, 오늘날 전세계 과학도들이 공부해야 할 내용들의 대부분이 이들 제5차 회의 참가자로부터 나온 셈이다. 확실히 과학사에서 이 시절만큼 천재적인 인물들이 많았던 시기는 드물다. 자신이 과학자로서의 꿈을 가지고 있다면 보고 있을 때 경외감이 절로 드는 사진.
이 회의에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에 반대하면서,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는 말을 남겼다. 이에 대해 닐스 보어는 "신이 주사위를 가지고 뭘 하든 이래라 저래라 하지 마라."는 말로 답하였다.
[image]
인물 설명 출처
이 회의에서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닐스 보어가 광자 상자를 이용한 사고실험을 통해 논쟁을 벌였고 보어가 아인슈타인에게 불확정성 원리가 참임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주었다.
1. 개요
1911년부터 벨기에의 기업가이자 솔베이의 창립자인 에르네스트 솔베이가 개최한 국제 물리학, 화학 학회. 이 학회는 3년마다 열리는데 3년을 주기로 첫 해에는 물리학 학회가 열리고 두번째 해는 건너뛰고 세번째 해에는 화학 학회가 열린다.
가장 최근에 열린 물리학 학회는 2017년 제27차 회의이고 2017년 10월 19일부터 21일까지 브뤼셀에서 개최되었다. 가장 최근에 열린 화학 학회는 2016년 제 24차 회의로, 2016년 10월 18일부터 22일까지 브뤼셀에서 개최되었다.
2. 주요 회의
2.1. 제5차 솔베이 회의
가장 유명한 회기는 1927년 10월 개최된 제5차 솔베이 회의다. 이 5차 대회의 참석자 기념사진은 <인류 역사상 다시는 없을 정모>, 또는 <지상 최강의 정모>라는 짤방으로 인터넷을 돌아다닌다. 사진의 인물 전원이 과학사에 굵직한 업적들을 남겼으며 절반 이상인 '''17명'''(!!!)이 노벨상 수상자이다.[1]
약간 과장을 보태면, 오늘날 전세계 과학도들이 공부해야 할 내용들의 대부분이 이들 제5차 회의 참가자로부터 나온 셈이다. 확실히 과학사에서 이 시절만큼 천재적인 인물들이 많았던 시기는 드물다. 자신이 과학자로서의 꿈을 가지고 있다면 보고 있을 때 경외감이 절로 드는 사진.
이 회의에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에 반대하면서,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는 말을 남겼다. 이에 대해 닐스 보어는 "신이 주사위를 가지고 뭘 하든 이래라 저래라 하지 마라."는 말로 답하였다.
관련지어서 인문계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 중에서도 최고의 학자들을 모은 아테네 학당이 있다. 물론 그 그림은 상상화지만 충분히 인문계 최종보스들로 불리기도 한다. 다음 사진은 제 5차 솔베이 회의 때의 사진.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신은 (우주를 가지고)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아(God does not play dice).'''
닐스 보어 : '''아인슈타인 선생님, 신이 뭘 하든 무슨 상관입니까(Einstein, stop telling God what to do).'''
1927년 10월 29일, 제 2차 솔베이 회의 마지막 날. 닐스 보어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논리[2]
로 불확정성 원리가 옳음을 증명해내자.
[image]
인물 설명 출처
2.2. 제6차 솔베이 회의
이 회의에서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닐스 보어가 광자 상자를 이용한 사고실험을 통해 논쟁을 벌였고 보어가 아인슈타인에게 불확정성 원리가 참임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주었다.
[1] 노벨물리학상이 15개, 노벨화학상이 3개이다. 수상자는 17명인데 노벨상 개수가 18개인 것은 두말할 것도 없이 마리 퀴리 때문.[2] 아인슈타인은 앞서 말한대로 과학은 확률이 아니라 인과관계로 설명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3] 땡땡의 모험에서 해바라기 박사의 모델이 된 인물. 본인은 직접 기구를 타고 인류 최초로 성층권에 도달했으며, 이 사람의 아들 자크 피카르는 심해 잠수정 '트리에스테'로 마리아나 해구에 잠수하여 2019년에 갱신될 때까지 인류 최심도 잠수기록을 세웠다.[4] 아들인 W. L. Bragg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수상했지만 당시 나이가 37세로 어렸기 때문에 솔베이 회의에는 초청받지 못하고 대신 참가자들의 사인이 담긴 엽서를 받았는데, 사실 브래그 법칙을 유도해낸 것은 아들쪽이었기 때문에 굉장히 속상해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