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와 덴노/다른 나라와의 관계

 


1. 남북한과의 관계
2. 미국과의 관계
3. 러시아와의 관계
4. 네덜란드와의 관계
5. 중화권과의 관계


1. 남북한과의 관계


남북한 막론하고 한민족 모두에겐 사실상 악연이 깊을 대로 깊은 관계로 일제강점기의 폭정과 억압통치로 상처와 비극을 그리게 하였고, 일제 말기 때 제2차 세계대전에도 개입하면서 무고한 조선 청년 및 처녀들을 학병정신대, 일본군 위안부 등으로 징집시키면서 역사적으로 이들에게 생지옥으로 인도한 '''천하의 개쌍놈이자 마신'''으로 낙인찍혀 악평을 받아왔고 민족 차원에서 비난과 비판대상이 되어 왔다. 이러한 제도를 실시한 원흉은 당시 총독이었던 고이소 구니아키였지만, 애시당초 조선총독이 내각이 아닌 천황 직속인 데다 쇼와 덴노 역시 이를 허가했으니 피해자들 입장에서는 원망스러울 수 밖에 없다.
1984년 전두환 대통령이 대한민국 국가원수로서는 처음으로 방일(訪日)하여 쇼와를 만난 적이 한 번 있었지만, 정작 쇼와는 역대 덴노들과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한 사례나 경험이 없다. 그 이전에 일본의 식민지였던 때도 방한한 사례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이쇼 천황이 황태자 시기에 방한한 적은 있다. 사실 본인이 방한하고 싶어도 한국 애국단체와 순국선열단체, 그리고 민주 운동권 세력들이 강력히 반발했을 것이기 때문에 어려웠을 것이다. 이미 1982년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파동이 터진 데다, 그 이전에도 저 멀리 떨어진 네덜란드를 방문했을때조차 격한 반발을 맞이해야 했으니 물건너 한국은 말할 것도 없다.
한편 전두환 대통령과 함께한 만찬에서 쇼와는 '양국간 불행한 과거에 깊은 유감을 표하며, 다시는 되풀이 되어선 안 된다.'는 낭독사를 읽었다. 더 나아가 “지난 6~7세기 일본의 국가 형성기에 귀국의 많은 지도를 받았다.”며 감사의 뜻을 표하기도 하였다.
1989년 1월 7일에 쇼와 덴노가 사망한 날, 노태우 대통령이 조전을 보내고 정부는 강영훈 국무총리를 조문사절로 보낼 것을 고려하였으나 재야 민주단체와 독립운동 유관단체들의 거센 항의를 받아야 했다. 우여곡절 끝에 강 총리는 2월 23일에 장례식 참석을 위해 방일했다.
북한측 여론은 당연히 비난 일변도였는데, 쇼와 덴노 사후 조선중앙통신이 쇼와를 '전범'이라고 규정함과 동시에 다케시타 총리의 담화에 대해서도 피해국 입장에선 용납할 수 없는 도전이자 모욕이라고도 비난했다.

2. 미국과의 관계


미국은 한-미-일 삼각동맹에서 맏형이자 우방국 관계이지만, 2차 세계대전이 끝나기 전까지는 미국과 일본은 엄연히 태평양 전쟁을 하며 일본군미군 포로들을 지나치게 학대한 사실이 있어 미국의 중장년층 세대들은 반일감정이 꽤 남아있는 편이다. 일례로 자신이 미 해군 조종사였다가 치치지마 식인 사건의 희생양이 될 뻔했던[1] 조지 H.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히로히토 사망 이후에야 "이제야 겨우 일본을 용서할 마음이 들었다"라는 술회를 했고, 장례식에도 참석했다.

3. 러시아와의 관계


러시아와 일본은 메이지 시대부터 러일전쟁을 벌여왔고 러일전쟁 과정에서 러시아령이었던 사할린 섬 남부 지역을 일본에게 빼앗기고 제2차 세계대전 말기에 일본과 싸워 러일전쟁 당시 일본이 빼앗아간 사할린 남부 지역을 다시 차지하고 더 나아가 쿠릴열도까지 일본으로부터 뺏어먹는 등 그렇게 사이가 좋지만은 않았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시대 때 공산주의 국가였던 소련과 친미국, 자본주의 진영에 속해있던 일본과도 정치적, 이념적으로 대립하고 쿠릴 열도 분쟁으로도 갈등을 빚는 등 쇼와 시대 이전에도 양국은 상당히 불편한 관계에 있었다.
게다가 1989년 히로히토가 죽고 아키히토가 새 덴노가 되고 1991년 소련이 해체된 이후에도 두 나라의 사이는 러일전쟁 등 역사적인 원한과 쿠릴열도를 둘러싼 러일간의 영토분쟁으로 여전히 사이가 좋지 않다.

4. 네덜란드와의 관계


예로부터 네덜란드와 일본은 에도 시대부터 활발한 교류를 하여 양국간의 적대심은 심하지 않다. 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 때 네덜란드의 식민지였던 인도네시아가 일본군에게 점령당하기도 했고 최근에 네덜란드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까지 밝혀지면서, 네덜란드인에게도(한국이나 중국만큼은 아니지만) 비난과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1971년 히로히토가 아내 나가코 황후와 함께 네덜란드를 방문하자 격렬한 항의 시위가 있었다. 네덜란드 노병들과 전사자의 유족들이 "히로히토를 전범 재판에 회부해라!!", "히로히토가 죽인 내 아버지를 살려내라!!", "인간백정은 네덜란드를 떠나라!!"라는 항의가 빗발쳤고 일장기 소각, 보온병과 돌팔매가 날아들어 수행원들이 거의 죽어나갔다.

5. 중화권과의 관계


중국은 일본의 식민 지배를 직접적으로 받지 않았고 청나라나 중화민국과 일본의 관계가 양호했던 면도 있었지만, 중일전쟁난징대학살이나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으로 인해 중국에게도 비난과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쇼와 덴노가 살아있었던 1970~80년대까지 덴노가 중국을 방문하지 못했을 정도.[2]
최근에도 히로히토를 비난하는 여론은 여전하며, 일본 덴노에 대해서 매우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음은 물론이다. 일단 아키히토 상황과 현 나루히토 덴노는 개념 행보 덕분에 딱히 비난 받지 않는 편이지만 히로히토는 중국의 포털 사이트인 바이두알리바바 그룹 소유 사이트 등에서 여전히 비난받는 것은 물론이고, 간혹 도조 히데키를 제치고 히틀러, 무솔리니와 함께 악마로 취급받는 경우까지 있다.
반면 일제강점기를 겪었지만 사정이 많이 다른 대만[3]에는 과거에 쇼와가 방문했던 적이 있으며, 타이베이 인근 신베이터우 온천에는 그가 이용했던 탕도 남아 있다.

[1] 아군 잠수함에 의해 구조되었다. 그리고 포로가 된 동료 조종사들은 이 사건으로 인해 살해당한 후 '''먹혔다.'''[2] 결국 히로히토가 사망하고 전쟁을 반대하던 아들 아키히토 황태자가 새 덴노가 되면서 1992년에 아키히토 덴노가 중국을 방문한다.[3] 자세한 것은 대만의 역사, 그리고 대만독립문제를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