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난이대
1. 개요
'''受難二代'''
대한민국의 전후 소설가 하근찬(1931~2007)의 소설. 1957년 한국일보에 처음 발표되었으며, 작가의 등단작이자 대표작.
1950년대 한국의 작은 마을[1] 을 배경으로, 아버지와 아들 2대에 걸쳐 가족이 겪은 수난을 소재로 하여 근대 한국사의 질곡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 소설을 쓰게 된 계기가 두 가지 있는데, 한 가지는 작가가 기차에서 물건을 강매하는 팔이 없거나 다리가 하나 없는 상이 군인을 자주 본 경험과 제 3자에게서 들은 유럽 여행담에서 다리가 잘린 남자가 자기 아들은 2차 세계대전에서 죽고 자신은 1차 세계대전에서 다리를 다쳐서 이렇게 됐다는 이야기를 합쳐 쓰게 되었다고 한다.[2]
2. 등장 인물
2.1. 박만도
주인공. 일제 시절 남양 군도로 징용에 끌려나가 비행장에서 일어난 폭격으로 왼팔을 잃고 외팔이 된 인물로, 전후 시점인 작중 시간대에서는 3대 독자 진수를 마중 나가지만 아들이 외다리가 된 사실에 충격을 받는다.
하지만 아들이 자신감을 잃고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이자 아들을 다독여주며 격려하고 외나무다리에서 아들을 업고 집으로 간다.
2.2. 박진수
주인공 박만도의 외아들인 3대 독자로, 전쟁에서 수류탄 쪼가리에 왼쪽 다리를 잃고 외다리가 되었다. 다리를 잃은 후유증과 슬픔으로 아버지에게 이제 어떻게 살아야 하냐며 하소연하지만 아버지의 격려로 용기를 찾고 외나무다리에서는 다리를 건널 수 없어서 아버지의 등에 업힌다.
3. 줄거리
일제 징용에 끌려갔다가 팔을 잃고 귀향해서 살고 있는 박만도는 3대 독자인 아들 진수가 6.25 전쟁에서 돌아온다는 통지를 받고 신이나서 펄쩍펄쩍 뛰며 정거장으로 마중을 나간다. 만도는 일제강점기 때 강제 징용을 나가 비행장 건설을 하다가 폭격에 휘말려 팔을 잃었다.[3] 역으로 나가면서 만도는 진수에게 구워줄 고등어 한 손을 산다.
박만도는 내심 아들이 자신과 같은 장애인이 되지 않기를 바라지만, 아들이 수류탄에 한 쪽 다리를 잃고 목발을 짚은 것을 보고는 충격을 받는다. 그런 이유로, 그 자리에서 사정없이 다그치고 외다리인 아들의 속도에 맞춰주지 않고 쌩 가버리지만 그래도 아들이 걱정되고 처음 받은 충격이 가라앉자 중간에 들른 주막에서 기다려주고 국수를 같이 먹으며 더 먹으라고 권하는 등 누그러진 모습을 보인다. 돌아오는 길에 아들 진수는 이런 꼴로 어떻게 세상을 살아가면 좋을지 아버지에게 하소연한다. 만도는 팔 하나 없어도 나처럼 잘 살 수 있다며 격려한다.
그런데 집에 돌아오는 길에 외나무다리가 나타난다. 한쪽 다리가 없는 진수는 도저히 다리를 건널 수 없었다. 만도는 한 쪽밖에 없는 팔로 아들을 업고, 만도가 들고 가던 짐을 진수는 손에 쥐고 외나무다리를 건너며 각자 속으로 서로를 걱정하는 상징적인 장면으로 막을 내렸다.
여기서 만도와 진수 부자는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이라는 고통을 연속으로 겪은 한민족을 상징하며, 이들이 건너는 외나무다리는 한민족들이 앞으로 헤쳐나가야 할 시련인 동시에, 서로 도와서 나아가게 해줄 실낱같은 희망을 상징한다고 한다.
4. 미디어
1980년대 MBC 베스트극장 단막극 드라마에서 드라마로 만들어진 적이 있다. 아버지 박만도 역은 김인문이, 아들 진수 역은 정성모가 연기했다. 태평양 전쟁과 6.25전쟁 사이에 이들 부자가 겪은 생활고 부분은 작가의 다른 단편 '흰 종이 수염' 의 내용을 가져다가 추가했다. 당시 신문 기사
5. 여담
골든벨 38번 문제로 등장했다. 아버지와 아들이 각각 겪은 전쟁을 서술하라는 문제로, 답은 일제강점기와 6.25.
디시에서 "문난이대" 라는 이름으로 패러디하여 올라온 적이 있었다. #
작가인 하근찬은 이후 흰 종이 수염을 써냈으나, 이 작품에 비하면 평가는 상대적으로 좋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