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송부대

 


1. 개요
2. 상세
3. 수송부대 목록
4. 해외의 수송부대
5. 여담
6. 관련 문서


1. 개요


수송부대는 수송을 담당하는 부대이다.
참고로 구한말과 구 일본군, 그리고 이들의 체제를 받아들인 국군에선 군수 및 이를 운반한다는 의미를 싸잡아 치중(輜重), 이를 전담하는 수송부대를 치중대(輜重隊)로 부르기도 한다. 자세한 건 병참 참고.

2. 상세


보급 + 수송을 담당하는 부대로, 운전병 및 차량 정비병들과 이들을 아우르는 수송 특기 간부들이 있으며, 수송관이 대장을 맡고 있다.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모두 수송을 담당하는 부대가 있으며, 소속된 부대나 그 규모에 따라 역할이나 명칭, 편성도 제각각이다.

3. 수송부대 목록



3.1. 국직부대



3.2. 대한민국 육군



3.3. 대한민국 해군



3.3.1. 대한민국 해병대



3.4. 대한민국 공군



3.4.1. 비행단


대한민국 공군의 경우에는 비행단의 경우(전투비행단, 기동비행단 모두 포함)에는 작전지원전대 산하 수송대대로 존재한다. 비행단 규모가 규모니만큼 많은 수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비행단 안에 있는 다른 부대(대대나 전대 등)에서 운용하는 차량도 관리한다. (즉, 비행단 내에 부대가 많다면 수송대대의 업무량도 그만큼 많다.)
공군공중전투사령부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부 산하 비행단의 경우 수송대대 안에 일반차량운영중대, 작전차량운영중대, 정비중대가 있다. 정비중대는 차량정비를 담당하며 일반차량운영중대는 부대 내 운전 및 비행단과 관련된 장거리 수송 업무를 담당하는 중대이다. 작전차량운영중대는 라인(활주로) 내 조종사 수송 및 항공기 장비 수송 업무를 담당한다.
일반차량운영중대와 정비중대는 라인 밖에서 근무하고 통합생활관에서 거주하며, 작전차량운영중대는 라인 안에서 근무하고 라인 안에 있는 산재생활관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작전차량운영중대는 일반차량운영중대와 정비중대 소속 운전병, 정비병들과 만날 기회가 거의 없으며 사실상 서로 아저씨같은 존재나 다름이 없다.
그러나, 수송대대 내의 생활관(즉, 산재생활관)에서 수송대대 병사들(일차, 작차, 정비 모두)끼리만 생활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일차중대와 작차중대는 근무 지역의 차이(라인 외부, 라인 내부)로 인해 마주칠 일이 적다보니 조금 데면데면한 사이가 되긴 하지만, 생활관은 같이 쓰기에 선임후임 대우는 하면서 지낸다. (즉, 생활관 여건은 비행단마다 차이가 있다.)
수송대대에는 주로 일반차량운전특기와 차량정비특기 병이 배치되며, 그 외에 특수차량운전특기 중 일부 특기(지게차, 항공기 견인차량)도 배치된다. 이 중 항공기 견인차 특기는 무조건 작전차량운영중대 소속이 된다.[1]
공군작전사령부의 경우 공군작전사령부 근무지원단 예하부대인 수송대대로 편성된다. 제38전투비행전대 같이, 단독으로 있음에도 단급 부대가 아니라 전대급 부대인 경우에는 수송대대가 아닌 수송중대로 편성되기도 한다. (즉, 단급 부대에서는 전대 예하 수송대대로, 전대급 부대에서는 대대 예하 수송중대 이런 식으로 한 단계씩 축소된다고 보면 된다.)
  • 일반차량운영중대 : 이하 서술된 '반'들은 실질적일수도, 형식적일수도 있다.
    • 경차량반 - 주로 승용차, 1T트럭 급의 차량들을 관리한다.
    • 종합차량반 - 주로 버스들을 관리한다.
    • 특수차량반 - 주로 5T 및 9T트럭과 같은 중대형 트럭이나 트레일러, 지게차, 군용차량과 같은 차량들을 관리한다.
  • 작전차량운영중대
    • 정비지원반 - 터그라고 하는, 항공기를 견인하는 견인차(군용차)들을 관리한다.
    • 비행지원반 - 조종사들을 실어나르는 중형버스들을 관리한다.
  • 유류중대.
    • 항공급유지원반 - 주로 비행기에 연료를 보급한다. 이 외에도 여러가지 유류 관련 업무를 지원한다.
  • 정비중대
    • 예방정비반 - 비행단 내 소속 차량들의 차량점검과 도장작업과 같은 업무들을 담당한다.[2]
    • 차량정비반 - 비행단 내 소속 차량정비 업무를 담당한다.
  • 배차실
차량 요청 (일명 배차)를 받아서 차량 과/또는 운전병을 근무 편성하는 곳이다. 또한 비행단 내 모든 부서 (파입 부대 포함)의 운행증을 관리한다. 부대마다 다를수도 있지만 일명 주유소를 관리하는 '유류계' 업무도 겸한다. 작전차량운영중대의 경우, 배차실을 거치지 않고 직접 중대에서 차량 배차를 관리하기도 한다.

3.4.2. 포대


방공관제사령부방공유도탄사령부 산하 포대의 경우 부대 크기가 소규모라 기지중대 산하 수송반으로 존재하고 있다. 특기의 경우 주로 방공포차량특기가 배정되며 가끔식 일반차량특기 또는 특수차량특기가 배정되기도 한다. 보통 산 위가 아닌 소위 '행정지역' 이라고 불리는 산 아래에 보급반과 함께 자리하는 경우가 많다. 2010년대 중반까지는 수도권 북부 지역 일부 부대는 거리가 가까워 서로 다른 포대의 수송반이 같은 지역에 함께 거주하며 선후임 대우를 하며 지내기도 했지만, 호크 미사일을 전량 교체하며 점차 작전지역으로 올라가는 수송반도 많아지고 있는 듯. 물론 후방은 기본적으로 부대 운영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결국엔 복불복 근무를 서게된다.
  • 기지중대 수송반

4. 해외의 수송부대



5. 여담


육군을 기준으로 일반 운전병이 수송부대에 배치받으면 높은 확률로 일반 보병부대 등에 배치받은 운전병보다 힘든 군생활을 하게 된다. 대대의 경우 운전병이 몇 없으므로 잡일을 잘 시키지 않으나 수송부대에서는 남는게 운전병이므로 그냥 일반 보병이나 다를바 없어지기 때문.

6. 관련 문서



[1] 그 외에 특수차량특기 중 항공기 유류보급차량운전, 지게차운전 특기는 비행단으로 자대배치를 받으면 수송대대가 아닌 보급대대 소속이 된다. 물론 이것도 부바부여서, 일반차량특기처럼 수송대대에서 운전하는 경우도 있다. 방공포차량운전특기는 각 비행단의 여건에 따라 영구파견 등의 형태로 수송대대가 아닌 대공방어대 소속이 되기도 한다. [2] 도장 작업의 경우 도장반이 따로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