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에케 호모 화 훼손 사건
1. 개요
2012년 8월경 스페인에서 발생한 유물 반달리즘 사건 내지는 황당 사건. 미술학이나 종교의 입장에서는 비극이지만, 그 결과물이 너무나 비범한지라 인터넷 예술사(史)엔 다른 의미로 영향을 끼쳤다.
2. 전개
2.1. 벽화의 훼손
스페인 사라고사 주 캄포 데 보르하(Campo de Borja) 지방의 중심지인 보르하(Borja) 마을에 소재한 미제리코르디아 성지(Santuario de Misericordia) 성당에는 19세기 화가 엘리아스 가르시아 마르티네스(Elías García Martínez)의 프레스코 화(畵)인 《엣체 호모(Ecce Homo[1] )》가 있었다. 이 그림은 세월이 흐르며 습기 등으로 인해 상당히 손상되어 있었는데, 80대의 할머니인 세실리아 히메네스(Cecilia Gimenez)가 이것을 복원하겠다고 덧칠을 했다.
할머니는 망가지는 벽화가 안타까워서 복원한다고 열심히 새로 그려 넣었지만 오히려 더 심하게 훼손되고 말았다. 그래서《Ecce Homo(이 사람을 보라)》가 아니라 《Ecce '''Mono'''(이 '''원숭이'''를 보라)》라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사실 히메네스 할머니는 그림을 매우 잘 그렸지만, 기법의 차이를 몰랐다. 프레스코화는 일반적인 그림을 그리는 방식과는 전혀 다른 기술이 요구된다. 설명하자면 벽 위의 석고가 마르기 전에 수정도 없이 빠르게 쓱싹 그려내야 하는데, 그런 특성을 생각하지 않고 일반 캔버스에 그리듯이 슬슬 그리니 당연히 저런 결과물이 나온 것이다. 즉, 원래는 나름대로 신경 써서 그렸는데 시간이 지나는 바람에 저렇게 OME가 된 것이다.
하지만 기법의 차이를 알아서 그림이 흐트러지지 않았다고 해도 제대로 복원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복원했다는 그림의 아래쪽, 두루마리의 말림 부분이 원본과 반대인데다가, 옷깃 같은 부분은 완성도를 떠나서 원본에도 없었다. 즉 복원하겠다는 그림의 훼손되기 전 기록조차 보지 않고 상상력으로 덧칠한 것으로 보인다. 이미 그림 실력이나 복원 기술을 떠나 문제가 심각하다.
거의 형체도 알아볼 수 없을 만큼 훼손된 미술품도 왜 복원을 하지 않고 그냥 두는 것인지, 설령 전문가의 손을 빌려 하는 복원임에도 불구하고 미술품 하나를 복원하는데 그만큼 오랜 시간이 필요한 이유이다. 훼손된 미술품을 복원하려면 해당 미술품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훼손된 경위가 무엇인지, 훼손이 미술품에게 끼친 영향이 무엇인지, 추가 상해 없이 온전히 훼손된 부분만 복원할 수 있는지, 그럴 수 없다면 복원할 때 미술품에 어떤 변화가 생기게 되는지 등등 알아야 할 것들만 수십 가지가 넘는다. 단순히 벗겨진 부분에 색 채워넣고 금 간 부분만 메운다고 되는 게 아니다. 실제로 일제는 식민지배 시절에 최신 기술인 콘크리트를 써서 나름대로 석굴암을 복원하려 했지만, 상술된 요소를 고려하지 않았던 탓에 습기 문제가 생겨서 해방 이후 한국은 석굴암 복원 및 유지보수에 애를 먹어야 했다.
이 사건이 터지자 당연히 성당 측과 신자들도 펄펄 날뛰었다. 법적 처벌까지 거론된 모양이지만, 할머니가 그림을 파괴할 의도가 전혀 없었던 것으로 결론이 나서 처벌은 무위로 돌아갔다. 스페인 문화 당국도 인정한 사실. 그러다 보니 이 사례는 사실상 반달리즘 아닌 반달리즘이 되었다. 마르티네스의 손녀는 이 작품(?)을 보고 좌절감을 느꼈다고...
다행이게도 화가가 예수 초상화를 프레스코화로 그리기 1년 전에 유화로 그린 작품이 2016년에 발견되었다고 한다.
2.2. 뜻밖의 여파
그런데 어영부영하는 사이 이 사건이 해외 토픽을 탔고, 그 비범한 존안(…)이 네티즌을 뿜게 만들면서 각종 패러디가 생겨나게 되었다.
[image]
[image]
[image]
보르하 마을과 성당을 찾아오는 관광객도 엄청나게 늘어났다. 연 평균 5천 명 정도가 찾아오는 작은 마을에 1년 동안 '''5만 7천여 명'''이 몰려왔으니 제대로 대박을 맞은 셈. 라이언에어에서는 스페인 북동부로 가는 항공편을 광고하면서 이 그림을 이용할 정도다. 이제 '프레스코 예수'라고 하면 이것부터 떠올리게 될 정도.
성당을 찾는 관광객이 늘자 성당에서는 태도를 싹 바꿔서 성당 입장료를 받기 시작했는데, 할머니는 성당을 상대로 '''로얄티를 주장'''했다.[2] 결국 타결이 되었는지 할머니는 '''성당이 얻은 이익의 49%를 나눠받게 되었으며''' 그림이 사용된 티셔츠와 커피 머그, 포도주 병 등에 붙는 저작권료(!)도 받고 있다. 변호사의 말에 따르면 이 수익금은 자선 사업에 사용한다고 한다(할머니의 아들이 근위축증 환자라서 그렇다고).
할머니는 자신이 평소 그렸던 그림 20여 점을 모아 전시회도 열었다. 그녀는 지역 언론 인터뷰에서 "내 그림으로 모든 사람이 행복을 느껴 기분이 좋다"고 말했다. 나중에 발표한 다른 에케 호모 그림이나 (기부를 위해 eBay에 올린) 풍경화 등을 보면 아주 멀쩡하다. [3]
이제 '''오페라'''까지 나오는 모양. 초연은 보르하 마을에서 열린다고 한다.
3. 스페인 내 유사사례
스페인에서는 어느 업체가 500년 된 목조상을 멋대로 칠해버린 사건이 일어났다. 전문적인 실력이 있는 것도 아니면서 문화재를 개악 수준으로 뜯어고친 게 여러모로 이 사건과 유사하다. 2016년에는 1000년 된 고성을 콘크리트 건물로 리모델링해버린 일도 있었다.
2020년 6월에 또 비슷한 사건이 터졌는데 17세기 스페인 화가 바르톨로메 에스테반 무리요의 그림 '성모잉태'화를 복원하려는데 이 분야와 전혀 관련없는 가구복원가에게 그림을 맡기는 바람에 이런 참사가 발생했다. # # #
4. 원인
훼손 그림이 큰 인기를 얻어 성당 관광 수입이 늘고 그림을 훼손시킨 할머니도 돈을 버는 해피 엔딩(?)을 맞긴 했으나, 문화유산 보존 차원에서 보면 참사 그 자체다. 애당초 에케 호모 사건은 이미 유럽에서 아주 흔하게 저질러지던 아마추어 복원가의 실패 사례 중 하나가 어쩌다보니 인터넷에서 유명해진 것 뿐이다.
이처럼 황당한 문화유산 복구 사례들이 반복되는 이유는 문화유산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아마추어가 예술품 복원에 참여하는 것을 법적으로 막을 근거가 없기 때문이다.
한국만 해도 아마추어들의 서투른 문화유산 복구 참여로 귀한 문화재들이 왜곡돼서 복원되거나 훼손되는 사태를 여러번 겪고 나서 이후 전문적인 문화재수리기술자, 기능사를 양성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무령왕릉이 있는데 몇 년을 투자해서 발굴하고 복원해 할 유물을 '''단 17시간만에, 자루를 들고 쓸어 담으며 진행했다'''. 이후 문화재청에서는 이런 문화재와 관련한 총체적인 문제를 전담시키기 위해 한국전통문화대학교까지 세웠다.
갈리시아 문화재 복원 학교의 교수인 페르난도 카레라는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스페인에서 이런 일이 생각보다 자주 일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러한 작태는 스페인만의 문제는 아니고 전세계 공통의 문제이며 의외로 자주 벌어지고 있는 일이기도 하다. # 한국만 해도 일본 제국이 어설프게 복원한 석굴암을 끌어안고 낑낑거리고 있으며, 정치인과 지자체의 결정에 따라 졸속 복원한 백제문화단지와 월정교가 관광객 유치용 테마파크로 홍보되며, 숭례문은 화재 3년 만에 복원한 이후 아직도 구설수에 오르고 있다.
참고로 전통 문화재 복원에서 세계적인 기술력과 노하우를 가진 국가는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등이 있다. 이들 국가들은 보존, 복원이 필요한 문화재가 많으면서 이를 관리할 경제력도 갖췄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일본은 일제 시절엔 그쪽도 초보라서 복원을 빙자한 삽질을 많이 했지만, 노하우가 쌓인 뒤에는 한국의 전통 문화, 문화재 복구, 복원에 큰 도움을 줬다. 대표적인 것이 불교 관련 문화재들.
5. 기타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도 다루었다.
리갈 하이 스페셜에서 이 사건에서 영감을 받은 에피소드가 나온다. 일본이 기독교보다는 불교가 상대적으로 더 강성한 국가임을 반영해서인지 복원 대상이 성당의 예수 벽화에서 절의 부동명왕 벽화로 바뀌었고 범인은 할머니에서 할아버지가 되었지만, 결과는 똑같이 안습. 해당 사건 변호를 맡은 마유즈미 마치코는 주지스님이 복원(?) 작업을 막지 않았다면 원래 부동명왕이 살아난 듯한 결과물이 나왔을지도 모르는 일이라고 변호를 했지만 당연히 패소. 그런데 후일담에 따르면 망친 그림이 오히려 큰 인기를 끌어 절에 관광객이 많아지자 절에서는 마음대로 관련 상품을 만들어서 팔기 시작했다. 그 사실을 안 코미카도 켄스케가 마유즈미에게 할아버지를 설득해서 저작권 침해 소송을 걸라고 조언하는 것으로 에피소드는 끝난다.
미스터 빈의 극장판 영화 《빈》에서도 비슷한 내용을 다룬다.
암살교실 수학여행 편에서 아이들을 납치해 협박하는 고딩의 모습이 저 그림처럼 일그러진다.
대륙의 기상도 해냈다. 이건 복구에 실패한 게 아니라 아예 다른 그림을 그려버렸다.
문명 6의 걸작으로 나온다. 물론 원본으로. 애초에 원본이 문화재였으니까 큰 문제는 없다.
나나와 카오루 15권 125화에서 등장인물이 일하고 있는 카페에 뜬금없이 걸려있다.
2018년 중국 불상에 이와 비슷한 사건이 일어났다. 송나라 마애불이 발견된 쓰촨성의 마을에서 주민들이 페인트칠로 불상에 화려한 색을 입히고 시멘트칠로 복구를 하려다 결국 제대로 망쳐 버렸다.
2018년 한국에서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 종로구 삼청동 감고당길의 'WE ARE YOUNG'이라는 벽화를 복원하겠다며 덧칠했지만 퀄리티가 심히 떨어진다.
나무위키에서는 파이널 판타지 6, 평균치/애니메이션, 워크래프트 3: 리포지드 문서에 걸려 있다.
Rock of Ages Ⅲ: Make & Break라는 게임에서 에케 모노라는 원숭이 캐릭터로 나온다.
[1] 요한 복음서 19:5에 나오는 본시오 빌라도의 "(이) 사람을 보라"는 말을 라틴어로 쓴 것. 'Ecce'는 고전 라틴 어에서 '엑케'·'에케' 등으로 발음하지만, 이 그림이 성(聖)미술임을 감안하면 교회식 라틴 어인 '엣체'로 발음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다만 사건명은 〈'에케' 호모 화 훼손 사건〉으로 더 많이 알려졌다.[2] 입장료가 1인당 1유로(1500원 정도)인데 1년 동안의 수익금이 5만 유로(약 7400만 원)에 달했다고…[3] 저 그림만 석고라는 특이한 바탕 때문에 괴상한 결과물이 나온 것이지 일반 캔버스에 그릴 때는 그럭저럭 솜씨가 있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