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평동(부산)
1. 개요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위치한 법정동이다.
신평이라는 지명의 유래는 조선시대의 사료에 나타나는데 농경지를 조성하면서 새로운 평지라는 뜻의 신평(新平)이라는 지명으로 불리게 되는데, 인근 지역인 구서평(구평동)의 지명과 대응해서 명명한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
신평1동과 신평2동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신평2동은 1980년대 후반 낙동강하굿둑 건립과 함께 매립된 땅이다. 이러한 지역 역사 때문에 매립으로 새로 생긴 신평2동 지역은 ''새신평''이란 별명을 가지고 있다.
과거 충무동 철거민들이 이주하며 생성되기 시작한 곳이며 이후 신평1, 2동으로 분리되었다. 사상공단에 이어 조성된 신평·장림 공업단지의 부지 대부분을 차지하는 곳. 동매산 기슭을 제외하면 주거지 형성이 다소 미약한 편이다. 동매산을 기준으로 서쪽이 2동, 동쪽이 1동. 현재 1, 2동 전부 도시철도역이 개통되어 두 동네 모두 역세권이 형성되었다.
1동에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동매역이 2017년 4월 20일 1호선 연장공사를 끝마치고 개통이 되었다. 신평초등학교 위쪽에 새 아파트가 들어서고 주변에도 새로지은 주거용 건물이 들어서기 시작하면서 주거환경이 점차 나아지고 있다.
2동에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신평역[1] 과 신평 차량기지가 있다. 또한 을숙도대교의 진입로도 이곳에 있다. 사하구보건소도 신평역에 위치해 있다. 또한, 사하'''구청의 분원[2] '''이 곧 신평차량기지 옆 주차장 부지에 들어선다고 한다! 이미 주차장의 북쪽 부분은 공사가 진행 중이다. 여기도 마찬가지로 새 아파트가 건축되면서 주거환경이 점차 나아지고 있다.
1호선 연장공사가 모두 끝나 교통정체는 해소되었다.
2. 관할 행정동
2.1. 신평1동
배고개 일대가 신평1동 중심지다. 이곳에는 오래전 부터 신평마을, 동매마을, 망후마을, 배고개마을 등의 자연부락들이 있었다고 한다. 흔히 배고개라고 불리우는 지역으로 하단교차로를 거치지 않고 괴정으로 빠르게 나갈 수 있어서 출근 시간대에 차량들이 많이 밀린다.
2.2. 신평2동
낙동강 하구언 건설과 함께 매립된 땅으로서 신평역 9번 출구 이북으로 바둑판 형식으로 조성된 연립주택이 모여있는 주거단지이다.
신평역 5번 출구 인근으로는 신평공단이 있으며 신평역 4,6번 출구 인근으로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형성되어 있다.
3. 주요 시설
- 한신공영 신평 한신아파트 - 1993년 12월 입주.
- 현대산업개발 신평 현대아파트 - 1994년 12월 입주.
- 협성건설 신평 협성엠파이어 - 2012년 3월 입주.
- 신익강변타운 - 1992년 입주.[3]
4. 교통
4.1. 시내버스
- 부산 버스 2
- 부산 버스 3
- 부산 버스 11
- 부산 버스 17
- 부산 버스 61
- 부산 버스 103
- 부산 버스 113
- 부산 버스 138
- 부산 버스 161
- 부산 버스 338
- 부산 버스 520
17번과 61번의 경우 버스 행선판에서든 정류장 안내도에서든 심지어 포털사이트 지도에서조차도 기점을 신평이라고 표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구평에서 노선이 끊긴다.''' 이는 운영사인 영신여객의 차고지 주소가 신평동이기 때문이다. 해당 노선은 차고지에서 나와서 바로 좌회전해 구평동으로 넘어가며 신평 지역에 기웃거리지 않는다. 실제 신평동을 제대로 훑어주는 노선은 161번이지만 신평동 내 경로가 상당히 복잡하니 주의해야 한다.
4.1.1. 급행버스
4.2. 도시철도
[1] 2017년 4월 20일에 다대포해수욕장역으로 연장되었다.[2] 시기는 대략 2019년 12월 경으로 추정되며, 구청의 복지 부서인 생활보장과, 복지사업과, 복지정책과, 3개 부서와 여성가족과의 일부가 넘어온다고 확정되었고, 보건소 및 신평2동 주민센터도 같이 옮겨온다고 발표되었다.[A] A B 2020년 7월 주민등록인구[3] 급식왕 & 급식걸즈의 스튜디오가 104동 306호에 있다.[4] 주간노선의 경우 신평배고개를 거쳐서 바로 가지만 심야노선의 경우 신평역과 하단교차로를 거쳐 빙 둘러간다.[5] 지나가기만 하고 정차하지 않는다. 신평동에서 가장 가까운 정류장은 사하경찰서 부근에 있는 장림 정류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