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순왕후

 


'''조선 안순왕후 한씨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호칭'''
'''안순왕후(安順王后)'''
'''시호'''
인혜명의소휘제숙안순왕후(仁惠明懿昭徽齊淑安順王后)
'''사망지'''
경복궁 자경전
'''본관'''
청주(淸州)
'''배우자'''
예종(睿宗)
'''아버지'''
청천부원군 한백륜
'''어머니'''
서하부부인 임씨
'''생몰'''
'''기간'''
음력
1445년[1] 3월 12일 ~ 1498년 12월 23일)
양력
1445년 3월 12일 ~ 1499년 2월 3일(향년 55세, 만 53세)
'''재위'''
'''기간'''
왕비
1468년 ~ 1469년
왕대비
1469년 ~ 1494년
대왕대비
1494년 ~ 1498년
1. 일생
1.1. 왕세자의 후궁이 되다
1.2. 남편의 요절
1.3. 서열 3위의 왕대비가 되다
2. 대중 매체에서


1. 일생


조선 예종의 계비(繼妃).
제안대군현숙공주의 어머니이다. 세조정희왕후의 두번째 작은며느리.[2]

1.1. 왕세자의 후궁이 되다


1463년, 당시 왕세자였던 예종의 후궁인 종 5품 소훈으로 간택된다. 하지만 이미 이때는 세자빈이 죽은 이후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세자빈의 예우를 받았으며 1468년에 세조 뒤를 이어서 예종이 즉위하자 세조의 지명 아래 왕비로 책봉되었다.

1.2. 남편의 요절


문제는 예종이 즉위한지 1년 3개월 만에 사망한 것이다. 아들이 있었지만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한명회와 시어머니인 정희왕후의 결정으로 자을산군이었던 성종이 다음 왕위를 잇는다. 과거 인수대비의 아들인 월산대군의 세자자리가 자기 남편에게 돌아갔던 것처럼, 자기 아들인 제안대군의 세자자리가 다시 인수대비의 아들에게 돌아가는 데자뷰를 겪게 된다.

1.3. 서열 3위의 왕대비가 되다


그걸로 모자랐던 모양인지 맏며느리에 성종의 친어머니라는 이유로 인수대비에게 평생을 치여서 살게 된다. 사가의 법도대로 인수대비가 안순왕후보다 첫째 서열이라고 신하들이 정해버려서 그렇다.
연산군이 즉위하고 대왕대비가 되었는데, 이때도 인수대왕대비가 계속 생존해 있었고 심지어 인수대왕대비보다 먼저 승하해서 생의 말년까지 별다른 힘을 가진 적이 없다.
아들 제안대군 때문에 며느리를 2번이나 내쫓았다. 첫 번째 며느리 김씨는 간질을 앓아 제안대군이 싫어하고 손자를 보기도 어렵겠다는 생각에 내쫓았다.
2번째 며느리 박씨 역시 제안대군과 사이가 좋지 않던 와중에, 전 부인과 재결합하고 싶어하던 제안대군이 자작극[3]까지 벌이자 결국 자신에게 불손하다는 핑계로 쫓아내게 된다.[4] 이렇게까지 했는데도 제안대군은 끝내 자식을 보지 못했다.
슬하에 2남 2녀를 낳았지만 왕자 한 명과 혜순공주는 일찍 요절했고, 남은 1남 1녀인 제안대군이나 현숙공주나 배우자와 관계가 좋지 않아서 둘다 끝내 자식을 낳지못해서 안순왕후는 평생 손주를 보지 못한다.
말년에는 당뇨병을 심하게 앓다가 1498년 54세 나이로 경복궁에서 세상을 떠난다.

2. 대중 매체에서


사극에서 인수대비에 밀려나 찬밥신세다.[5] 안순왕후를 주인공으로 하는 사극도 없지만, 거의 머릿수 채워넣는 수준.

[1] 태어난 연도가 분명하지 않다. 다만 청주 한씨 쪽에서 1445년이라고 밝히고 있다.[2] 예종이 둘째이기 때문이며, 또한 안순왕후는 예종의 두번째 부인이다. 첫째부인은 예종이 세자일 때 요절했다.[3] 몸종이 몰래 이불 속으로 들어가 레즈비언으로 모함했다.[4] 이렇게 내쫓긴 박씨는 얼마뒤에 병으로 사망했다고 한다.[5] 예종의 재위 기간도 짧아서 그다지 다룰 만한 내용이 없는 탓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