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종(조선)

 


'''예종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조선 제8대 국왕
예종 | 睿宗'''

[image]
예종이 안장된 창릉
'''예종양도흠문성무의인소효대왕
睿宗襄悼欽文聖武懿仁昭孝大王'''

<colbgcolor=#bf1400><colcolor=#ffd400> '''묘호'''
'''예종(睿宗)'''
'''시호'''
'''조선'''
흠문성무의인소효대왕
(欽文聖武懿仁昭孝大王)
''''''
양도(襄悼)
'''출생'''
1450년 1월 14일 (음력 1월 1일)
조선 한성부 서부 황화방 정동 명례궁[1]
(현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3)
'''즉위'''
1468년 9월 22일 (음력 9월 7일)
조선 한성부 수강궁 중문
'''사망'''
1469년 12월 31일 (음력 11월 28일) 진시
(19년 11개월 17일 / 7,291일)
조선 한성부 경복궁 자미당
'''능묘'''
창릉(昌陵)
'''재위'''
'''조선 왕세자'''
1457년 12월 31일 ~ 1468년 9월 22일
(음력 1457년 12월 15일 ~ 1468년 9월 7일)
'''조선 국왕'''
1468년 9월 22일 ~ 1469년 12월 31일
(음력 1468년 9월 7일 ~ 1469년 11월 28일)
(1년 3개월 8일, 465일)
[2]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bf1400><colcolor=#FFD400> '''본관'''
전주(全州)
''''''
황(晄)
''''''
명조(明照) / 평남(平南)
'''군호'''
해양대군(海陽大君)
'''전호'''
경안전(景安殿)
'''부모'''
부친 세조, 모친 정희왕후
'''부인'''
장순왕후, 안순왕후
'''종교'''
유교(성리학)

1. 개요
2. 생애
2.1. 즉위
2.2. 찌질한 왕?
2.3. 갑작스러운 죽음
3. 평가
4. 가계
5. 기타
6.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조선의 제8대 국왕. 묘호는 예종(睿宗), 시호는 양도흠문성무의인소효대왕(襄悼欽文聖武懿仁昭孝大王), 휘는 황(晄), 자는 명조(明照) 혹은 평남(平南)이다.
세조정희왕후의 차남으로 태어나 아버지가 왕위에 오른 뒤 해양대군(海陽大君)으로 봉해졌으며 친형 의경세자가 사망하자 왕세자로 즉위하였다. 세조 말년에 대리청정을 수행하다가 세조 사망 후 세조의 뒤를 이어 즉위했으나 재위 1년만에 승하하였다. 타살로 생을 마감한 단종을 제외하면 조선의 역대 왕 가운데 인종과 함께 가장 단명한 왕이기도 하다.

2. 생애



2.1. 즉위


세조가 쿠데타로 즉위한 뒤에도 원래 그는 왕위와는 거리가 멀었다. 맏형인 의경세자[3]보다 12살이나 어린데다가 의경세자는 여러모로 유력한 후계자였기 때문이다. 왕자 시절 군호는 해양대군[4]이었는데 의경세자가 만 19세의 나이로 급사한다. 세조가 단종을 죽이자 그의 어머니 현덕왕후 권씨가 저주를 퍼부었기 때문이라는 야사도 있으나 실제로는 의경세자가 단종보다 먼저 죽었다.
이로써 세자가 되었고 세조가 죽기 하루 전에 선위를 받아 임금이 되었다. 하지만 몸이 안 좋았고 성년이 되기 전인 19세에 즉위했기 때문에 세조의 정실이자 예종의 어머니인 정희왕후가 예종과 동석하여 수렴청정을 했다고 하나 이에 대해서는 정희왕후가 곧 수렴청정을 거뒀다는게 정설이다. 당시 예종의 나이는 거의 성년에 가까웠고 수렴청정을 한 전례가 없었다. 그래서 조선 최초의 수렴청정은 성종 때의 정희왕후로 기록되었다고 한다.
세자 시절에는 얌전하고 똑똑해 혼자서 정치를 주도하지 않고 여론을 존중하는 국왕이 될 것으로 기대받았지만 그 아버지에 그 아들이라고 신하들의 기대는 금방 어긋난다.

2.2. 찌질한 왕?


짧은 재위 기간 내에 벌어진 '남이의 옥사'로 인해 사극에서 항상 찌질한 왕으로 등장하며 등장해도 금방 죽어 성종, 연산군이 차례로 왕이 되는 징검다리 군왕일뿐이다(예 : SBS 드라마 왕과 나 등). 실제로 인종이 기록을 깨기 전까지는 최단 기간의 왕이었다.
즉위하자마자 사람을 형틀에 매다는 일부터 시작했다고 까이기도 했다. 하지만 법의 절제가 필요하다는 것은 어느 정도 알고 있었던 모양. 그가 내린 교서 예종실록 예종 1년 10월 8일자를 참고해보도록 하자.
재위 말년에 세조는 옛 계유정난 이후 형성된 측근 위주의 구 공신들과 이시애의 난 이후 새로 등장한 신 공신들을 서로 견제하여 구 공신들의 성장을 억제하려고 했다. 이미 세조 말년 구 공신을 견제하기 위해 이시애의 난을 진압한 자들을 신 공신으로 세웠다가 세조의 건강이 급격히 나빠지자 원상제를 도입한 것만 봐도 이미 남이는 구성군 이준[5]과 함께 왕권을 위협할 가능성이 있는 존재들로 분류되어 있었다.
예종은 강경책을 택한다. 구 공신들이 올린 세조의 묘호(신종)를 물리고 세조라는 묘호를 고집해 관철시켜 구 공신들을 억제했고 신 공신의 대표인 남이, 강순 등을 죽여버림으로써 신 공신을 박멸하려 했다.
예종 스스로는 기민한 직감력과 강한 사명감을 갖고 있었다. 한마디로 부지런하고 엄한 상사. 그러다보니 세자 당시부터 병조판서로 벼락 출세한 남이를 위험하게 생각했다. 세조가 지나치게 총애한 면도 있지만 남이 자신의 처신에도 문제가 있었다. 이시애의 난을 평정할 때 총사령관이었던 구성군 이준을 세조가 총애하자 견제하는 말을 하다 세조에게 누구와 의논했느냐는 말을 듣기까지 했다. 예종은 즉위 직후 병조판서 남이를 의산군 겸사복장으로 강등시켜 경계심을 드러냈다. 이후에 유자광이 남이가 역모를 꾸몄다고 고변하자 심문 끝에 죽였다.
흔히 유자광이 남이를 모함하기 위해 남이가 지은 의 '미평국(나라를 편안케 못하면)' 부분을 '미득국(나라를 얻지 못하면)'으로 고쳐 바쳤다고 하나 이는 야사이며 남이가 실제로 역모를 꾀하거나 평소 조정에 불만이 있었다고도 전한다. 유자광은 그 기회를 잘 포착한 것 뿐이다. 각설하고 당시 지지부진 할 수 있었던 경국대전 편찬 작업을 강행한 것도 역시 예종이다.
나쁘게 말하면 남들이 보기에는 사소한 부분에 집착하는 찌질이였고 좋게 말하면 남들에게 잘 이해되지 않는 노력형이었다. 아버지 세조는 신하들과 벗을 하면서까지 신하들을 다독이고 이해를 시켜가며 일을 했으나 그의 아들인 예종은 굳이 신하들과 벗을 하려 하지도 않았다.

2.3. 갑작스러운 죽음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예종은 승하하기 전날까지 멀쩡했다고 전한다. 예종 자신은 사망 며칠 전부터 갑작스럽게 연달아 문안을 받는 등, 실록에 나와 있는 여러 정황들을 볼 때 자신의 병세에 관한 징조를 느끼기는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예상대로 예종은 즉위한지 15개월만에 족질(병)로 '''급사하고 만다.'''
2000년대 이후에 들어서 더 정확한 사인으로는 고질병이었던 족질로 인해 발에 세균이 들어가 봉와직염이 되었고, 그것이 악화되어 패혈증으로 인해 사망에 이르게 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부패될 가능성이 거의 없는 한겨울에 예종의 사체가 사망한지 이틀도 안 지나 염습을 하던 도중에 변색되었다는 것을 확인한 점이 이를 반증하는 예라고도 할 것이다.[6] 예종이 직접 얘기했던 것처럼 족질은 어린 시절부터 그를 괴롭힌 고질병이었다. 어째 인터넷상에서는 '''복상사'''로 죽었다는 말이 퍼져 있는데, 근거는 없다. 아마 급사하였다는 것에서 시작된 말로 추정된다.
예종실록은 기축년(1469년) 11월 28일 훙하였다고 적고 있다. 예종실록을 살펴보면 당시 예종의 죽음에 왕실과 신료들이 매우 혼란스러워했던 것으로 보인다.[7]
신숙주는 예종 사후에 대비를 만난 자리에서 "신 등은 밖에서 다만 성상의 옥체가 미령(靡寧)하다[8]고 들었을 뿐이고, 이에 이를 줄은 생각도 못하였습니다"고 말했다. 그만큼 예종의 죽음이 갑작스럽고 예상치 못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대비 정희왕후 역시 "주상이 앓을 때에도 매일 내게 조근(朝覲)하였으므로, 나도 생각하기를, '병이 중하면 어찌 이와 같이 하겠느냐?'하고, 심히 염려하지 않았는데, 이제 이에 이르렀으니, 장차 어떻게 하겠느냐?"고 놀라움과 슬픔을 함께 표출했다. 대비도 예종의 병이 죽음에 이르게 할 정도는 아니었다고 생각한 바다.[9]
이렇기 때문에 일각에서는 독살설도 있는데, 요는 이렇다. 예종이 죽기 전 자을산군(훗날 성종)으로 불러 같이 수라를 들었는데, 갑자기 죽었다는 것이다. 배후에서 예종의 형수이자 자을산군의 어머니인 수빈 한씨가 손을 썼다는 설도 있으나, 이는 신빙성이 낮다. 만일 자을산군과 수라를 든 뒤 죽었다면 분명 자을산군과 수빈이 의심받게 될 것이 뻔하다. 수빈이 어린 자기 아들에게 삼촌의 수라에 독을 타넣으라고 했을 리도 없으며, 만일 수빈이 궁인을 시켜 수라에 독을 넣었다면 자기 아들까지도 독에 중독될 위험이 있었다. 일단 비사는 아무도 모른다지만 예종 독살설은 공식적인 이야기가 아니다.
왕과 비에서는 왕이 된 후 형수 인수대비가 보는 앞에서 직접 버선을 벗고 썩어가는 발을 보여주면서 "나는 오래 살지 못한다"라고 하는 장면이 있다.
윤승운의 <맹꽁이 서당>에는 예종이 평소부터 몸이 안 좋아, 즐겨 보는 책에 손수 '예종'이라고 쓰고, 자신이 죽은 뒤 '예종'이라는 묘호를 달라고 신하들에게 부탁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 이야기는 실록에도 나온다. "대왕 대비가 대행왕이 예(睿)로써 시호를 삼도록 말했었다고 알리다." (성종 1권, 즉위년(1469년 기축 / 명 성화(成化) 5년) 12월 3일(임자) 3번째 기사). 이 얘기는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에도 그대로 등장한다.
죽었을 때 나이는 만 20세로 조선의 역대 국왕 중에서 자연사한 인물 중 가장 단명한 왕이다.[10]
예종 스스로는 앞서 말했듯 강력한 위기 의식과 사명감에 사로잡혀 있었고 이 때문에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여러 일들을 억지로라도 이끌면서 심신이 퍽 지쳐있었던 듯 하다.
이쪽도 효종처럼 사망 플래그가 있었는데 죽기 2달 ~ 3달 전에 궁을 지키던 갑사 둘이서 새벽에 까치가 울자 "까치가 밤에 울면 그 집 주인이 황천길 간대" / "어? 그런데 이 궁 주인 누구야?"/ "주상 전하잖아. 보라고, 곧 위태로워질 거야"/ "그럼 누가 임금 되는데?" /"영순군(광평대군의 외아들)이 있잖아"라고 얘기를 했는데, 그걸 동료 1명이 밀고해서 국문한 후 갑사 둘을 대역죄로 능지하고 근처에서 이야기를 듣고도 고변하지 않은 셋을 참수해 사흘 간 효수했다. 영순군은 원상들이 없애자고 했으나 예종이 강력히 보호해 피해를 입지 않았다.[11] 그리고 이 일이 있은지 몇 달 뒤 예종은 사망했다.

3. 평가


아버지 세조가 공신들을 적절히 솎아내지 않고 우대하여 공신들의 위세가 높았으나 왕의 권위에 도전하는 것만은 용납하지 않고 강한 왕권을 휘두른 것에 감명받아 왕권 강화에 힘썼다. 이 와중에 장인이자 권신인 한명회와 사사건건 대립하였다. 그래서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의 배후에 항상 한명회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심이 따라다닌다. 예종 사후에 왕위를 둘째 조카인 성종이 이어받았으며 성종도 한명회의 사위라는 것이 한명회가 살해했다고 의심받는 근거인데, 사실 그 외에는 딱히 이렇다 할만한 근거는 없다.
또한 강력한 왕권을 기본으로 백성들을 위한 정치를 하려고 하는 모습도 보였고 그러한 정책들을 추진할 수 있는 능력이나 배짱은 충분했던 것으로 보였다. 만약 예종이 실제 역사보다 훨씬 오래 살아 즉위 직후로부터 10년 넘게 왕위에 있었다면 아버지인 세조보다 훨씬 나은 왕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조선의 최고 법전인 <경국대전>이 사실은 예종의 치세에 완성되었으나, 반포하기 전 예종이 급사해 그 업적은 조카 성종이 이어 받았다. 여러모로 안습인 군주.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신하들의 입을 빌려 세조Ⅱ라 칭하기도.
대중적으론 유자광의 모함에 억울한 남이를 죽였다는 야사 때문에 쪼잔하고 의심 많은 왕이란 이미지가 강한 편이다.
다만 아버지를 지나치게 칭송한 점 때문에 윤리적인 면에서 비판을 받는다. 아버지 세조가 그 때 당시 민중들과 사대부들에게 큰 충격을 줄 정도로 끔찍한 패륜을 저질렀는데도 아버지를 지나치게 찬양하는 의미에서 아버지에게 세조라는 묘호를 주었기 때문이다. 원래 세조의 묘호는 신종, 예종, 성종 중 하나가 될 예정이었다.

4. 가계


  • 정비: 장순왕후 한씨
    • 아들: 인성대군(1461년 11월 30일 ~ 1463년 10월 24일)
  • 계비: 안순왕후 한씨
    • 딸: 현숙공주(1464년 ~ 1502년 5월)
    • 아들: 제안대군(1466년 2월13일 ~ 1525년 12월 14일)
    • 아들: 왕자( ? ~ ? )[12]
    • 딸: 혜순공주(1468년 9월 ~ 1469년 8월 5일)[13][14]
  • 후궁: 공빈 최씨
  • 후궁: 상궁 기씨[15]
  • 후궁: 이씨[16]

5. 기타


  • 세자 시절인 1460년에 혼인했는데 당시 예종은 11세였고, 아내인 장순왕후[17] 한씨는 16세였다. 혼인한 그 다음해에 장순왕후가 회임하여 아들 인성대군을 낳았으나 산후병으로 사망하였고, 인성대군 또한 얼마 살지 못하고 3세의 나이에 풍질로 죽었다. 인성대군이 태어난 해가 1461년이니 예종의 나이 12세 때 이미 아버지가 된 것이다. 과거에는 지금보다 평균적인 2차성징 시기가 늦었지만, 그것은 농업생산력이 지금보다 낮아 음식이 풍족하지 못해 많은 사람들이 영양부족이었던 탓이다. 그러나 왕족이나 귀족처럼 좋은 환경에서 자란 사람이라면 영양과잉으로 오히려 성조숙증이 나타날 수 있었고, 예종도 그런 경우인 듯하다.[18] 아무래도 예종 복상사설은, 자식을 지나치게 일찍 봤다는 부분에 놀란 사람들이 상상의 요소를 더해서 퍼진 것으로 보인다. 덧붙여, 조선의 역대 왕 중 가장 아들을 일찍 본 임금이기도 하다. 유명한 아들인 제안대군은 계비 안순왕후 소생의 차남이다. 게다가 이전에 계비를 들인 조선의 실질적인 첫 임금이기도 하다. 그외의 자식으론 생몰연대를 알 수 없는 대군 1명과, 현숙공주와 혜순공주가 있다. 모두 안순왕후의 소생이다. 혜순공주는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사망했으며 현숙공주는 임사홍의 아들인 임광재와 혼인했다. 그러나 제안대군과 현숙공주 모두 친자식이 없어서 예종의 직계는 여기서 끊어진다.
  • 예종의 장녀 현숙공주가 독살 자작극을 벌인 적이 있다.

  • 예종의 능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서오릉 경내에 있는 창릉(昌陵)으로 안순왕후와 동원이강 형식으로 안장되었다. 창릉은 화마라도 꼈는지 유난히 화재를 많이 겪었다. 인조 때 1년의 시간을 두고 2번(1625년, 1626년)이나 봉분이 타는 화재를 겪기도 했고, 영조 때에는 정자각이 불에 타서 정자각을 재건하기도 했다. 그리고 고종 때인 1896년과 1901년에도 봉분이 불에 탔다고 한다.
  • 어떻게 보면 조선의 '조(祖)' 묘호 남용의 단초를 제공한 왕이다. 세조의 묘호를 정할 때, 처음에 신하들이 제시한 안건은 신종, 예종, 성종이었으나 예종이 그 중에서 고르지 않고 '세조'를 강력히 주장하는 바람에 세조에게 '조(祖)'가 붙어버렸고 특별히 중요한 위치가 아니었음에도 이런 사례가 생겨버리자 그 뒤에도 '세조도 조를 붙였는데 괜찮겠지' 식의 마인드로 조선 왕들에게 조가 남발되기 시작했다.

6.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KBS 대하드라마 왕과 비에서는 온순한 세자로 그려진다. 다만 야심가이자 자신의 아들을 보위에 내세우고 싶어했던 주인공 인수대비와는 불편한 사이로 그려지며[19], 심지어 인수대비자신의 아들들이 예종과 어울렸다는 이유만으로 아들들의 종아리를 회초리로 치기까지도 한다. 사실 인수대비는 본래 세조의 장남 의경세자의 세자빈이었고, 훗날 곧 중전이 되어 자신의 남편과 아들이 왕이 되는 날만 학수고대하고 있다가 정작 세자였던 남편이 왕이 되기도 전에 갑작스럽게 죽어버리면서 모든 꿈이 물거품이 되고 만 것이다. 그래도 의경세자 사후에도 자신의 장남인 월산대군이 세손이 되지 않을까 내심 기대는 했지만, 시아버지 세조가 결국 자신의 차남 해양대군을 나이가 더 많다는 이유로 세자로 선택해버리자 엄청난 절망감을 느낀고 만다. 사실 예종과 월산대군은 엄연히 작은아버지와 조카 관계이긴 했어도, 고작 나이 차가 4살밖에 나질 않았고 예종이 의경세자의 뒤를 이어 세자로 책봉되었을 때는 8살이었다.[20] 그래서 이 일이 있은 후 인수대비는 자신의 야망을 산산조각내버렸단 이유로 시아버지 세조[21]와 시동생인 예종을 속으로 내내 원망한다. 아버지 세조를 이어 왕위에 오르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그것도 부왕의 국상 중 갑작스럽게 발이 썩어가면서 사망해버린다. 자신의 형수인 인수대비에게 자신은 얼마 살지 못할 것 같다고 털어놓지만, 오히려 인수대비 자신은 이를 호재로 생각하면서 속으로 기뻐하기까지 한다. 극 중 예종이 승하한지 한참 지나고 나서 후반부에 이르러 인수대비가 사망했을 때, 손자 연산군은 죽고 나서도 자신의 할머니에게 엿먹이려는 차원에서 자신의 아버지 성종예종의 양자[22]였다는 사실을 내세워 인수대비의 장례를 왕후의 예가 아닌 후궁의 예로 치르게 하면서까지[23] 인수대비는 자신의 할머니라는 사실을 부정하면서 그냥 수빈 한씨[24]로 격하시켜버린다.
  • SBS 대하사극 왕과 나에서는 4회 분량에 등장해 독살당한 것으로 그려 시청자들에게 큰 반향을 일으켜 역사왜곡 논란에 휩싸였다. 드라마에서 예종은 판내시부사 조치겸[25]에 의해 독살되는 것으로 그려진다. 제작진은 예종의 재위기간이 2년 밖에 되지 않았던 점, 왕위를 찬탈한 세조의 뒤를 이어 정치적 혼란기에 살았던 점 등을 들어 예종 독살설을 들고 나왔다. 학계는 독살설은 차치하고 환관이 왕의 독살을 주도했다는 것은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본다. 조윤선 청주대 교수는 "왕권을 끊임없이 견제했던 사대부 세력이 환관이나 궁녀를 이용해 국왕에게 독약을 먹이는 '소급수(小急手)'의 예는 많지만, 환관은 어디까지나 궁궐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하수인에 불과했다"고 강조했다. 국내 환관 연구를 본격화한 장희흥 대구대학교 교수 역시 "일정 부분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던 중국, 고려시대 환관과 달리 조선내시들은 '왕의 노비'에 불과했고 정치적 역할도 철저히 차단됐다"고 말했다.
  • 재위 기간이 워낙 짧았던지라 대중 매체에서 주역으로 다뤄질 기회가 적을텐데, 의외롭게도 순정만화에서 주인공으로 나온 적이 있다! 작가 왈, 하필 예종인 이유는 단명해서 수염 그릴 필요가 없기 때문이라고.
그리고 이 만화가 임금님의 사건수첩으로 영화화 되었는데 예종 역을 이선균이 맡았고 사관 윤이서 역을 안재홍이 맡았다. 만화와 달리 예종은 40대의 나이로 수염이 생겼고 윤이서는 통통해졌다. 내용 자체도 많이 각색되어 실제의 예종과는 기본 설정만 공유되고 전혀 다른 인물로 묘사되고 있는데, 이 영화의 예종은 최소 수년 이상 장기간 재위하고 있으며 결말을 보면 오래오래 재위하실 것 같다. 심지어 조총법국에서 수입해온 트럼프 카드까지 등장할 정도. 게다가 작중 최강의 무력을 보유하고있다.

7. 관련 문서


[1] 수양대군 잠저다.[2] 1년 2개월로 이해하기 쉬운데, 1469년 2월이 윤달이었기에 1년 3개월이 된다.[3] 사후 덕종으로 추숭됨. 인수대비(소혜왕후)의 남편이자 월산대군, 성종, 명숙공주의 아버지이다.[4] 군호는 경상남도 남해군의 옛 지명인 해양군(海陽郡)에서 따왔다.[5] 세종대왕의 4남인 임영대군의 차남. 예종과는 사촌간이다. 영의정까지 되었지만 결국 역모와 관련이 있다는 이유로 귀양갔다.[6] 패혈증의 주요 증상 중 하나가 사람의 몸이 세균에 점령당해 조직에 혈액이 원만히 공급이 되지 않아서 전반적으로 피부가 파란색으로 보이거나 썩어버리는 것이다.[7] 《예종실록》 권8 1년 11월 28일 무신 4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ha_10111028_004 [8] 병 때문에 편하지 못하다.[9] 쉽게 말하면 예종이 매일 나를 찾아와 안부를 묻기에 심각한 병은 아니겠거니 했는데 갑자기 죽어버려 놀랐다는 취지이다.[10] 자연사가 아닌 모든 경우를 치면 단종이 해당하며, 예종은 2번째.[11] 《예종실록》 권8 1년 10월 13일 무신 1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ha_10110013_001 [12] (중략) 또 청천군(淸川君) 한백륜(韓伯倫)의 딸을 취하여 2남과 2녀를 낳았는데, 모두 어리고 1남은 먼저 죽었고, 세조(世祖)께서 이미 위(位)를 전하에게 전하시고, 명하고 봉하여 비(妃)로 삼았다. (중략) -《예종실록》2권, 예종 즉위년 11월 28일 1번째기사[13] 태상왕이 명하여 소훈(昭訓) 한씨(韓氏)를 왕비로 삼았다. 이때에 소훈이 임신하여 달이 차서 그 아비 한백륜(韓伯倫)의 집에 나가 있었는데, 곧 위사(衛士)를 보내어 그 집을 지키게 하였다. - 《예종실록》, 예종 즉위년 9월 8일 갑자 5번째기사[14] 새로 태어난 공주(公主)가 병으로 졸(卒)하였다. 시호(諡號)를 혜순(惠順)이라 하였으며, 나이 20이 못되어 졸하였으므로 거애(擧哀)하지 않았다. -《예종실록》, 예종 1년 8월 5일 병진 1번째기사[15] 예종(睿宗)의 상궁(尙宮) 기씨(奇氏)가 졸(卒)하였다. 승정원에게 전교하기를, "선왕(先王)의 후궁(後宮)이 졸하였는데, 악(樂)을 듣는 것은 불가함이 없겠는가? 오는 17일 거둥 때에 고취(鼓吹)를 정지하는 것이 어떠하겠는가?" (후략) -《성종실록》성종 20년 3월 16일 3번째기사[16] 사헌 감찰(司憲監察) 이의생(李義生)의 첩(妾)의 딸을 뽑아서 동궁(東宮)에 들이었다. -《세조실록》세조 9년 12월 21일 을사 3번째기사[17] 한명회의 딸.[18] 고대 그리스의 영웅 아킬레우스가 아들 네오프톨레모스를 본 나이가 15세 경이고, 네오프톨레모스가 장남 몰로소스를 본 나이는 그 보다도 적은 10세 전후(높게 잡아도 예종 또래 정도이다.)였음을 보면 불가능한 나이는 아니다.[19] 예종 자신은 인수대비를 형수의 예로서 대하고 자신의 조카들과도 잘 어울리지만, 인수대비는 예종을 속으로 원망하면서 내내 경계하는 태도를 보인다.[20] 극 중 인수대비는 자신의 사촌오빠 한치형에게 나이 차도 고작 4살밖에 안나고 해양대군이 월산군처럼 어린 아이인 건 마찬가지인데 어째서 월산군이 세손이 되지 못하냐고 서운한 속을 털어낸다.[21] 극 중 인수대비는 남편 의경세자가 죽기 전까지 누구보다도 시아버지 세조를 가장 존경하고 믿고 따랐다.[22] 본래 선왕의 친아들이 아닌 사람이 왕위를 계승할 때는 그 선왕의 양자로 입적되는 것이 관례였다. 성종 본인도 그렇게해서 자신의 숙부 예종의 양자가 된 것. 훗날 성종은 자신의 친아버지 의경세자를 덕종으로 추숭시켜주어 친어머니 수빈 한씨인수대비로 격상시켜주었다.[23] 엄연히 대왕대비였던 사람이 죽었는데도 며칠동안 질질 끌면서 상복도 입으려고 하질 않는다. 결국 최측근 신수근의 간곡한 설득으로 상복을 입고 장례를 치르긴 했어도 부실하게 치뤄진 것은 마찬가지였고, 한술 더 떠 아예 인수대비의 빈전에다 올리는 술에 침까지 내뱉어버린다.[24] 인수대비가 세자빈이었던 시절 불리던 이름[25] 환관 전균을 모델로 한 가상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