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
1. 개요와 현황
여러 DJ들의 공연을 포함하여 수일간 진행되는 대규모 야외 음악 축제. 사실 DJ뿐만 아니라 인디 팝 밴드 등도 많이 출현한다.
록 페스티벌과 마찬가지로 1960년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었다. 과거에는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이라고 불리지 않고 팝 뮤직 내지 아니면 뭉뚱그려 뮤직 페스티벌의 하위 장르로 분류되었었다.
과거에는 테크노, 딥 하우스, 트랜스등의 비교적 팬 수가 적은 비주류 장르 위주였지만 현재는 일렉트로니카의 유행과 더불어 EDM씬의 활발해짐에 따라 다양한 장르를 접해 볼 수 있다. 요즈음의 페스티벌이 다 그렇지만, 록 페스티벌이라고 적혀있는데 일렉트로니카 아티스트가 굉장히 많이 찾아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제는 거의 대부분이 그냥 뮤직 페스티벌이라는 이름으로 열리고 있다.[2] 지금 현재 페스티벌들의 라인업을 잘 살펴보면 일렉 위주인지, 락 위주인지, 혹은 다른 장르와 섞여 있는지 알 수 있다.
최근에는 락 페스티벌 만큼이나 유투브를 통해 생방송, 혹은 라디오로 중계를 해주는 경우가 굉장히 많아 날을 잘 맞춰보면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집에서 듣는 것과 현장에서 직접 듣는 것과는 하늘과 땅 차이 그 몇 배 이상으로 엄창나게 차이가 나니 고민하고 있으면 그냥 가기를 바란다. 특히 일렉페는 락페와 다르게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다.
대한민국에서 열리고 있는 일렉페는 전부 EDM페스티벌이라고 봐야할 정도로 주류 장르가 대다수이며 매니아한 장르를 접해 볼 수 있는 기회는 매우 어렵다. 다른 장르에 비해서 세부적인 장르에 대한 팬이 적다보니 어쩔 수 없는 상황. 하지만 실질적으로 EDM씬에서 활약하고 있는 DJ들 뿐만 아니라 인지도 높은 일렉트로니카 위주의 밴드, 매우 매니악한 장르를 구사하고 있는 DJ들을 한 페스티벌에서 볼 수 있는 경우는 모든 나라를 둘러 봐도 매우 매우 드물다. EDC, Tomorrowland, UMF정도의 세계구급 규모가 아니면 매우 다양한 장르를 한번에 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봐야 한다.
2017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에서 꾸준히 열리고 있는 페스티벌은 대표적으로 World DJ Festival, 울트라 코리아, 5tardium 등이 있으며, World Club Dome Korea가 이번에 새로 들어왔다. 5tardium과 월드 디제이 페스티벌을 제외하면 전부 해외 라이센스를 들여온 경우. Sensation, SEMF같이 몇 년 열리지 못하고 소리 없이 사라지는 경우도 많다.
DJ들이 페스티벌 뿐만 아니라 클럽으로도 공연을 가기 때문에 시기를 잘 조율해야 할 때도 있다. 어떤 라인업이 올지 궁금하다면 락페가 비슷하게 주변 나라에서 누가 오는지를 잘 보면 된다. 락페만큼이나 그 이상으로 한국의 '''열광적인 반응'''이 효과가 대단한 장르가 일렉이기도 한데, 대부분 말을 들어보면 '사람들이 쉴 생각이 없는 것 같다' 정도로 잘 노는 편. 떼창같은 부분은 영어권 국가도 아닌데다가 애초 일렉트로니카가 보컬이 강조되는 음악이 아니다보니 상대적으로 두드러지게 호응을 내기가 어렵지만 전체적인 반응은 어느 나라를 둘러봐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매우 좋다.
페스에 가기로 결심했다면 준비를 잘 해야한다. 가벼운 옷차림, 최소한의 짐, 여름이라면 약간의 방수 대책과 귀중품은 아예 가지고 가지 말아야 하며 무엇보다 수분 섭취와 건강은 필수이다. 일단 들어가서 사 먹는건 '''드럽게 비싸고''' 거의 쉬는 텀이 없이 몇 시간 이상을 뛰고 노느라 에너지 소비가 어마어마하다. 가기 전에 운동을 틈틈히 해서 몸을 미리 어느 정도 풀어 놓는 것도 도움이 꽤 된다. 밤 공연때는 화려한 플래시와 LED때문에 사람에 따라서 어지럼증과 두통을 일으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공연 다 끝나고 주변을 보면 아주 쓰레기 더미로 개판이다. 착한 분들이라면 부디 쓰레기를 아무 곳에 버리지도 말고 다른 쓰레기도 줍도록 하자. 그리고 공연때 앞쪽에 있는 사람일수록 조심해야될 게 있는데, 후반으로 갈수록 배고픔은 물론이고, 무엇보다 화장실이 급해질 경우가 많아지는데, 앞쪽에 있는 사람들은 이 두가지를 하러 가기에는 사람들 인파때문에 다른곳으로 움직이는거 자체가 매우 힘든 상황이고, 혹 자리를 뜨게 되면 자동으로 그 자리는 뺏기기 때문이다. 먹을거는 미리 사뒀다가 나중에 먹어야되며, 화장실은 사람들이 슬슬 많아지기 시작할 조짐이 보일때 빨리 다녀와야 앞자리를 뺏기지도 않으면서 후반가도 그나마 버틸만하다.[3]
어느 페스를 가서든 '''절대로 남이 주는 음료수는 뚜껑이 열려있든 말든 함부로 받아서 마시면 안된다.''' 여느 페스티벌의 문제점으로도 꼽히지만 해외 한정, 특히 안전 사고 뿐만 아니라 주변 피해, 심지어 마약등의 문제가 매년 대두될 만큼 아주 심각하다. 국내도 결코 청정국이라 할 수 없다. 보통 락페에서는 아티스트에 따라서 화려한 연출을 요하지 않는 경우도 많지만, EDM씬의 DJ들에게 있어서 LED 같은 화려하거나 정신이 매우 사나워 어지러울 정도의 보여줄 수 있는 요소가 중요하게 꼽히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다.
북미 같은 경우는 대부분 외곽 지역이 아닌, 도심 안에서 여는 경우가 많아 소음과 관련한 민원 신고도 매우 많은 편. 국내는 그래도 덜한 편이지만 해외는 사실 사정이 매우 다르다. 대표적인 몇 예로, 2013년 뉴욕에서 가장 크게 열리는 Electric Zoo 공연 때는 2명이 '''약물 중독으로 사망'''하여, 뉴욕 시 측과 주최 측에서 고심 끝에 마지막 날의 공연을 모두 취소했고[4] UMF은 건전한 페스티벌을 지켜달라는 청원까지도 모집했다.
NBC나 폭스 뉴스같은 특히 보수적인 미국 언론들이 눈에 불을 켜고 비웃으며 "매년 중대한 사고를 내고 있어서, 이를 고치지 않으면 열지 말아야 한다"는 방송이 한 두건 나온 것이 아니다. 물론 페스티벌 측에서도 식수 무한 제공, 의심 품목 반입 금지 등으로 최대한 막아보려고 노력하고 있다.
1.1. 2018년 한국 페스티벌 총평
- World DJ Festival는 작년보다 스테이지 규모가 커졌고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하지만 다양한 사람들을 만족 시키느라 너무 과감한 시도를 한 듯.
- Ultra Music Festival Korea는 다시 3일차 구성으로 복귀하였다. 다양한 시도를 하는 점은 다양한 일렉트로닉 뮤직을 국내 팬들이 접할 수 있게 해주는 긍정적인 시도라고 보인다. 다만 금요일과 일요일 라인업에 집중하면서 다소 아쉬운 면이 있다.
- World Club Dome Korea는 라인업이 준수하고 관객수도 여전하였다. 하지만 늦은 입장과 관련된 미숙한 운영으로 큰 불편을 겪은 관객들이 있었고, 애프터 파티 장소가 너무 부족한 점은 반드시 개선해야할 것이다. 2017년처럼 애프터 파티 장소를 공연장 근처에 바로 만드는게 어떨까 싶다.
- Spectrum Dance Music Festival은 초회 초대권 사태로 인해 굉장한 논란과 비판에 휩싸였었지만, 17년도를 거르고 18년도에 개최된 2회엔 적절한 가격 선정과 초회 정가 구매자 혜택등 기존의 논란을 탈피하기 위해 노력한 모습이 보였다.
- 3일차 페스티벌들 모두 금요일 라인업에 조금 더 무게를 실으면 어떨까하는 아쉬움이 있고, 힙합 장르보다는 일렉트로니카에 집중했으면 한다.
1.2. 2019년 한국 페스티벌 총평
- 비싼 티켓 가격에 비해 수준 높은 운영이 되고 있는지 의심스럽다. 2019년 EDC와 SPECTRUM이 같은 날 개최되는 사태까지 생기는거 보면 얼마나 폭리를 취하길래 저런 경쟁을 벌이는지 한탄이 나올 지경...물론 스펙트럼에서 공연일정을 7일 미뤘다.
- 잠실 종합운동장의 2019년 행사 준비 및 2022년까지의 리모델링 공사로 인해 사용이 불가한 상태다. 이에 월드디제이페스티벌 및 EDC Korea가 서울랜드를 행사 장소로 섭외하였다. 6월4일 현재. 2019 월디페에 대해 아쉬운 점으로 서울랜드 자체가 인원에 비해 편의시설이 부족하거나 협소한 점을 꼽는 사람들이 있다.
- 버닝썬 사태로 클럽씬이 폭탄을 맞은 만큼[5] 페스티벌 때 어떤 분위기 일지...한동안 애프터클럽은 운영을 안 한다는 소문까지 퍼졌을 정도였으니...물론 Strike Music Festival이랑 World DJ Festival은 클럽 크로마에서 애프터클럽을 1일 오픈하기는 했다.
- 월드 클럽 돔 코리아를 뒤로하고 따로 EDC 코리아를 주최한 회사가 있다(...). 다만, 이후 밝혀진 루머에 따르면 한국에서 5년 개최하기로 계약한거는 사실이나, 라이센서와 이견이 있어서 올해는 개최를 안 하게 된 거라고 한다.[6] 먹튀는 아니라고...아무래도 WCDK는 2020년을 기대해야될 듯.
- 서울랜드의 첫 페스티벌의 막을 연 스트라이크 뮤직 페스티벌은 1일차 EDM, 2일차에 하드스타일로 채우고 라인업 구성 또한 상당히 알차다는 평을 들었다. 더불어 사전 구매서 하루 19000원 이라는 상당히 파격적인 가격에 가성비 높은 페스티벌로 호평을 받았다. 다만 아쉬운건 역시 첫 행사라는 점에서 홍보 부족으로 인한 관람객수 부족.
- 2019년도의 UMF Korea는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었다. 아티스트도 헤드라이너는 마틴 게릭스의 발목 부상으로 인한 공연 취소랑 스웨디시 하우스 마피아의 갑작스런 당일날 공연 취소가 되었으며, 이 외에도 장소도 그닥이라는 평이며 무엇보다 운영이 엄청나게 개판이 되면서 그야말로 다른 페스티벌에서 보기힘든 역대급 개판 페스티벌을 보여주었다.
- 2019년도 워터밤은 부산을 시작으로 서울, 인천, 대전, 대구, 광주 등 전국 대도시 곳곳에서 개최된다. 워터밤 부산의 경우, 올해는 확실히 EDM과 힙합을 적절히 조화시킨 공연 구성이었다. 작년엔 힙합 뿐이라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이라 민망했다. 하지만 올해는 퍼플팀 아티스트는 주로 한국 DJ(AK, ASTER, INSIDECORE 등), 그린팀 아티스트는 힙합(제시, 위너, 식케이, 크러쉬 등)으로 구성되어 번갈아가며 EDM과 힙합을 즐길 수 있었다. 다만 토요일 오후 2시까지 비가 왔던 관계로 기온이 22도씨 근처여서 물 맞으며 놀기엔 다소 추웠다. 그 탓인지 관객 호응이 열광적이라 보기 어려워 아티스트들이 호응을 유도하려 애썼다. 그래서 그런지 퍼플팀 DJ들 공연 때 MC가 올라와서 마이크웍을 했는데 이건 이거대로 과해서 공연을 듣기에 불편했다.
- 트랜스미션 코리아 2019의 개최가 취소되었다. 9월 인천에서 진행하려고 했으나 문제가 발생하여 주최사인 (주)쓰리앵글스코리아와 싱가포르 파트너사 간 협의에서 결국 취소가 결정되었다고 하며, 환불도 진행한다고 한다.
1.3. 2020년 한국 페스티벌 총평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인해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이 줄줄이 취소되거나 연기되었다. 사실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 말고도 다른 페스티벌들도 대부분 연기되거나 취소되었으며, 그대로 오픈한 페스티벌들도 사회적 거리두기, 생활속 거리두기 등으로 인해서 여타 다른 년도들보다는 흥행하는데는 실패했다.
2. 목록
2.1. 대한민국[7]
☆현재 개최되지 않는 페스티벌
- Strike Music Festival[8]
- World DJ Festival
- Ultra Music Festival Korea
- 5tardium
- 워터밤
- Electric Daisy Carnival Korea
- It's the Ship Korea[9]
- Spectrum Dance Music Festival
- World Club Dome Korea
- TRANSMISSION Festival[10]
- Escape Halloween Korea
- The Final Countdown
- Cass Blue Playground World Countdown[11]
- Arcadia Korea ☆
- SOUNCE PARADE ☆
- Global Gathering Korea ☆
2.2. 해외
- Ultra Music Festival
- Electric Daisy Carnival
- Defqon.1 - 네덜란드, 호주, 칠레에서 열리는 하드스타일 위주 페스티벌. 그외 q(Q)가 붙는 페스티벌은 이 항목 참고.
- World Club Dome
- Electric Zoo
- Sensation - 원래는 센세이션 블랙/화이트로 나눠서 개최했으나 현재는 센세이션 화이트 위주[12] .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드레스코드는 하얀색이다.
- Coachella - 이쪽은 종합 페스티벌로 미국의 코첼라 밸리에서 열린다.
- Creamfields - 영국에서 개최되는 댄스뮤직 페스티벌. 1998년부터 시작해 거의 20년이나 했다.
- Stereosonic - 호주에서 개최되는 댄스뮤직 페스티벌.
- Global Gathering(2001-2014)-2012년 행사에서 24 세의 남성이 자신의 텐트에서 숨졌고,2014년에 또 약물로 인해 1명이 숨지자 Global Gathering는 2015년 부터 축제를 열지 않겠다 발표하고 2014년을 마지막으로 중단 되어버렸다.(중단된 이유가 영국 법이 그렇다고 하는데 잘 모르겠다.)
- Tomorrowland - 벨기에에서 개최되는 댄스뮤직 페스티벌. EDC, UMF와 함께 가장 큰 규모와 화제성을 자랑한다. DV&LM이 이 페스티벌을 토대로 DJ MAG TOP 100 1위까지 올랐다.
- Summerburst 스웨덴 댄스음악 페스티벌. 사실 스웨덴의 DJ수는 네덜란드 DJ들과 버금가는 수준이나, 제대로 된 댄스뮤직 페스티벌이 전무하다. 그 와중에 선방하는 페스티벌. 스웨덴에서 열려서 스웨덴 DJ들은 엄청 나온다!
- Let It Roll - 체코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DnB 페스티벌.
- Liquicity - 네덜란드에서 개최되는 Liquid DnB 페스티벌.
- Untold Festival - 루마니아 최대 edm 페스티벌
- Don't Let Daddy Know - 네덜란드가 본진인 EDM 페스티벌로, 그 외에도 스페인, 중국, 동남아 등 월드투어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개최 예정이라는 이야기가 들리고있다.
- Sunburn Festival - 인도 고아에서 매년 12월 마지막 주말에 개최되는 인도 최대 EDM 페스티벌.[13]
- S2O Festival - 태국에서 송크란 축제 기간에 개최되는 EDM 페스티벌로, 대만, 일본에서도 개최하고 있다. 한국에도 정식 홈페이지와 공식 SNS계정 신설로 2020년에 개최할 조짐이 보이고 있다.[14]
[1] 매해 개최되는 순서에 따라 나열하고자 하였으며, 현재 개최되지 않는 페스티벌은 아래에 따로 모음[2] 글라스톤베리 같은 경우도 마찬가지다.[3] 근데 사실 공연 중간쯤에 화장실 1번 다녀오면 급한 경우는 별로 없다. 이유는 몇시간동안 뛰고 놀면 땀이 엄청나게 나게 되는데, 노폐물들이 전부 다 땀으로 배출되면서 방광에 소변이 차는 양이 자연스럽게 적어지게 된다. 실제로 이걸 작성한 위키러는 화장실 한번 갔다오고 6시간동안 축제를 즐기고난 후 공연이 끝날때도 별로 화장실이 급하지도 않았으며, 소변량도 생각보다 적은 수준이었다.[4] 이때 라인업이 Diplo, 세바스티안 인그로소, Zedd, 아민 반 뷰렌, Krewella등 가장 화려하게 구성되어 있어 페이스북엔 '내가 왜 저 약 처먹은 새X들 때문에 공연을 못 봐야 되냐'라는 한탄글로 쏟아졌다(...) 물론 취소하는 것이 옳다는 사람도 많았다.[5] 이게 어느정도냐면, 2005년 생방송 음악캠프 알몸노출 사건직후 한국 인디밴드씬이 처한 상황에 상응할정도라는 이야기도 있다.[6] 그룹사 내 다른 계열사에서 2019년부터 EDC, ESCAPE 행사를 새롭게 시작하기도 했다.[7] 매해 개최되는 순서에 따라 나열하고자 하였으며, 현재 개최되지 않는 페스티벌은 아래에 따로 모음[8] 월디페 주관사에서 새로이 개최하는 뮤직 페스티벌이며 여기에 하드스타일 뮤직 위주의 페스티벌인 Hard Strike Music Festival도 열렸다. 2019년 4월 27~28일 처음 개최되었음. 이 각주는 문서 생성시 삭제 바람. 다만, 최초로 열린 2019년도 스트라이크 뮤직 페스티벌 관객 수가 15,000명밖에 안 돼서 언론의 보도 수를 만족시켜야지만 문서가 생성될 수 있다.[9] 본진은 싱가포르로, 월디페 주관사인 비이피씨탄젠트가 2020년 8월 28~31일에 개최 예정으로 크루즈 위에서 열릴 예정이다.[10] 사실 이건 아시아 투어 때 개최지로 언급될 경우다. 아시아 투어로 자주 열렸던 곳은 방콕, 시드니다.[11] 이 역시 월디페 주관사인 비이피씨탄젠트가 연말 카운트다운 컨셉으로 개최한 페스티벌.[12] 블랙의 경우는 사실상 종료[13] 겸 세계 3대 EDM페스티벌로 뽑히고있기도 하다.[14] 그러나 현재 한국 공식 홈페이지는 열리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