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논(메이플스토리)/스킬

 






1. 개요
2. 0차: 제논의 기본
2.1. 서플러스 서플라이(Supply Surplus)
2.2. 하이브리드 로직(Hybrid Logic)
2.3. 멀티래터럴 I(Multilateral I)
2.4. 프로멧사 어썰트(Promessa Escape)
2.5. 멀티 모드 링커(Modal Shift)
2.6. 에비에이션 리버티(Liberty Boosters)
2.7. 카모플라쥬(Mimic Protocol)
3. 1차: 제논(레벨 10)
3.1. 에너지 스플라인(Beam Spline)
3.2. 서든 프로펠(Propulsion Burst)
3.3. 인클라인 파워(Circuit Surge)
3.4. 레디얼너브 리파인(Radial Nerve)
3.5. 멀티래터럴 Ⅱ(Multilateral Ⅱ)
3.6. 핀포인트 로켓(Pinpoint Salvo)
4. 2차: 제논(레벨 30)
4.1. 퀵실버 소드(Quicksilver)
4.1.1. 퀵실버 소드 : 섬광(Quicksilver : Flash)
4.1.2. 퀵실버 소드 : 집중(Quicksilver : Concentrate)
4.1.3. 퀵실버 소드 : 도약(Quicksilver : Takeoff)
4.2. 이온 쓰러스터(Ion Thrust)
4.3. 에피션시 파이프라인(Efficiency Streamline)
4.4. 제논 부스터(Xenon Booster)
4.5. 리니어 퍼스펙티브(Perspective Shift)
4.6. 마이너리티 서포트(Structural Integrity)
4.7. 제논 마스터리(Xenon Mastery)
4.8. 멀티래터럴 Ⅲ(Multilateral Ⅲ)
4.9. 핀포인트 로켓 1차 강화(Pinpoint Salvo Redesign A)
5. 3차: 제논(레벨 60)
5.1. 컴뱃 스위칭(Combat Switch)
5.1.1. 컴뱃 스위칭 : 폭발(Combat Switch : Explosion)
5.1.2. 컴뱃 스위칭 : 격추(Combat Switch : Air Whip)
5.1.3. 컴뱃 스위칭 : 분열(Combat Switch : Fission)
5.2. 다이아그널 체이스(Diagonal Chase)
5.3. 필라 스크램블(Gravity Pillar)
5.4. 듀얼브리드 디펜시브(Hybrid Defenses)
5.5. 이지스 시스템(Aegis System)
5.6. 트라이앵글 포메이션(Triangulation)
5.7. 버추얼 프로젝션(Manifest Projector)
5.8. 멀티래터럴 Ⅳ(Multilateral Ⅳ)
5.9. 엑스트라 서플라이(Emergency Resupply)
5.10. 핀포인트 로켓 2차 강화(Pinpoint Salvo Redesign B)
6. 4차: 제논(레벨 100)
6.1. 블레이드 댄싱(Beam Dance)
6.2. 퍼지롭 매스커레이드(Mecha Purge)
6.2.1. 퍼지롭 매스커레이드 : 저격(Mecha Purge : Snipe)
6.2.2. 퍼지롭 매스커레이드 : 포격(Mecha Purge : Bombard)
6.2.3. 퍼지롭 매스커레이드 : 폭격(Mecha Purge : Bombardment)
6.3. 홀로그램 그래피티(Hypogram Field)
6.3.1. 홀로그램 그래피티 : 관통(Hypogram Field : Penetrate)
6.3.2. 홀로그램 그래피티 : 역장(Hypogram Field : Force Field)
6.3.3. 홀로그램 그래피티 : 지원(Hypogram Field : Support)
6.4. 오파츠 코드(OOPArts Code)
6.5. 인스턴트 셔크(Instant Shock)
6.6. 제논 엑스퍼트(Xenon Expert)
6.7. 타임 캡슐(Temporal Pod)
6.8. 메이플 용사(Maple Warrior)
6.9. 용사의 의지(Hero's Will)
6.10. 오펜시브 매트릭스(Offensive Matrix)
6.11. 멀티래터럴 Ⅴ(Multilateral Ⅴ)
6.12. 핀포인트 로켓 최종 강화(Pinpoint Salvo Perfect Design)
6.13. 멀티래터럴 Ⅵ(Multilateral Ⅵ)
7. 하이퍼 스킬: 제논(레벨 140)
7.1. 스킬 강화 패시브
7.1.1. 블레이드 댄싱-리인포스(Beam Dance - Reinforce)
7.1.2. 블레이드 댄싱-패스트 무브먼트(Beam Dance - Blur)
7.1.3. 블레이드 댄싱-엑스트라 타겟(Beam Dance - Spread)
7.1.4. 퍼지롭 매스커레이드-리인포스(Mecha Purge - Reinforce)
7.1.5. 퍼지롭 매스커레이드-이그노어 가드(Mecha Purge - Guardbreak)
7.1.6. 퍼지롭 매스커레이드-엑스트라 타겟(Mecha Purge - Spread)
7.1.7. 홀로그램 그래피티-리인포스(Hypogram Field - Reinforce)
7.1.8. 홀로그램 그래피티-스피드(Hypogram Field - Speed)
7.1.9. 홀로그램 그래피티-퍼시스트(Hypogram Field - Persist)
7.2. 공격 / 버프 액티브
7.2.1. 아마란스 제네레이터(Amaranth Generator)
7.2.2. 컨파인 인탱글(Entangling Lash)
7.2.3. 멜트다운 익스플로젼(Orbital Cataclysm)
8. 5차: 제논(레벨 200) / V 매트릭스
8.1. 스킬 코어
8.1.1. 베놈 버스트(Venom Burst)(도적 공통)
8.1.2. 로디드 다이스(Loaded Dice)(해적 공통)
8.1.2.1. 럭키 다이스(Roll of the Dice)
8.1.3. 레지스탕스 라인 인팬트리(Resistance Infantry)(레지스탕스 공통)
8.1.4. 레디 투 다이(Last Resort)(도적 공통)
8.1.5. 오버 드라이브(Overdrive)(해적 공통)
8.1.6. 메이플월드 여신의 축복(Maple World Goddess's Blessing)
8.1.7. 메가 스매셔(Omega Blaster)
8.1.8. 오버로드 모드(Core Overload)
8.1.9. 홀로그램 그래피티 : 융합(Hypogram Field : Fusion)
8.1.10. 포톤 레이(Photon Ray)
8.2. 강화 코어
9. 관련 문서


1. 개요


메이플스토리의 직업 제논이 사용하는 스킬들을 정리한 문서.

2. 0차: 제논의 기본



2.1. 서플러스 서플라이(Supply Surplus)


[image]
패시브
마스터 레벨
1
설명
일정 시간마다 전력 1개 충전, 피격/회피 시 일정 확률로 1개 충전하며 충전된 에너지에 따라 모든 능력치가 증가한다. 충전된 에너지는 스킬로 소비될 수 있다. 추가로 안드로이드 하트를 파워 소스 슬롯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효과
1
4초마다 1개 충전, 추가로 피격/회피 시 60% 확률로 1개 충전. 서플러스 에너지 1개 당 모든 능력치 1%만큼 증가
조건부 충전형 올스탯 증가 패시브.[1] 화면 우측의 서플러스 에너지 창을 통해서 서플러스 에너지의 총량을 확인할 수 있다. 생성 당시 에너지 한도는 5개이며, 이후 전직 시마다 5개씩 증가해 4차 전직을 마치면 총 20개까지 에너지 총량이 늘어난다.[2] 3개 스탯에 AP를 투자하는 제논의 특성상 올스탯 의존도가 높고, 에너지가 일부 스킬의 소모 비용으로도 사용되므로[3] 스공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서플러스 에너지는 가능하면 오랫동안 최대량에 가깝게 유지해야 한다.

2.2. 하이브리드 로직(Hybrid Logic)



[image]
패시브
마스터 레벨
2
설명
하이브리드 로직 디자인을 적용하여 모든 능력치가 영구히 증가한다.
효과
2
모든 능력치 10% 증가
제논의 링크 스킬. 모든 능력치를 10%나 상승시키는 만큼, HP가 주스탯인 데몬어벤져를 제외한 모든 직업에 효과적이다. 스킬 설명에는 없지만 메이플 용사처럼 순수 AP 투자 능력치에만 적용된다.

2.3. 멀티래터럴 I(Multilateral I)


[image]
패시브
마스터 레벨
1
설명
직접 AP를 투자한 능력치를 일정 수치 이상 달성하면 능력치 별로 특징적인 보너스를 얻는다.
효과
1
STR 20 이상 시 : 스탠스 확률 3%
DEX 20 이상 시 : 모든 속성 내성 3%, 상태 이상 내성 3
LUK 20 이상 시 : 회피율 3%
STR/DEX/LUK 20 이상 시 : 데미지 3%
AP 분배에 따라 부가 효과를 부여하는 패시브. 전직 시 이미 마스터 돼 있는 패시브 스킬로 각 차수마다 존재한다. 이 패시브의 존재로 인해 제논은 200레벨까지 찍어줘야 스탠스, 내성, 회피율이 최대 수치에 달하는 성장형 직업으로 분류되며 제논의 스탯 자동 분배 버튼은 세 개로 나뉜다. STR은 스탠스, DEX는 내성, LUK은 회피율에 관계되어 있으며, 각 차수마다 스탯 분배 조건을 일정량 충족할 경우 데미지% 증가 부가 효과가 추가로 주어진다.

2.4. 프로멧사 어썰트(Promessa Escape)


[image]
[image]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1
설명
프로멧사를 호출하여 기지로 귀환한다.
효과
1
프로멧사를 호출하여 기지로 귀환.
재사용 대기시간 600초

'''프로멧사!'''

'''본부로 귀환한다.'''

'''루티, 돌아가자.'''

홈타운 귀환 스킬. 2차 전직 이후에 추가되는 스킬이며, 사용 시 베리타스로 귀환한다. 베리타스 내에서는 장비/소비 아이템을 사고 팔거나 창고를 이용할 수 있으며, 판테온의 디멘션 게이트처럼 마을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2.5. 멀티 모드 링커(Modal Shift)


[image]
[image]
퀵실버 소드(2차)
컴뱃 스위칭(3차)
[image]
[image]
홀로그램 그래피티(4차)
퍼지롭 매스커레이드(4차)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1
설명
상황에 따라 현재 차수의 스킬을 변경하는 멀티 모드 링커를 오픈할 수 있다. 한 번 더 누르면 변경할 스킬을 바꿀 수 있다.
효과
1
멀티 모드 링커를 오픈한다. 멀티 모드 링커가 오픈 된 상태에서 반복해서 누르면 변경할 스킬이 바뀐다. 변경할 스킬 키와 동시에 누르면 해당 스킬의 멀티 모드 링커를 바로 오픈할 수 있다.
퀵실버 소드, 컴뱃 스위칭, 홀로그램 그래피티, 퍼지롭 매스커레이드의 모드를 변경한다. 사용 시 캐릭터의 좌, 상, 우면에 선택 가능한 스킬 목록이 열리며, 방향키를 눌러 사용할 스킬을 변경할 수 있다. 멀티 모드 링커가 열린 상태에서 스킬 버튼을 한 번 더 누를 시, 퍼지롭 매스커레이드-홀로그램 그래피티-컴뱃 스위칭-퀵실버 소드 순으로 각 스킬 목록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스킬 목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담으로, 변환 할 스킬을 한번 사용한 후에 사용시 해당 스킬의 변환기가 바로 열리는데, 그렇게 되지 않기도 하는 유서깊은 버그가 있다.

2.6. 에비에이션 리버티(Liberty Boosters)


[image]
[image]
[image]
액티브(버프)
마스터 레벨
1
설명
부스터를 켜서 일정 시간 자유롭게 비행할 수 있다. 비행 상태에서는 버프 스킬만 사용 가능하다.
효과
1
제트엔진 부스터를 가동하여 30초 동안 비행. 재사용 대기시간 30초

'''에비에이션 리버티!'''

'''자유 비행 모드, 온!'''

'''부스터 전개!'''

비행 스킬. 사용 시 일정 시간 동안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날아다닐 수 있다. 일리움, 아크, 호영, 아델, 키네시스가 공중에서 잠깐 비행할 수 있지만 길어봤자 4초 넘게는 비행할 수 없는 것에 비해 제논은 최대 30초 동안 비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스킬 사용 후의 경직도 크고 날아가는 속도가 그리 빠르지 않은데다가[4] 무적도 아니고 공격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보스전에서 그 진가를 발휘하는데, 공중에서 안전하게 버프를 사용하는 용도나 극후반에 드랍템을 교체할 때는 물론이고 스우의 전깃줄을 피하거나 데미안의 각성 페이즈에서 화염 폭풍을 피할 때, 루시드의 강력한 소환수가 내뿜는 브레스를 피할 때 아주 유용하다. 대신 스탠스를 무시하는 슈퍼 넉백 공격에 적중당할 시 해제된다.
또한 먹자에도 굉장히 유용하다. 피에르의 석화 모자, 벨룸의 종유석은 맨 위로 올라가 있으면 표면적으로는 천장에 막혀서 조금 밖에 올라가지 못 해 맞을 것 같아 보이지만 다 피해지며, 특히 파풀라투스와 스우의 2, 3페이즈에서는 쭉 올라가서 아예 화면 밖 언저리까지 가면 파풀라투스의 레이저 교차, 스우의 분쇄기를 제외한 모든 패턴을 피할 수 있다.

2.7. 카모플라쥬(Mimic Protocol)


[image]
패시브
마스터 레벨
1
설명
장비 착용에 필요한 능력치를 무시하며, 도적과 해적의 방어구를 모두 입을 수 있다.
효과
1
장비 착용에 필요한 능력치를 무시, 도적과 해적의 방어구 착용 가능
하이브리드 직업군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패시브. 이 스킬을 이용하면 도적과 해적의 방어구를 섞어 입을 수도 있다. 단, 세트 효과를 발동시키려면 도적이나 해적 중 한 가지 직업 계열로 장비를 맞춰야 한다. 하지만 이 패시브로 인해 제논은 필연적으로 스타포스 강화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도적 계열로 가면 STR을 포기해야 하고, 해적 계열로 가면 LUK을 포기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보정은 스타포스 출시 이래로 전무했다. 다만 부족한 스탯을 작에서 챙겨 준다면 16성부터 붙는 스탯은 나머지 두 스탯과 같은 수치가 올라 19성 이상부터는 다시 제논이 타 직업보다 스타포스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리부트 월드에서는 이 스킬로 인해 타 직업들보다 장비 수급 면에서 불리해진다. 타 직업들은 리부트 월드에서 자기 직업에 맞는 무기와 방어구만 몬스터에게서 드롭되지만, 제논은 이 스킬로 인해 도적과 해적용 장비가 함께 드롭되므로 장비 세트를 맞추는데 다른 직업들보다 2배는 더 오래 걸린다. 따라서 리부트 월드에서 제논을 육성한다면 어차피 140제 펜살리르 이전까지는 세트옵션 효과가 그렇게 중요하지 않으므로 세트 효과는 포기하고 토드 렙제만 유지해주는 식으로 가는게 좋다. 장비의 착용 가능 직업이 달라도 토드는 가능하기 때문.

3. 1차: 제논(레벨 10)



3.1. 에너지 스플라인(Beam Spline)


[image]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20
설명
에너지 소드를 두 번 휘둘러 전방의 적 다수에게 피해를 입힌다.
효과
20
MP 9 소비, 최대 4명의 적에게 150% 데미지로 2번 공격

'''에너지 소드, 전개!'''

1차 주력 다수기. 에너지 소드를 횡으로 한 번, 종으로 한 번씩 벤다.

3.2. 서든 프로펠(Propulsion Burst)


[image]
[image]
[image]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10
설명
부스터를 순간 가속하여 전방으로 점프한다.
효과
10
MP 10 소비. 점프 상태에서 사용 시 전방으로 한 번 더 점프. 2회 연속 사용 가능
제논의 트리플 점프. 후술할 컴뱃 스위칭:분열과 함께 사용하면 쿼드러플 점프까지 가능하다. 여담으로 점프 거리가 트리플 점프 계열 중 가장 길다.[5] 그야말로 제논의 우월한 기동성에 한몫하는 스킬. 대신 그만큼 다른 직업에 비해 미세한 컨트롤이 어렵다.

3.3. 인클라인 파워(Circuit Surge)


[image]
[image]
액티브(버프)
마스터 레벨
20
설명
파워를 증가시켜 데미지를 증대시킨다.
효과
20
[서플라이]
에너지 3 소비, 240초 동안 공격력 30 증가

'''인클라인 파워!'''

'''파워 강화.'''

'''최고 출력으로!'''

서플러스 에너지를 소모해 공격력을 일정량 증가시키는 액티브 버프. 귀중한 서플러스 에너지를 소모해야 하기 때문에 패시브로 전환해야 할 필요가 있다.

3.4. 레디얼너브 리파인(Radial Nerve)


[image]
패시브
마스터 레벨
10
설명
요추 신경계를 증가시켜 움직임과 관련된 수치들을 모두 증가시킨다.
효과
10
이동속도 40, 이동속도 상한 20, 점프력 10 증가
이동 관련 패시브.

3.5. 멀티래터럴 Ⅱ(Multilateral Ⅱ)


[image]
패시브
마스터 레벨
1
설명
직접 AP를 투자한 능력치를 일정 수치 이상 달성하면 능력치 별로 특징적인 보너스를 얻는다.
효과
1
STR 40 이상 시 : 스탠스 확률 5%
DEX 40 이상 시 : 모든 속성 내성 5%, 상태 이상 내성 5
LUK 40 이상 시 : 회피율 5%
STR/DEX/LUK 40 이상 시 : 데미지 5% 증가, 최대 HP/최대 MP 5% 증가
멀티래터럴의 1차 강화 버전. 여기까지 스탠스 8%, 모든 속성 내성 8%, 상태 이상 내성 8, 회피율 8%, 데미지 8%, 최대 HP/MP 5%가 증가한다.

3.6. 핀포인트 로켓(Pinpoint Salvo)


[image]
[image]
액티브(온/오프)
마스터 레벨
5
설명
자신의 공격 스킬 사용 시 사정 거리 내의 적들에게 다수의 미사일을 발사한다.
공격 반사 상태의 적을 공격해도 피해를 입지 않는다.
발동시 짧은 시간 동안 발사 준비 시간이 필요하고 스킬 사용 시 효과가 활성화되고 재사용 시 비활성화되는 온오프 스킬
2차 스킬 '핀포인트 로켓 1차 강화'를 익히기 위해 1레벨 이상 필요

효과
5
일정 범위 내 적에게 50%의 미사일 4개 발사. 일반 몬스터 공격 시 데미지 150% 증가
재발동 대기시간 2초
온오프형 자동 공격 스킬. 발동 시 일정 주기마다 캐릭터 주변에서 미사일이 4개씩 발사된다. 이지스 시스템과 공유하는 장점으로, 원킬컷이 굉장히 높지만[6] 원킬이 나기만 한다면 제논의 저열한 사냥 성능을 어느정도 커버 쳐 줄 수는 있다. 하지만, 이 스킬에는 사냥 면에서 결정적인 단점이 있는데, 바로 타게팅 시스템이 매우 조악하다는 점이다. '''적을 끝까지 따라가서 타격'''하는 호밍 미사일이나, 제논의 5차 스킬인 포톤 레이와는 달리, 적이 시야를 벗어나거나 없어지면 그자리에서 대기하다 다음 대상을 타게팅하지 않고 그대로 '''증발한다.''' 애초에 AI부터가 적이 여럿 보이는데도 한 개체에 여러개의 미사일이 날아가거나 하는 식으로 좋지 못한 편인데, 이 단점까지 맞물리기 때문에 사출기 원킬컷을 목적으로 스펙업을 하는 짓은 여러모로 돈 낭비라고 볼 수 있다.

4. 2차: 제논(레벨 30)



4.1. 퀵실버 소드(Quicksilver)


'''퀵 실버 소드!'''

'''어딜 보고 있지?'''

'''눈 깜짝할 사이에 끝이다!'''

'''멀티 모드 링커 적용 스킬.'''

4.1.1. 퀵실버 소드 : 섬광(Quicksilver : Flash)


[image]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20
설명
전방 다수의 적을 에너지 소드로 빠르게 벤다. 멀티 모드 링커를 통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효과
20
MP 16 소비, 최대 6명의 적을 145%의 데미지로 3번 공격
퀵실버 소드의 제1형태. 전방을 세 번 벤다. 집중에 비해 범위가 매우 좁아서 잘 쓰이지 않는다.

4.1.2. 퀵실버 소드 : 집중(Quicksilver : Concentrate)


[image]
[image]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20
설명
에너지 소드를 전방으로 날카롭게 찔러넣어 적들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입힌다. 보통 공격보다 크리티컬 확률이 적용된다. 멀티 모드 링커를 통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효과
20
MP 16 소비, 최대 6명의 적을 240%의 데미지로 2번 공격. 크리티컬 확률 30% 추가 적용
퀵실버 소드의 제2형태. 에너지 소드를 길게 늘어뜨리며 찌른다. 다른 퀵실버 소드 형태보다 퍼뎀도 높은데다가 추가 크리티컬 확률이 있어서 가장 자주 사용하게 된다.

4.1.3. 퀵실버 소드 : 도약(Quicksilver : Takeoff)


[image]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20
설명
에너지소드를 주위로 빠르게 휘두르며 부스터를 순간적으로 가동하여 점프한다. 멀티 모드 링커를 통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효과
20
MP 16 소비, 최대 8명의 적을 155%의 데미지로 2번 공격. 이온 쓰러스터와 연계 가능
퀵실버 소드의 제3형태. 도약하는 높이가 어정쩡하긴 하지만, 엄연한 상향 이동 스킬이다. 주로 스우 1페이즈의 레이저 회피나 2, 3페이즈의 전깃줄 회피, 카오스 반반의 어스퀘이크, 하드 반 레온의 파괴 섬광 회피에 쓰인다.
체공 중 사용이 가능하지만, 서든 프로펠 사용 후에 사용할 수는 없어서 컴뱃 스위칭 : 분열에 비해 활용도는 다소 떨어진다.

4.2. 이온 쓰러스터(Ion Thrust)


[image]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15
설명
충전된 서플러스 에너지를 이용해 이온 쓰러스터를 소환하여 전방의 적들에게 피해를 입히면서 밀어낸다. 스킬 키를 누르고 있으면 계속해서 밀어낸다. 일부 몬스터는 저항하여 밀리지 않는다.
효과
15
[서플라이]
에너지 3 소비, MP 6 소비, 최대 6명의 적을 60% 데미지로 밀어내며 공격. 8초 지속. 단, 에너지는 이온 쓰러스터를 소환할 때만 소비된다.

'''이온 쓰러스터!'''

'''전방으로 돌진!'''

속사형 밀격기. 지상 부유형 차량인 '이온 쓰러스터'를 소환해 방향키를 누른 방향으로 돌격한다. 이온 쓰러스터에 탑승하면 '''이동속도가 220%로 고정되며''' 앞으로 나아간다. 이속으로 치면 단연 원탑.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매그너스자쿰의 거미줄 슬로우로 인한 이동 스킬 제한 디버프를 무시한다.

4.3. 에피션시 파이프라인(Efficiency Streamline)


[image]
[image]
액티브(버프)/패시브
마스터 레벨
10
설명
일정 시간 동안 에너지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최대 HP 및 MP를 증가시킨다. 패시브 효과로 최대 HP와 최대 MP가 증가한다.
효과
10
MP 15 소비, 240초 동안 HP 및 MP 30% 증가
[패시브 효과 : HP 및 MP 1000 증가]

'''에피션시 파이프라인!'''

'''효율을 더 높여 볼까?'''

'''에너지 효율 재조정.'''

HP/MP 증가 패시브를 겸한 액티브 버프. 제논판 하이퍼 바디라고 보면 편하다. 이 스킬 역시 하이퍼 바디처럼 HP와 MP의 최대치만 증가시켜줄 뿐 최대치만큼 회복시켜주는 것은 아니라서 물약 제한이 있는 보스전에서는 버프가 끊기지 않게 유의해야 한다.

4.4. 제논 부스터(Xenon Booster)


[image]
[image]
액티브(버프)
마스터 레벨
10
설명
MP를 소비하여 일정 시간 동안 공격 속도를 2단계 증가시킨다.
필요 스킬 : 제논 마스터리 5레벨 이상
효과
10
MP 20 소비, 240초 동안 공격 속도 증가

'''제논 부스터!'''

'''가속한다!'''

공격속도 증가 액티브 버프.

4.5. 리니어 퍼스펙티브(Perspective Shift)


[image]
패시브
마스터 레벨
20
설명
적의 취약점을 꿰뚫는 시각을 활성화하여 크리티컬 확률을 증가시킨다.
3차 스킬 '듀얼브리드 디펜시브'를 익히기 위해 5레벨 이상 필요
효과
20
크리티컬 확률 40% 증가
크리티컬 확률 증가 패시브. 예전에는 서플러스 에너지를 4만큼 소비하는 액티브 버프였지만, 히오메 2nd 패치에서 패시브로 변경됐다.

4.6. 마이너리티 서포트(Structural Integrity)


[image]
패시브
마스터 레벨
5
설명
영구히 모든 능력치 증가
효과
5
모든 능력치 20 증가
올스탯 증가 패시브. 스킬 설명이 문장이 아니다.

4.7. 제논 마스터리(Xenon Mastery)


[image]
패시브
마스터 레벨
10
설명
숙련도 및 공격력이 증가한다.
4차 스킬 '제논 엑스퍼트'를 익히기 위해 10레벨 이상 필요
효과
10
숙련도 50%, 공격력 20 증가
숙련도 및 공격력 증가 패시브.

4.8. 멀티래터럴 Ⅲ(Multilateral Ⅲ)


[image]
패시브
마스터 레벨
1
설명
직접 AP를 투자한 능력치를 일정 수치 이상 맞추면 능력치에 따라 보너스를 받는다.
필요 스킬 : 멀티래터럴 Ⅱ 1레벨 이상
효과
1
STR 90 이상 시 : 스탠스 확률 7%
DEX 90 이상 시 : 모든 속성 내성 7%, 상태 이상 내성 7
LUK 90 이상 시 : 회피율 7%
STR/DEX/LUK 모두 90 이상 시 : 데미지 7% 증가, 최대 HP/최대 MP 5% 증가
멀티래터럴의 2차 강화 버전. 여기까지 스탠스 15%, 모든 속성 내성 15%, 상태 이상 내성 15, 회피율 15%, 데미지 15%, 최대 HP/MP 10%가 증가한다.

4.9. 핀포인트 로켓 1차 강화(Pinpoint Salvo Redesign A)


[image]
패시브
마스터 레벨
4
설명
핀포인트 로켓의 데미지를 강화한다.
필요 스킬 : 핀포인트 로켓 4레벨 이상
3차 스킬 '핀포인트 로켓 2차 강화'를 익히기 위해 1레벨 이상 필요

효과
4
핀포인트 로켓 데미지 40%p 증가
핀포인트 로켓의 퍼뎀을 1차로 증가시키는 패시브. 핀포인트 로켓의 퍼뎀이 발당 90%로 상승한다.

5. 3차: 제논(레벨 60)



5.1. 컴뱃 스위칭(Combat Switch)


'''멀티 모드 링커 적용 스킬.'''

5.1.1. 컴뱃 스위칭 : 폭발(Combat Switch : Explosion)


[image]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20
설명
전방으로 에너지 소드를 길게 늘린 뒤, 에너지를 폭발시켜 다수의 적에게 피해를 입힌다. 멀티 모드 링커를 통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효과
20
MP 20 소비, 최대 6명의 적을 250%의 데미지로 3번 공격

'''타겟, 섬멸한다.'''

컴뱃 스위칭의 제1형태. 퀵실버 소드 : 집중과 비슷한 공격 형태지만, 늘어뜨린 에너지 소드를 폭발시킨다는 차이점이 있다. 조율자의 섬세한 손길 1차 패치에서 동작 속도가 대폭 증가한 이후로는 격추와 더불어 3차 당시의 주력 스킬로 사용된다.

5.1.2. 컴뱃 스위칭 : 격추(Combat Switch : Air Whip)


[image]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20
설명
대각선 전방으로 에너지 소드를 휘둘러 피해를 입힌다. 공중의 적은 더 큰 피해를 입는다. 멀티 모드 링커를 통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효과
20
MP 20 소비, 최대 8명의 적을 270%의 데미지로 2번 공격. 공중에 뜬 적에게는 190% 추가 피해

'''컴뱃 스위칭!'''

컴뱃 스위칭의 제2형태. 에너지 소드를 크게 휘둘러 다수의 적을 공격한다. 상향 범위가 넓어보일 수 있으나, 다행히 네트의 피라미드에서 라인 침범을 할 정도로 넓지는 않다. 사용 후 경직이 거의 없고 동작속도가 빠른 만큼, 퍼지롭 매스커레이드의 경직을 불쾌하게 여기는 유저들은 이 스킬의 코어를 강화하기도 한다. 퍼지롭 매스커레이드에 비해 원킬컷이 높긴 하지만, 일단 원킬만 난다면 더 낫다.[7] 제논이 사용하는 스킬 중 굉장히 빠른 편으로, 무려 풀공속 시 딜레이가 '''600ms'''밖에 안 되기 때문에, 더블 점프 + 스킬 사용으로 퍼지롭 매스커레이드 : 폭격과 비교해보면 확연한 차이가 느껴지는 편. 다만, 특히 Y축 면에서는 폭격보다 엄연히 범위가 좁기 때문에 무조건 격추의 성능이 폭격보다 우월하다고 맹신해서는 안된다. 사냥터의 지형에 따라서 스킬을 바꿔가며 사용할 필요가 있다.
여담으로 이때 모션을 자세히 보면 알겠지만 에너지 소드를 전방으로 크게 휘두르고 난 후, 등 뒤로 집어넣는데 여기에도 공격판정이 있어 뒤에 있던 몹이 긁혀 죽는 경우도 있다. 다만 공격판정이 그렇게 넓지는 않아서 일부러 해보지 않는한 쉽게 볼 수 있는 장면은 아니다.

5.1.3. 컴뱃 스위칭 : 분열(Combat Switch : Fission)


[image]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20
설명
공중에서 아래의 적들에게 공격을 가한다. 다이아그널 체이스와 연계해서 사용할 수 있다. 멀티 모드 링커를 통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효과
20
MP 20 소비, 최대 8명의 적을 271%의 데미지로 3번 공격

'''피하지 마라.'''

'''닿아라.'''

컴뱃 스위칭의 제3형태. 퀵실버 소드 : 도약과 달리 체공 상태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체공하며 아래를 공격한다. 퀵실버 소드 : 도약에 비해 점프 높이는 다소 낮지만, 서든 프로펠과 순서 상관없이 섞어 쓸 수 있어 트리플 점프 이후 한번 더 도약할 수 있다. 보통 공격용으로는 잘 쓰이지 않고, 추가 이동기로만 쓰인다.

5.2. 다이아그널 체이스(Diagonal Chase)


[image]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20
설명
에어 부스터를 풀가동하여 폭발적인 힘으로 날아오르며 적들을 밀어낸다. 일부 몬스터는 저항하여 밀리지 않는다. 필라 스크램블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효과
20
MP 21 소비, 6명의 적 260% 데미지를 주며 밀어냄

'''다이아그널 체이스!'''

'''놓치지 않는다!'''

'''목표 추적!'''

대각선 상향 이동기. 부스터를 가동하여 공중에 떠오른다. 지면에 발을 붙이고 사용할 시 2번, 체공 중일 때는 1번 사용 가능하다. 또한 대각선으로 이동할 때 위쪽 발판의 바닥을 통과해서 이동했다면, 트리플 점프가 초기화되어 이동 직후에 한번 더 점프할 수 있다. 강제 이동 스킬이라 슈퍼 스탠스를 경직으로 치환할 수 있으나, 이동 거리가 너무 길어 계륵에 가깝다. 그리고 와일드헌터의 화이트 히트 러시처럼 공격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유시장이나 마이스터빌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공격 반사에도 반응한다.[8] 이와는 별개로 필라 스크램블과 연계할 수 있다는 문장이 있지만, 필라 스크램블 자체가 잘 안 쓰이기 때문에 그냥 없는 기능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5.3. 필라 스크램블(Gravity Pillar)


[image]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20
설명
중력에 반하는 에너지 필드를 펼쳐 적들을 띄운다. 멀리 있는 적은 더욱 높이 떠오르며 공중에 뜬 적은 에너지 필드의 영향으로 중력이 적게 적용되어 천천히 떨어진다. 일부 몬스터는 내성하여 띄워지지 않는다.
효과
20
MP 20 소비, 최대 6명의 적 301%의 데미지로 1번 공격하며 띄움

'''떠올라라!'''

'''모두 띄운다!'''

에어본 유발기. 전방에 반중력장을 깔아 범위 안의 일반 몬스터를 띄운다. 컴뱃 스위칭: 격추나 다이아그널 체이스와 연계 시너지가 있지만, 각각 단독으로서 훨씬 가치가 좋기 때문에 이 스킬은 반드시 버려진다.

5.4. 듀얼브리드 디펜시브(Hybrid Defenses)


[image]
[image]
액티브(버프)/패시브
마스터 레벨
20
설명
추가 회피율 100%, 이후 회피/피격 시마다 회피율과 받는 피해가 감소한다. 추가로 영구히 방어력이 증가한다.
필요 스킬 : 리니어 퍼스펙티브 5레벨 이상
효과
20
[서플라이]
에너지 7 소비, 추가 회피율 100% 증가, 회피 시마다 5%씩 추가 회피율 감소. 받는 피해 5% 감소. 10번 회피 시 해제.
[패시브 효과 : 모든 능력치 10 증가, 방어력 400 증가]

'''듀얼브리드 디펜시브, 발동!'''

'''그 공격, 허용할 수 없다.'''

'''네 공격은 닿지 않아.'''

서플러스 에너지를 소비해 회피율을 끌어올리는 액티브 버프. 확정 회피(100%)에서 시작해 회피할 때마다 확률이 점차 감소하며, 10번[9] 막아내면 회피율 버프가 사라진다. 서플러스 서플라이에서 피격/회피 시 서플러스 에너지가 60% 확률로 충전되는 효과는 그대로 적용되지만, 몸통박치기나 일반 공격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최대 HP에 비례한 피해는 못 막는다. 게다가 제논은 기본 회피율이 높아 이 스킬의 효용은 있으나 마나한 수준이므로, 사실상 서플러스 에너지 낭비라고 봐도 무방하다.

5.5. 이지스 시스템(Aegis System)


[image]
[image]
액티브(온/오프)
마스터 레벨
10
설명
피격/회피 시 일정 확률로 공격한 적에게 미사일을 발사한다. 발사된 미사일은 적의 공격 무시 및 공격 반사 상태의 적에게도 피해를 입힌다. 발동 시 짧은 시간 동안 발사 준비 시간이 필요하다. 스킬 사용 시 효과가 활성화되고 재사용 시 비활성화 되는 온오프 스킬
효과
10
피격/회피 시 100% 확률로 공격한 적에게 120%의 데미지를 입히는 미사일 3개 발사. 재사용 대기시간 1.5초
피격/회피 후 자동으로 공격하는 온/오프형 버프. 필드 몬스터의 어그로를 끌고 싶지 않다면 꺼놓는 편이 좋다. 대신 보스전에서는 공격 무시와 반사를 완전히 무시하고 피해를 입힌다는 점 때문에 조금이나마 딜로스를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보스전에서는 한 방 한 방이 뼈저리니, 일부러 얻어맞아서 이지스 시스템을 발동시킨다는 생각은 하지 않는 게 좋다.
여담으로 이 스킬은 현실의 구축함에 설치되는 이지스 시스템을 모티브로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데, 아이러니하게도 맞으면 반격하는 제논의 이지스 시스템과 달리 현실의 이지스 시스템은 맞기 전에 공격을 요격하는 방어형 무기체계이다. 이름인 이지스도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아테네의 방패인 아이기스의 영어명칭으로 궁극의 방패를 상징하는 명칭인데 어째서 방어력은 없고 공격에도 하자있는 묘한 스킬이 나왔는지는 의문.

5.6. 트라이앵글 포메이션(Triangulation)


[image]
[image]
패시브
마스터 레벨
5
설명
공격 시 일정 확률로 적에게 에어프레임을 출격시킨다. 에어프레임은 적의 주의를 끌어 적의 명중치를 감소시킨다. 에어프레임이 3개 중첩된 적을 한 번 더 공격하면 3개의 에어프레임이 적을 공격하며 공격 반사 상태의 적을 공격해도 피해를 입지 않는다.
효과
5
공격 시 30% 확률로 적에게 에어프레임을 추가. 최대 3개까지 중첩되며 3개가 중첩된 적을 공격하면 340%의 데미지로 세 번 공격. 에어플레임 중첩 당 적의 명중치 8% 감소
파이널 어택에 가까운 제논만의 추가타 발동 패시브. 공격 시마다 일정 확률로 적의 머리 위에 에어프레임이 추가되며, 세 개의 에어프레임이 모이면 에어프레임이 사라지면서 피해를 준다. 다단히트하는 스킬인 블레이드 댄싱이나 메가 스매셔와 궁합이 잘 맞는다. 은근히 퍼뎀이 높은데, 추가타 개념 답게 버추얼 프로젝션이 적용되지 않는데다, 생각보다 발동 횟수가 매우 적기때문에 점유율은 그렇다 할 게 못되는 편이다.
참고로 에어프레임이 뜬 적은 디버프, 즉 상태 이상에 걸린 것으로 취급된다. 카데나의 링크 스킬 인텐시브 인썰트의 상태 이상 추가 데미지 증가의 효과를 받을 수 있고, 모험가 도적의 링크스킬 발동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5.7. 버추얼 프로젝션(Manifest Projector)


[image]
[image]
액티브(버프)
마스터 레벨
20
설명
자신의 환영을 투사한다. 환영은 자신이 주는 피해의 일정비율만큼 적에게 피해를 입힌다. 자신의 HP에 비례하는 데미지를 입은 경우, 모습을 변화시키거나 움직임을 제한하는 공격을 받을 경우 사라진다. 환영은 핀포인트 로켓, 이지스 시스템, 소환수, 전직업 5차 스킬 및 일부 스킬은 복제할 수 없다.
효과
20
MP 100 소비, 자신과 동일한 행동을 하는 환영을 투사. 환영의 최종 데미지의 70%로 추가 타격. 환영은 최대 HP의 1000%만큼 피해를 입으면 사라진다.

'''버추얼 프로젝션, 가동!'''

'''가상화면, 출력.'''

'''나를 찾을 수 있겠어?'''

타수를 증가시키는 반영구성 액티브 버프. 제논판 쉐도우 파트너라고 봐도 무방하다. 다만 다른 추가 타격계 스킬과는 다르게 유일하게 '''지속시간 제한이 따로 없는 스킬'''이며, 캐릭터 최대 체력의 10배에 달하는 피해를 입어야지만 사라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 피해량의 경우 1번에 맞는 피해량이 아닌 누적된 피해량이 최대 체력의 10배에 달하는 경우 프로젝션이 사라지는 방식이다. 애당초 제논의 회피율은 높은 편이라 필드에서 맞을 일이 별로 없고, 보스전에서는 아카이럼이나 카오스 반반의 즉사 패턴이나 파풀라투스의 교차 레이저 즉사기가 아니면 이만한 피해량을 받을 일이 자주 없다.[10] 때문에 자연스레 신경쓰지 않게 된다.
다만, 카오스 블러디 퀸 레이드에서 자주 분신을 걸다보니 지속 데미지에 의해 피해량이 누적되어 자주 풀리게 된다. 또한 석화 계열 상태 이상과 카웅의 축소 광선을 맞을 경우 가차없이 꺼지니 주의할 것.

5.8. 멀티래터럴 Ⅳ(Multilateral Ⅳ)


[image]
패시브
마스터 레벨
1
설명
직접 AP를 투자한 능력치를 일정 수치 이상 맞추면 능력치에 따라 보너스를 받는다.
필요 스킬 : 멀티래터럴 Ⅲ 1레벨 이상
효과
1
STR 150 이상 시 : 스탠스 확률 10%
DEX 150 이상 시 : 모든 속성 저항 10%, 상태 이상 내성 10
LUK 150 이상 시 : 회피율 10%
STR/DEX/LUK 모두 150 이상 시 : 데미지 10% 증가, 최대 HP/최대 MP 10% 증가
멀티래터럴의 3차 강화 버전. 여기까지 스탠스 25%, 모든 속성 내성 25%, 상태 이상 내성 25, 회피율 25%, 데미지 25%, 최대 HP/MP 20%가 증가한다.

5.9. 엑스트라 서플라이(Emergency Resupply)


[image]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5
설명
MP를 소비하여 서플러스 에너지를 충전한다.
효과
5
MP 75 소비, 서플러스 에너지 10개 충전
재사용 대기시간 30초

'''엑스트라 서플라이!'''

'''추가 전력, 공급!'''

'''보조 동력, 가동!'''

서플러스 에너지를 즉시 충전하는 스킬. 접속한 지 얼마 되지 않았거나 서플러스 에너지를 소비하는 스킬들을 사용했을 경우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4차 후에는 주로 오파츠 코드 사용 후 에너지를 충전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5.10. 핀포인트 로켓 2차 강화(Pinpoint Salvo Redesign B)


[image]
패시브
마스터 레벨
4
설명
핀포인트 로켓의 데미지를 더욱 강화한다.
필요 스킬 : 핀포인트 로켓 1차 강화 4레벨 이상
4차 스킬 '핀포인트 로켓 최종 강화'를 익히기 위해 1레벨 이상 필요

효과
4
핀포인트 로켓 데미지 40%p 증가. 1차 강화와 중첩된다.
핀포인트 로켓의 퍼뎀을 2차로 증가시키는 패시브. 핀포인트 로켓의 퍼뎀이 발당 130%로 상승한다.

6. 4차: 제논(레벨 100)


  • 필요 마스터리 북
마스터리 북 20 : 8개
마스터리 북 30 : 8개

6.1. 블레이드 댄싱(Beam Dance)


[image]
[image]
[image]
[image]
액티브(즉발/키다운)
마스터 레벨
30
설명
에너지 소드를 길게 늘어뜨려 춤추듯이 휘두르며 주위 다수의 적에게 피해를 입힌다.
효과
30
MP 9 소비, 최대 8명의 적을 260% 데미지로 1번 공격

'''히야아아아아~압!'''

'''에너지 소드, 풀 가동!!'''

'''블레이드 댄싱!'''

속사형 다수 공격기. 에너지 소드를 길게 늘어뜨려 제자리에서 빙빙 돈다. 120%의 이동속도로 고정되어 좌우 방향키 및 상/하단 점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초당 8.33회(120ms), 버츄얼 프로젝션 적용 시 초당 16.66타를 공격한다. 그러나 말뚝딜 기준 타수는 서버가 원활하다는 가정 하에 블레이드 댄싱이 1분 1000타, 저격이 1분 1120타로 저격이 앞선다. 게다가 타당 퍼뎀도 낮고, 공격 범위도 비좁아서 사실상 포톤 레이와의 궁합 하나만 보고 쓰게 된다.[11]

6.2. 퍼지롭 매스커레이드(Mecha Purge)


'''멀티 모드 링커 적용 스킬.''' 대인 특화형 기술인 저격과 사냥 특화형 기술인 포격과 폭격으로 나뉜다.

6.2.1. 퍼지롭 매스커레이드 : 저격(Mecha Purge : Snipe)


[image]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30
설명
루티가 적의 치명적인 단점을 탐색한 뒤, 하이테크 스나이퍼 라이플로 단일 타겟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다. 최대 HP가 가장 높은 적을 우선 공격하고 멀티 모드 링커를 통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효과
30
MP 25 소비, 최대 1명의 적에게 345% 데미지로 7번 공격, 공격 시 적의 방어율 30% 추가 무시

'''입자 가속, 발사!'''

'''타겟 록 온, 발사!'''

'''루티, 기다렸지?'''

퍼지롭 매스커레이드의 제1형태이자 제논의 보스 주력기. 단일 대상을 루티가 조준하고 캐릭터가 하이테크 스나이퍼 라이플을 장착한 뒤 강력하게 공격한다. 버추얼 프로젝션 적용 시 14타를 공격하며 추가 방무까지 붙어있다. 잡몹 소환을 사용하는 보스의 경우 멀티 모드 링커로 폭격과 전환해가며 사용한다. 다만 선행 동작이 상당히 긴 편이기 때문에[12] 최대 공속(2등급)을 달성하지 못할 경우 더더욱 체감된다.

6.2.2. 퍼지롭 매스커레이드 : 포격(Mecha Purge : Bombard)


[image]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30
설명
루티가 전차로 전방을 향해 포격하여 넓은 지역에 피해를 입힌다. 멀티 모드 링커를 통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효과
30
MP 25 소비, 최대 8명의 적에게 344% 데미지로 4번 공격

'''전방에 일제 포격!'''

'''전 포문 개방, 발사!'''

'''루티, 네 차례야!'''

퍼지롭 매스커레이드의 제2형태. 전방의 적 다수를 전차의 에너지 포격으로 공격한다. 폭격에 비해 퍼뎀이 낮고 대상 수가 적은 대신, 범위가 전방에 치중되어 있으며 동작 속도가 폭격에 비해 빠르다.[13] 다만 적중 시의 효과음이 지나치게 큰데, 여기에 버추얼 프로젝션까지 겹치면 소음이 두 배가 된다. 음량 조정은 미리 알아서 할 것.
일자 지형이나 가로로 긴 지형에서는 폭격의 기나긴 동작 시간이 걸리적거리기 쉬우므로, 포격을 주력기로 사용해서 사냥하기도 한다.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면서 포격을 난사하는 방식.

6.2.3. 퍼지롭 매스커레이드 : 폭격(Mecha Purge : Bombardment)


[image]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30
설명
루티가 폭격기를 타고 나타나 좌우의 적들을 향해 미사일과 레이저로 폭격한다. 멀티 모드 링커를 통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효과
30
MP 25 소비, 최대 15명의 적에게 398% 데미지로 5번 공격

'''RX-07, 출격!'''

'''목표 지점에 집중 포화!'''

'''루티, 도와줘!'''

퍼지롭 매스커레이드의 제3형태. 루티가 RX-07[14]이라는 이름의 폭격기를 타고 나타나 캐릭터를 중심으로 머리 위쪽과 전후방 범위를 모두 폭격한다.[15] 포격에 비해 전방 범위가 조금 짧으며 사용 후의 경직이 긴 대신, '''쿨다운 없는 스킬 중에서는 이례적으로 15개체를 동시에 타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퍼뎀도 포격보다 높고, 후방도 공격 가능한데다 위측 범위가 넓어서 층이 여러 개로 나뉜 필드[16]에서 사냥할 때 유용하다.
총합 퍼뎀은 1,990%이며 버츄얼 프로젝션 적용 기준 3,383%의 퍼뎀으로 공격하기에 원킬컷은 현저히 낮다. 그리고 스킬 사용 시 '''시전 당시의 위치를 기준으로''' 범위가 결정되는 관계상 긴 딜레이에 비해 점샷은 생각보다 간단한데 트리플 점프 후 폭격을 쏴주면 복층 지형의 몹들을 다 맞힐 수 있다. 시전 속도도 736.92ms로 블댄보다 훨씬 빠르다.

6.3. 홀로그램 그래피티(Hypogram Field)


'''홀로그램 그래피티!'''

'''홀로그램 전개!'''

'''공간을 지배한다!'''

'''멀티 모드 링커 적용 스킬.'''
전방에 홀로그램 필드를 전개하는 보조 공격 및 파티원 지원형 스킬. 명색은 이렇지만 파티원 지원용인 홀로그램 그래피티 : 지원은 오히려 트롤링으로 작용할 수 있기에 안 쓰인다. 따라서 설치형 보조 공격기로만 취급한다.

6.3.1. 홀로그램 그래피티 : 관통(Hypogram Field : Penetrate)


[image]
[image]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30
설명
홀로그램 필드를 전개한 뒤 에너지 볼을 생성하여 에너지 볼이 몬스터에 닿을 때마다 해당 몬스터에게 피해를 입힌다. 에너지 볼은 공격 반사 상태의 적을 공격해도 피해를 입지 않는다. 멀티 모드 링커를 통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5차 스킬 '홀로그램 그래피티 : 융합'을 익히기 위해 30레벨 이상 필요
효과
30
MP 31 소비, 20초 동안 홀로그램 필드 생성. 볼이 몬스터에게 닿을 때마다 213% 데미지.
재사용 대기시간 30초
홀로그램 그래피티의 제1형태. 초록색 홀로그램 필드 안에서 에너지 구체가 튕겨다닌다. 그리고 구체가 적에 닿을 때마다 필드 안의 적들을 자동으로 공격한다. 퍼뎀은 심심하지만 그럭저럭 재미는 볼 정도. 크기가 큰 몬스터나 보스를 상대로 사용한다.

6.3.2. 홀로그램 그래피티 : 역장(Hypogram Field : Force Field)


[image]
[image]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30
설명
홀로그램 필드를 전개한 뒤 에너지볼을 생성하여 에너지볼이 필드에 닿을 때마다 필드 안의 적에게 피해를 입힌다. 에너지볼은 공격 반사 상태의 적을 공격해도 피해를 입지 않는다. 멀티 모드 링커를 통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5차 스킬 '홀로그램 그래피티 : 융합'을 익히기 위해 30레벨 이상 필요
효과
30
MP 31 소비, 20초 동안 홀로그램 필드 생성. 볼이 홀로그램 필드에 닿을 때마다 최대 8명의 적에게 400% 데미지. 재사용 대기시간 30초
홀로그램 그래피티의 제2형태. 보라색 홀로그램 필드 안에서 에너지 구체가 튕겨다닌다. 그리고 구체가 '''필드 벽에 닿을 때'''마다 필드 안의 적들을 자동으로 공격한다. 관통보다 공격 시의 퍼뎀은 높지만, '구체가 홀로그램 필드에 닿을 때' 라는 조건이 있어서 상황을 좀 탄다. 다만 이 점은 하이퍼 패시브인 홀로그램 그래피티 : 스피드를 찍으면 구체의 속도가 매우 빨라지므로 거의 없는 단점이 된다. 다른 홀로그램에 비해 퍼뎀이 높고 데미지 주기도 빨라 사냥, 보스에서의 홀로그램은 주로 이 역장 형태를 사용하게 된다.[17]

6.3.3. 홀로그램 그래피티 : 지원(Hypogram Field : Support)


[image]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30
설명
에너지 필드를 전개한 뒤 필드 안에 있는 파티원의 최대 HP를 증가시키고 필드 안에 있는 파티원이 회피할 때 서플러스 에너지를 1개 충전한다. 해당 효과는 제논이 필드 안에 있을 때에만 적용된다. 멀티 모드 링커를 통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5차 스킬 '홀로그램 그래피티 : 융합'을 익히기 위해 30레벨 이상 필요
효과
30
MP 31 소비, 20초 동안 홀로그램 필드 생성. 에너지 필드 안의 파티원 최대 HP 10% 증가, 필드 안의 파티원이 회피 시 서플러스 에너지 1개 충전.
재사용 대기시간 30초
홀로그램 그래피티의 제3형태. 연한 빨간색 홀로그램 필드가 전개된다. 관통과 역장과는 달리 에너지 구체가 생성되지 않는 대신, 필드 안쪽에 위치한 파티원들의 체력을 올려주고 파티원이 회피할 때마다 서플러스 에너지를 충전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상위 보스로 갈수록 회피율은 무용지물이고, 보스들의 위험한 패턴은 대부분 최대 HP 비례 피해를 입히는데 이걸 설치하면 HP바에 빈 칸이 생기면서 최대 HP의 비율이 100%에서 83%로 급감한다.[18] 게다가 상위 보스전에서는 물약 쿨타임이 있고 관통, 역장과는 달리 공격 기능도 없어서 사냥과 보스를 통틀어 어디에도 쓸모없다.

6.4. 오파츠 코드(OOPArts Code)


[image]
[image]
액티브(버프)
마스터 레벨
30
설명
일정 시간 동안 현재로서는 재현될 수 없는 강력한 힘을 발휘하여 데미지와 보스 몬스터 공격 시 데미지를 증가시킨다.
효과
30
[서플라이]
에너지 20 소비, 30초 동안 최종 데미지 25%, 보스 몬스터 공격 시 데미지 30% 증가

'''오파츠 코드, 입력!'''

'''이걸 쓰면 어떻게 될까? 나도 궁금해.'''

서플러스 에너지를 전부[19] 소모하여 최종 데미지와 보공을 증가시키는 액티브 버프. 효과는 좋아보일지 몰라도 제논의 공격 관련 기본 능력치가 심각하게 부실한 점과 서플러스 에너지를 모두 소모한다는 리스크를 생각하면 심심한 효과임은 부정할 수 없다.[20]
이 스킬 역시 버프 지속시간 증가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스공 불안정성으로 인한 피해량 누수를 최소화시키고 생존력을 조금이라도 높이기 위해 버프 지속시간 증가가 선호된다. 이유는 당연히 오파츠 코드 무한 지속. 그래서 모자란 공속은 보통 몬스터 파크의 익스트림 그린 물약으로 때운다.

6.5. 인스턴트 셔크(Instant Shock)


[image]
[image]
패시브
마스터 레벨
30
설명
회피 실패 시, 일정 확률로 추가 회피할 수 있다. 추가로 이지스 시스템으로 발사되는 미사일의 공격력을 증가시킨다.
필요 스킬 : 이지스 시스템 10레벨 이상
효과
30
회피 실패 시 40% 확률로 추가 회피. 추가로, 이지스 시스템으로 발사되는 미사일 데미지 20% 증가.
이지스 시스템을 강화하는 추가 회피율 패시브. 덕분에 제논은 필드에서 피격당할 일이 적다.

6.6. 제논 엑스퍼트(Xenon Expert)


[image]
패시브
마스터 레벨
30
설명
숙련도를 높이고 공격력과 크리티컬 데미지가 증가한다.
필요 스킬 : 제논 마스터리 10레벨 이상
효과
30
숙련도 증가량 70%로 증가. 공격력 30만큼 증가, 크리티컬 데미지 8% 증가.
웨폰 엑스퍼트 계열 패시브.

6.7. 타임 캡슐(Temporal Pod)


[image]
[image]
액티브(버프)
마스터 레벨
1
설명
시간의 흐름을 왜곡시키는 타임 캡슐을 설치하여 주위 파티원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매우 빠른 속도로 감소시킨다. 단, 피격 시 타임 캡슐이 파괴되며 재사용 대기시간 초기화의 효과를 받지 않는 스킬에는 효과가 없다.
효과
1
MP 100 소비. 60초 동안 주위 파티원들의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재사용 대기시간 120초.

'''지금부터 시간은 너의 편이 아니다.'''

'''시간을 조종한다.'''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속도를 증폭시키는 스킬. 4차 전직을 하자마자 자동으로 습득되어 있다. 사용 시 제논이 캡슐 안에 들어가며, 제논이 들어간 동안 쿨다운 감소 속도가 약 3배[21]로 증가한다. 그러나 제논은 5차 스킬의 의존도가 큰데, 정작 5차 스킬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그리고 지속 중에는 아무 행동도 취할 수 없고, 얻어맞으면 취소되기까지 한다. 차라리 그 시간에 다른 스킬 몇 번 더 쓰는 게 낫다.

6.8. 메이플 용사(Maple Warrior)


[image]
액티브(버프)
마스터 레벨
30
설명
일정 시간 동안 파티원의 모든 능력치를 일정 퍼센트만큼 증가시켜 준다. 메이플 용사, 시그너스 나이츠, 노바의 용사, 레프의 용사, 이계의 용사, 아니마의 용사, 륀느의 가호는 중첩되지 않는다.
효과
30
MP 70 소비, 900초 동안 AP를 직접 투자한 모든 능력치 15%씩 증가

6.9. 용사의 의지(Hero's Will)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5
설명
정신을 집중하여 상태 이상으로부터 벗어난다. 사용 후 3초 동안 상태 이상 면역. 단, 일부 상태 이상 효과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효과
5
MP 30 소비, 재사용 대기시간 360초

6.10. 오펜시브 매트릭스(Offensive Matrix)


[image]
패시브
마스터 레벨
30
설명
공격 매트릭스를 활성화하여 공격 시 적의 방어를 일정 부분 무시하고 적의 공격에 물러서지 않도록 한다.
효과
30
스탠스 확률 50%, 공격 시 적의 방어율 무시 30% 증가
스탠스 및 방무 제공 패시브.

6.11. 멀티래터럴 Ⅴ(Multilateral Ⅴ)


[image]
패시브
마스터 레벨
1
설명
직접 AP를 투자한 능력치를 일정 수치 이상 맞추면 능력치에 따라 보너스를 받는다.
필요 스킬 : 멀티래터럴 Ⅳ 1레벨 이상
효과
1
STR 260 이상 시 : 스탠스 확률 10%
DEX 260 이상 시 : 모든 속성 내성 10%, 상태 이상 내성 10
LUK 260 이상 시 : 회피율 10%
STR/DEX/LUK 모두 260 이상 시 : 데미지 10% 증가, 최대 HP/최대 MP 10% 증가
멀티래터럴의 4차 강화 버전. 여기까지 스탠스 35%, 모든 속성 내성 35%, 상태 이상 내성 35, 회피율 35%, 데미지 35%, 최대 HP/MP 30%가 증가한다.

6.12. 핀포인트 로켓 최종 강화(Pinpoint Salvo Perfect Design)


[image]
패시브
마스터 레벨
10
설명
핀포인트 로켓의 데미지를 극대화한다.
필요 스킬 : 핀포인트 로켓 1레벨 이상
효과
10
핀포인트 로켓 데미지 100%p 증가. 1차, 2차 강화와 중첩된다.
핀포인트 로켓의 퍼뎀을 마지막으로 증가시키는 패시브. 핀포인트 로켓의 퍼뎀이 발당 230%로 상승한다.

6.13. 멀티래터럴 Ⅵ(Multilateral Ⅵ)


[image]
패시브
필요 레벨
200
마스터 레벨
1
설명
직접 AP를 투자한 능력치를 일정 수치 이상 맞추면 능력치에 따라 보너스를 받는다. 200레벨 달성 시 자동으로 습득한다.
필요 스킬 : 멀티래터럴 Ⅴ 1레벨 이상
효과
1
STR 330 이상 시 : 스탠스 확률 5%
DEX 330 이상 시 : 모든 속성 내성 5%, 상태 이상 내성 5
LUK 330 이상 시 : 회피율 5%
STR/DEX/LUK 모두 330 이상 시 : 데미지 5% 증가
멀티래터럴의 최종 강화 버전. 따로 스킬 포인트를 투자하지 않고도 200레벨 달성 시 자동으로 습득된다. 여기까지 스탠스 40%, 모든 속성 내성 40%, 상태 이상 내성 40, 회피율 40%, 데미지 40%, 최대 HP/MP 30%가 증가한다.
200레벨 이후 제논은 스탠스 확률이 90%가 되며 나머지 10%는 하이퍼 스탯을 찍어주면 손쉽게 100% 스탠스를 자력으로 확보할 수 있다.

7. 하이퍼 스킬: 제논(레벨 140)



7.1. 스킬 강화 패시브


블레이드 댄싱-리인포스, 퍼지롭 매스커레이드-리인포스, 홀로그램 그래피티 3종으로 고정된다.

7.1.1. 블레이드 댄싱-리인포스(Beam Dance - Reinforce)


[image]
패시브
필요 레벨
140
마스터 레벨
1
설명
블레이드 댄싱의 공격력을 증가시킨다.
효과
1
데미지 20% 증가
포톤 레이와의 궁합 때문에 추천된다.

7.1.2. 블레이드 댄싱-패스트 무브먼트(Beam Dance - Blur)


[image]
패시브
필요 레벨
150
마스터 레벨
1
설명
블레이드 댄싱 스킬 사용 시 이동속도를 증가시킨다.
효과
1
스킬 사용 시 이동속도 10 증가
증가하는 수치가 고작 10밖에 되지 않아 의미가 없다.

7.1.3. 블레이드 댄싱-엑스트라 타겟(Beam Dance - Spread)


[image]
패시브
필요 레벨
180
마스터 레벨
1
설명
블레이드 댄싱의 최대 공격 가능한 몬스터 수를 증가시킨다.
효과
1
최대 공격 가능한 몬스터 수 2 증가
이걸 찍으면 10개체나 공격하지만 이미 8개체로도 충분하므로 안 찍어도 불편함은 없다.

7.1.4. 퍼지롭 매스커레이드-리인포스(Mecha Purge - Reinforce)


[image]
패시브
필요 레벨
140
마스터 레벨
1
설명
퍼지롭 매스커레이드의 데미지를 증가시킨다.
효과
1
데미지 20% 증가
필수. 퍼지롭 매스커레이드 3종에 모두 적용된다.

7.1.5. 퍼지롭 매스커레이드-이그노어 가드(Mecha Purge - Guardbreak)


[image]
패시브
필요 레벨
165
마스터 레벨
1
설명
퍼지롭 매스커레이드의 방어무시 비율을 증가시킨다.
효과
1
방어무시 비율 10% 증가
툴팁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저격에만 적용된다. 디버프 스킬을 제외한 모든 액티브 스킬의 방무 증가 옵션은 곱연산 복리이기 때문에, 이 스킬을 습득한 후 저격의 추가 방무는 40%가 아닌 37%가 된다. 포톤 레이와의 궁합을 생각한다면 블레이드 댄싱-리인포스의 효용이 더 높으므로 비추천.

7.1.6. 퍼지롭 매스커레이드-엑스트라 타겟(Mecha Purge - Spread)


[image]
패시브
필요 레벨
180
마스터 레벨
1
설명
퍼지롭 매스커레이드 : 포격의 최대 공격 가능한 몬스터 수를 증가시킨다.
효과
1
최대 공격 가능한 몬스터 수 2 증가
이걸 찍으면 10개체나 공격하지만 이미 8개체로도 충분하므로 안 찍어도 불편함은 없다. 어지간히 돈이 많은 유저라면 사냥할때 한정으로 딴 걸 하나 빼고 찍어줘도 좋다.

7.1.7. 홀로그램 그래피티-리인포스(Hypogram Field - Reinforce)


[image]
패시브
필요 레벨
150
마스터 레벨
1
설명
에너지볼이 주는 피해를 증가시킨다.
효과
1
에너지볼이 주는 피해 10% 증가
'''아래부터 모두 필수 스킬.''' 모든 홀로그램 그래피티 관련 패시브는 5차 스킬인 홀로그램 그래피티 : 융합에도 적용된다.

7.1.8. 홀로그램 그래피티-스피드(Hypogram Field - Speed)


[image]
패시브
필요 레벨
180
마스터 레벨
1
설명
홀로그램 필드 안에서 움직이는 응축 에너지볼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킨다.
효과
1
홀로그램 필드 안에서 움직이는 응축 에너지볼의 이동속도 증가.

7.1.9. 홀로그램 그래피티-퍼시스트(Hypogram Field - Persist)


[image]
패시브
필요 레벨
190
마스터 레벨
1
설명
홀로그램 필드의 유지 시간을 증가시킨다.
효과
1
홀로그램 필드의 유지 시간 10초 증가

7.2. 공격 / 버프 액티브



7.2.1. 아마란스 제네레이터(Amaranth Generator)


[image]
[image]
액티브(버프)
필요 레벨
140
마스터 레벨
1
설명
무한의 동력을 제공하는 아마란스엔진을 가동하여 일정 시간 동안 에너지가 감소하지 않으며, 사용 즉시 최대치까지 충전된다.
효과
1
MP 100 소비, 에너지 최대치까지 충전, 10초 동안 감소하지 않는다.
재사용 대기시간 90초

'''아마란스 제너레이터, 가동!!'''

'''무한의 에너지, 시동!'''

서플러스 에너지가 20 미만인 경우 즉시 20으로 충전하고, 10초 동안 소비되지 않게 하는 액티브 버프. 대개 게임 시작 직후 에너지가 0일 때 버프를 가동하기 위해서, 또는 사냥과 보스전에서 오버로드 모드가 재사용 대기시간 중일 때 오파츠 코드의 에너지 소비량을 감당하기 위해 사용한다.

7.2.2. 컨파인 인탱글(Entangling Lash)


[image]
[image]
[image]
액티브(즉발)
필요 레벨
160
마스터 레벨
1
설명
전방 다수의 적들에게 에너지 소드를 휘둘러 일부 버프를 해제하고 결박하여 행동 불가 상태로 만든다. 결박된 적은 행동 불가 시간 동안 버프 효과가 적용될 수 없도록 제한된다. 해제되는 버프는 공격력/마력 증가, 방어력 증가, 하드 스킨이다.
공격을 받은 적은 90초 동안 행동 불가 상태 이상에 저항하여 컨파인 인탱글 및 다른 스킬로 인한 행동 불가 상태 이상에 걸리지 않는다.
효과
1
MP 200 소비, 최대 15명의 적에게 700% 데미지로 4번 공격. 100% 확률로 대상의 모든 버프를 해제하고 10초 동안 행동 불가.
컨파인 인탱글로 적에게 준 데미지에 따라 행동 불가 지속시간 최대 100% 증가
재사용 대기시간 180초

'''컨파인 인탱글!'''

'''항복해라!'''

'''벗어날 수 없다!'''

바인드(행동 불가) 유발용 공격기 겸 크래시. 다만 크래시가 어떤 의미도 없는 지금은 그냥 바인드랑 다를 바 없다. 에너지 소드를 길게 늘어뜨려 전방의 적 다수를 공격해 바인드를 유발한다. 바인드에 걸린 적에게서는 전기장에 갇히는 이펙트가 보인다.

7.2.3. 멜트다운 익스플로젼(Orbital Cataclysm)


  • 남캐 전용 이펙트
[image]
  • 여캐 전용 이펙트
[image]
  • 디버프
[image]
[image]
액티브(즉발/버프)
필요 레벨
190
마스터 레벨
1
설명
우주로부터 지상의 모든 것을 태워버리는 강력한 레이저 포격을 한다. 사용 후 일정 시간 동안 데미지가 증가한다.
효과
1
MP 200 소비, 최대 15명의 적에게 900% 데미지로 6번 공격, 공격을 받은 적은 10초 동안 방어력 30% 감소, 시전 동작 중 무적.
사용 후 25초 동안 데미지 10% 증가
재사용 대기시간 50초

'''멜트다운 익스플로젼!'''

'''모두... 녹아버려라!!!'''

'''임계점을 넘어!'''

방어력 감소 디버프와 데미지 증가를 겸한 '''무적''' 광범위 공격기. 사용 시 캐릭터의 성별에 따라 제논의 일러스트[22]가 나오며, 주변에 광범위 위성 폭격을 가한다. 디버프와 버프가 같이 있지만, 효과가 미미한데다 저격 2방 정도밖에 안되는 낮은 화력 덕에 무적기로서의 입지가 확고하다.

8. 5차: 제논(레벨 200) / V 매트릭스



8.1. 스킬 코어


제논은 하이브리드형 직업군인 관계로 도적과 해적의 공용 스킬들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8.1.1. 베놈 버스트(Venom Burst)(도적 공통)


[image]
[image]
[image]
'''베놈 버스트'''

'''액티브(즉발)/패시브'''
'''마스터 레벨'''
25(+5)
'''설명'''
중독된 적의 몸 속에 있는 독을 폭발시켜 피해를 주고 주변의 적에게 전이시킨다.
'''효과'''
'''25'''
MP 300 소비, 12명의 적에게 해당 적이 가지고 있는 모든 도트 데미지를 소비하여 해당 도트 데미지가 끝날 때까지 받을 모든 데미지의 100%를 한 번에 주고 1000%[23]의 데미지로 6번 추가 공격
추가 공격은 적이 가지고 있었던 도트 데미지 수마다 최종 데미지가 15% 증가하며 최대 5개까지 적용
이후 주변에 있는 최대 10명의 적에게 폭발을 일으킨 적이 가지고 있던 도트 데미지 전이
재사용 대기시간 8초
[패시브 효과 : 공격 시 50% 확률로, 8초 동안 1초당 310%[* (160+스킬 레벨×6)%] 데미지의 도트 데미지 추가]
'''30'''
MP 300 소비, 12명의 적에게 해당 적이 가지고 있는 모든 도트 데미지를 소비하여 해당 도트 데미지가 끝날 때까지 받을 모든 데미지의 100%를 한 번에 주고 1100%의 데미지로 6번 추가 공격
추가 공격은 적이 가지고 있었던 도트 데미지 수마다 최종 데미지가 15% 증가하며 최대 5개까지 적용
이후 주변에 있는 최대 10명의 적에게 폭발을 일으킨 적이 가지고 있던 도트 데미지 전이
재사용 대기시간 8초
[패시브 효과 : 공격 시 50% 확률로, 8초 동안 1초당 340% 데미지의 도트 데미지 추가]
스킬 자체의 설정, 효과, 성능 3박자 모두 나사가 빠져서 대다수의 제논 유저는 버린다. 패시브의 지속 피해조차 카데나의 링크 스킬의 상추뎀 보정을 받지 못하고, 제논은 자체적으로 그 어떤 지속 피해 스킬도 지니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8.1.2. 로디드 다이스(Loaded Dice)(해적 공통)


[image]
[image]
'''로디드 다이스'''

'''액티브(온/오프)/패시브'''
'''마스터 레벨'''
25(+5)
'''설명'''
럭키 다이스로 주사위를 굴릴 때 주사위를 1개 더 던지고 주사위의 눈을 원하는 것으로 고정시킨다. 스킬 사용 후 숫자키로 주사위의 눈을 선택할 수 있다. 럭키 다이스가 없는 직업은 럭키 다이스 스킬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자신이 정한 눈이 나오는 주사위 1개를 던진다.
'''효과'''
'''25'''
HP 1000 소비, 주사위 1개의 눈을 정할 수 있음
더블 럭키 다이스가 있는 직업이 주사위 2개의 눈이 같을 경우 마지막 주사위가 같은 눈이 나올 확률 50% 감소
재사용 대기시간 : 10초
[패시브 효과 : 공격력 35[* 10+스킬 레벨] 증가]
'''30'''
HP 1000 소비, 주사위 1개의 눈을 정할 수 있음
더블 럭키 다이스가 있는 직업이 주사위 2개의 눈이 같을 경우 마지막 주사위가 같은 눈이 나올 확률 50% 감소
재사용 대기시간 : 10초
[패시브 효과 : 공격력 40 증가]
선택형 액티브 버프. 모험가 해적과 메카닉이 가지고 있는 럭키 다이스의 강화 스킬로, 주사위의 눈을 고정하고 그 효과를 받는다.[24] 보스전에서는 5번 효과인 데미지 20% 증가가 쓰이고, 사냥에서는 6번 효과인 획득 경험치 30% 증가 효과가 쓰인다. 제논의 저열한 사냥 능력에 한줄기 빛이 되는 중요한 스킬이다.

8.1.2.1. 럭키 다이스(Roll of the Dice)

[image]
'''럭키 다이스[25]'''

'''액티브(버프)'''
'''마스터 레벨'''
25(+5) [26]
'''설명'''
주사위를 던져 자신의 행운을 시험한다. 주사위의 결과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랜덤 버프를 획득할 수 있지만, 1이 나올 경우에는 아무 일도 발생하지 않는다.
'''효과'''
'''30'''
HP 300 소비, 주사위 버프 지속시간 180초, 재사용 대기시간 180초 [27]
<rowbgcolor#800000> '''1'''
'''2'''
'''3'''
'''4'''
'''5'''
'''6'''
럭키 다이스 재사용 대기시간 50% 감소
방어력 30% 증가
최대 HP와 MP 20% 증가
크리티컬 확률 15% 증가
'''데미지 20% 증가'''
'''획득 경험치 30% 증가'''
주사위의 눈에 따라 버프 효과가 결정되는 액티브 버프. 코어칸에 로디드 다이스를 장착하면 럭키 다이스 스킬이 같이 생긴다. 로디드 다이스로 원하는 주사위 눈을 찍어준 다음에 럭키 다이스를 발동하면 된다. 보통 5, 6번을 주로 사용한다.

8.1.3. 레지스탕스 라인 인팬트리(Resistance Infantry)(레지스탕스 공통)


[image]
[image]
[image]
[image]
'''레지스탕스 라인 인팬트리'''

'''액티브(버프)'''
'''마스터 레벨'''
25(+5)
'''설명'''
총으로 원거리 공격을 하는 레지스탕스 보병대를 소환한다. 보병대는 공격 반사의 적을 공격해도 피해를 입지 않는다.
'''효과'''
'''25'''
MP 650 소비, 10초 동안 매 공격마다 최대 12명의 적에게 415%[28] 데미지로 9번 공격
재사용 대기시간 25초
'''30'''
MP 650 소비, 10초 동안 매 공격마다 최대 12명의 적에게 455% 데미지로 9번 공격
재사용 대기시간 25초
설치형 공격 스킬. 설치기라 버추얼 프로젝션의 영향은 받지 않지만, 피해량이 제법 쏠쏠해서 극딜 타이밍에 사용한다.

8.1.4. 레디 투 다이(Last Resort)(도적 공통)


[image]
[image]
[image]
'''레디 투 다이'''

'''액티브(버프)/패시브'''
'''마스터 레벨'''
25(+5)
'''설명'''
죽음을 불사하고 적을 무찌를 필사의 각오를 다진다. 레디 투 다이 상태에서 스킬을 다시 사용하여 각오를 더 강하게 할 수 있다.
'''효과'''
'''25'''
최대 HP의 10% 소비, 30초 동안 추가 회피를 포함한 회피율 감소 및 최종 데미지 증가, 최대 HP의 일정 비율로 피해를 입히는 공격을 받을 경우 '''피격 데미지 증가'''
1단계 지속 중 스킬 재사용 시 2단계 진입하며 남은 지속시간 50%로 감소, 2단계 지속 중 스킬 재사용 시 스킬 종료
1단계 : 총 회피율의 20% 감소, 피격 데미지 10% 증가, 최종 데미지 12% 증가
2단계 : 총 회피율의 '''90%''' 감소, 피격 데미지 '''40%''' 증가, 최종 데미지 35% 증가[29]
재사용 대기시간 78초[30]
[패시브 효과 : 공격력 25 증가[* 레벨 당 1 증가]]
'''30'''
최대 HP의 10% 소비, 30초 동안 추가 회피를 포함한 회피율 감소 및 최종 데미지 증가, 최대 HP의 일정 비율로 피해를 입히는 공격을 받을 경우 '''피격 데미지 증가'''
1단계 지속 중 스킬 재사용 시 2단계 진입하며 남은 지속시간 50%로 감소, 2단계 지속 중 스킬 재사용 시 스킬 종료
1단계 : 총 회피율의 20% 감소, 피격 데미지 10% 증가, 최종 데미지 13% 증가
2단계 : 총 회피율의 '''90%''' 감소, 피격 데미지 '''40%''' 증가, 최종 데미지 36% 증가
재사용 대기시간 75초
[패시브 효과 : 공격력 30 증가]
생존력과 딜량을 맞바꾸는 버프. 회피율을 깎고 피격 시 피해량을 증가시키는 대신 최종 데미지를 대폭 향상시킨다. 2단계 발동 기준으로 최대 체력의 약 72%에 해당하는 데미지를 입을 경우 즉사한다. 벨룸의 본체가 땅 밑에서 튀어나오는 공격이나 피에르의 우산 찌르기에 맞을 경우 풀피에서도 바로 비석을 세울 수 있으니 주의하자.

8.1.5. 오버 드라이브(Overdrive)(해적 공통)


[image]
[image]
'''오버 드라이브'''

'''액티브(버프)'''
'''마스터 레벨'''
25(+5)
'''설명'''
무기를 혹사시켜 일정 시간 공격력을 더 이끌어 낸다. 스킬이 종료된 후 혹사된 무기는 일정 시간 성능이 감소하며 오버 드라이브의 재사용 대기시간 동안 무기를 교체할 수 없다.
'''효과'''
'''25'''
HP 1750[31] 소비, 30초 동안 무기 순수 공격력의 70%[32]만큼 공격력 증가, 지속시간이 끝난 후 남은 재사용 대기시간 동안 무기 순수 공격력의 15%만큼 공격력 감소
재사용 대기시간 65초[33]
'''30'''
HP 1700 소비, 30초 동안 무기 순수 공격력의 80%만큼 공격력 증가, 지속시간이 끝난 후 남은 재사용 대기시간 동안 무기 순수 공격력의 15%만큼 공격력 감소
재사용 대기시간 64초
일정 시간 동안 무기 순수 공격력을 증폭시켜 피해량을 높이는 해적 공통 액티브 버프. 아케인셰이드 무기나 제네시스 무기를 착용하고, 레벨을 착실히 올려두면 꽤 높은 폭의 공격력 증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8.1.6. 메이플월드 여신의 축복(Maple World Goddess's Blessing)


[image]
[image]
'''메이플월드 여신의 축복'''

'''액티브(버프)'''
'''마스터 레벨'''
25(+5)
'''설명'''
메이플월드 여신의 축복이 깃들어 모든 스탯과 데미지가 증가된다. 메이플 용사, 시그너스 나이츠, 노바의 용사, 레프의 용사, 이계의 용사, 아니마의 용사, 륀느의 가호 중 1개의 스킬이 적용된 상태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효과'''
'''25'''
MP 500 소비, 60초 동안 메이플 용사류 스킬로 증가하는 모든 능력치의 350%[34] 추가 증가, 데미지 17%[35] 증가
재사용 대기시간 180초
'''30'''
MP 500 소비, 60초 동안 메이플 용사류 스킬로 증가하는 모든 능력치의 400% 추가 증가, 데미지 20% 증가
재사용 대기시간 180초
주 스탯만 3개라는 특징으로 인해 메이플 용사의 효율이 낮은 제논이라 이 스킬의 효율 또한 낮지만, 데미지 증가 효과가 있기 때문에 메가 스매셔와 같이 사용하게 된다. 물론 다른 직업에 비하면 효율은 여전히 낮다.

8.1.7. 메가 스매셔(Omega Blaster)


  • 키다운
[image][image]
  • 에너지 광선
[image]
[image]
[image]
액티브(즉발/키다운)
마스터 레벨
25(+5)
설명
에너지를 모아 강력한 광선을 발사한다.
효과
25
MP 1000 소비, 최대 10초 동안 최대 15명의 적을 550%[36]의 데미지로 6번 공격, 공격 중 무적
키다운을 통해 최대 90초까지 차지가 가능하며, 차지한 시간 3초마다 공격 시간이 1초씩 증가하여 최대 5초[37]까지 증가[38], 최대 차지 시간을 넘어서면 차지 취소
공격 중 스킬을 다시 사용하여 즉시 취소 가능
재사용 대기시간 : 165초, 공격 시작 후 적용
30
MP 1000 소비, 최대 10초 동안 최대 15명의 적을 600%의 데미지로 6번 공격, 공격 중 무적
키다운을 통해 최대 90초까지 차지가 가능하며, 차지한 시간 3초마다 공격 시간이 1초씩 증가하여 최대 6초까지 증가[39], 최대 차지 시간을 넘어서면 차지 취소
공격 중 스킬을 다시 사용하여 즉시 취소 가능
재사용 대기시간 : 165초, 공격 시작 후 적용
키다운 차지형 극딜기.[40] 스킬 사용 시 캐릭터가 거대한 에너지 광선을 방출하는 대포를 거치하여 발사한다.[41] 발사하는 동안은 스매셔 취소 및 포톤 레이 발사를 제외한 그 어떤 행동도 불가능한 대신, 무적 판정을 받아 어떠한 공격이나 상태 이상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최대 18초 동안 차지하면 총 16초 동안 공격할 수 있다. 초당 58.5타, 16초 동안 모두 명중하면 총 936타(477,360%)로, 단일 스킬 중에서는 최상위권의 타수를 자랑한다.
그러나 차지 중에는 무적이 아니고, 차지 중 맵이 바뀌거나 90초 이상 차지하면 차지가 취소된다. 멜트다운 익스플로전과는 달리 에너지 광선의 지속시간이 끝나면 경고 없이 무적이 바로 풀린다는 것도 주의해야 한다.[42]

8.1.8. 오버로드 모드(Core Overload)


  • 시전 이펙트
[image]
[image]
[image]
  • 플라즈마 전류
[image]
[image]
액티브(버프)
마스터 레벨
25(+5)
설명
에너지 코어를 과부하시켜 최대치를 초과하여 에너지를 모을 수 있게 한다. 코어가 과부하되었기 때문에 MP를 회복할 수 없게 되나 스킬 사용으로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게 되고 과부하에 의해 발생한 플라즈마 전류가 주변 적을 공격한다. 플라즈마 전류는 공격 반사 상태의 적을 공격해도 피해를 입지 않는다. 최대치를 초과한 에너지는 아마란스 제너레이터로 충전시킬 수 없다.[43]
효과
25
MP 250 소비, 초당 MP 최대 MP의 1% + 180 소비, 초과 에너지 20 충전 가능, 에너지 충전 시간 절반으로 감소
초과 충전한 에너지 당 최종 데미지 1% 증가
재사용 시 스킬 비활성화, 비활성화 시 초과 충전된 에너지 즉시 소멸
플라즈마 전류는 랜덤한 주기로 발생하여 최대 12명의 적을 355%[44]의 데미지로 6번 공격하는 전격 4번 발동
재사용 대기시간 : 180초
30
MP 250 소비, 초당 MP 최대 MP의 1% + 180 소비, 초과 에너지 20 충전 가능, 에너지 충전 시간 절반으로 감소
초과 충전한 에너지 당 최종 데미지 1% 증가
재사용 시 스킬 비활성화, 비활성화 시 초과 충전된 에너지 즉시 소멸
플라즈마 전류는 랜덤한 주기로 발생하여 최대 12명의 적을 390%의 데미지로 6번 공격하는 전격 4번 발동
재사용 대기시간 : 180초

'''임계점을 넘어!!'''[45]

MP 회복을 원천봉쇄하는 대신 최종 데미지를 증가시키는 액티브 버프. 사용 시 캐릭터 머리 위에 빨간색 에너지 코어가 생성되며, 일정 시간마다 플라즈마 전류를 발생시킨다. 일단 오버로드 모드를 발동시키고 나서 서플러스 에너지를 40개까지 모으기만 한다면 올스탯 20%+최종 데미지 20% 증가라는 고효율 버프를 추가로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그때까지 MP가 지속적으로 소모되는 동시에 어떤 수단로도 MP를 회복시키지 못한다는 최악의 리스크를 짊어져야 한다. 그리고 오버로드 모드는 보스전에서 사망 후 MP를 최대로 채워 지속시간을 더 늘리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인지, '''버프 프리저로 보호할 수 없다.''' 그러므로 오버로드 모드가 켜진 동안에는 더욱 생존에 신경을 써야 한다.
최종 데미지와 서플러스 에너지 추가 상승량은 레벨 고저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1레벨로도 충분한 효율을 볼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인해 코강 우선 순위에서는 메가 스매셔와 홀로그램 그래피티 : 융합에 밀려난다. 어디까지나 앞 두 스킬에 비해 밀려난다 뿐이지, 자동 발동이기 때문에 때리기도 쉬워서, 보스와 가까이 붙어 딜링을 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30레벨 기준 전류 방출 데미지는 버츄얼 프로젝션 추가타 포함 15,912%로 상당한 위력을 자랑하며 붙어서 때릴 수 있는 보스 몬스터 상대로 봤을때 점유율을 꽤나 차지하므로 코어 강화의 가치는 충분하다.

8.1.9. 홀로그램 그래피티 : 융합(Hypogram Field : Fusion)


[image]
[image]
[image]
액티브(버프)
마스터 레벨
25(+5)
설명
모든 홀로그램 그래피티의 기능을 통합한 최신예 홀로그램 필드를 전개한다. 공격 반사 상태의 적을 공격해도 피해를 입지 않는다.
필요 스킬 : 홀로그램 그래피티 30레벨 이상
효과
25
MP 1000 소비, 30초 동안 홀로그램 필드 생성
볼이 홀로그램 필드에 닿을 때마다 최대 10명의 적에게 500%[46]로 5번 공격, 볼에 몬스터가 닿을 때에도 동일한 데미지를 줌
홀로그램 필드 안의 파티원 데미지 17%[47] 증가, 필드 안의 파티원이 회피 시 서플러스 에너지 1개 충전
제논이 홀로그램 필드 안에 있을 경우 이지스 시스템으로 발사되는 미사일 7개 증가
재사용 대기시간 100초
30
MP 1000 소비, 30초 동안 홀로그램 필드 생성
볼이 홀로그램 필드에 닿을 때마다 최대 10명의 적에게 550%로 5번 공격, 볼에 몬스터가 닿을 때에도 동일한 데미지를 줌
홀로그램 필드 안의 파티원 데미지 20% 증가, 필드 안의 파티원이 회피 시 서플러스 에너지 1개 충전
제논이 홀로그램 필드 안에 있을 경우 이지스 시스템으로 발사되는 미사일 8개 증가
재사용 대기시간 100초

'''홀로그램, 전개!'''[48]

데미지 증가 버프를 겸하는 설치형 광범위 공격기. 사용 시 캐릭터의 중하단을 기준으로 해서 거대한 팔각형 홀로그램 필드가 설치된다. 필드 내부에는 에너지 볼이 필드 외벽에 반사되면서 돌아다니는데, 필드 안의 적은 직접 볼에 접촉하거나 볼이 외벽에 접촉할 때마다 공격을 받는다. 더불어 필드 안의 파티원에게 회피 판정이 뜰 때마다 서플러스 에너지를 충전하는 기능까지 있다. 말 그대로 '''모든 홀로그램 그래피티의 기능들을 하나로 집약한 것이다.''' 물론 기능의 집약뿐만 아니라 파티원들의 데미지 증가 기능도 있는 만큼 지원 스킬로서의 잠재력도 충분하다.
범위가 기존 홀로그램의 약 2.5배에 달해 맵이 좁고 젠이 빠른 필드의 가운데에 깔아주면 잠시나마 필드를 장악할 수 있다. 4차 스킬인 홀로그램 그래피티 : 역장, 5차 공용기인 레지스탕스 라인 인팬트리에 스파이더 인 미러까지 추가하면 금상첨화다. 그리고 기존 4차 스킬의 강화가 컨셉인지라, '''모든 홀로그램 하이퍼 패시브'''가 적용된다. 즉 데미지 10%, 볼 이동속도, 지속시간 10초 증가가 모두 적용된다.[49] 허수아비 기준 700~750타 덩치가 큰 고정형 보스[50] 움직임이 둔한 보스를 상대로는 1,000타까지도 나온다. 그래서 경우에 따라서는 메가 스매셔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하기도 한다.[51]
그러나 기존 홀로그램 그래피티와는 달리 융합은 '''버프 프리저 적용이 되지 않는다.''' 똑같은 로직이지만 무슨 이유인지는 불명. 그리고 이지스 시스템 관련 옵션을 추가한 것도 모순이다. 이지스 시스템은 피격이나 회피 시에 발동하는데, 보스전에서는 피격 자체가 뼈아플 뿐만 아니라 회피가 거의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다. 심지어 이지스 시스템 자체가 체력 비례 공격을 받으면 발동조차 되지 않는데, 홀로그램 필드 안에 있어도 발사되는 추가 미사일 효과가 적용이 되지 않는 버그가 있다. 그냥 없는 효과로 봐도 무방할 정도. 게다가 홀로그램 그래피티와 겹치게 설치할 수도 없어서, 영역이 겹치지 않도록 다른 곳에 설치하거나 아예 기존 홀로그램 그래피티를 버프창에서 일일이 우클릭으로 해제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성능과는 별개로 해괴한 버그가 있다. 이 스킬을 깔아놓은 상태에서 서버와 연결이 끊겨 로그인 창으로 돌아가면, 홀로그램 볼만이 화면에서 이리저리 움직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8.1.10. 포톤 레이(Photon Ray)


  • 시전 이펙트
[image]
  • 초기 조준 완료 이펙트
[image]
  • 추가 조준 완료 이펙트
[image]
  • 조준
[image] [image]
[image]
액티브(즉발)
마스터 레벨
25(+5)
설명
적을 끝까지 추적하여 공격하는 광자 캐논을 사용한다.
스킬 사용 시 일정 시간 조준 모드가 되어 1발씩 조준하기 시작하며 조준이 완료되면 다음 조준이 시작된다. 스킬을 다시 사용하면 현재 조준이 완료된 적에게 광자 캐논을 발사한다.
정해진 수의 초기 조준은 매우 빠르게 완료되고 추가 조준은 조준 속도가 느리다. 추가 조준은 조준 범위 안의 최대 HP가 가장 높은 보스 몬스터를 우선해서 조준하고 조준 중인 적을 공격하면 조준이 더 빨리 완료된다.
조준 중 혹은 완료된 적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면 조준이 해제되고 발사하기 전 조준 모드 지속시간이 종료되면 모든 조준이 해제된다.
포톤 레이는 공격 반사 상태의 적을 공격해도 피해를 입지 않고 버추얼 프로젝션이 적용되지 않으며 퍼지롭 매스커레이드, 멜트다운 익스플로젼, 메가 스매셔 사용 중에는 발사 동작없이 발사할 수 있다.
효과
25
MP 150 소비, 20초 동안 조준 모드 발동, 발사 시 MP 350 추가 소비
초기 조준 15발 완료 후 추가 조준 15발까지 가능
광자 캐논은 1발 당 700%[52]의 데미지로 4번 공격
재사용 대기시간 : 35초
30
MP 150 소비, 20초 동안 조준 모드 발동, 발사 시 MP 350 추가 소비
초기 조준 15발 완료 후 추가 조준 15발까지 가능
광자 캐논은 1발 당 770%의 데미지로 4번 공격
재사용 대기시간 : 35초
자동 대상 지정형 서브 극딜기.[53] 사용 시 캐릭터의 등 뒤에 광자 캐논의 발사대가 나타나 적을 조준하며, 스킬을 사용하면 초기 조준을 빠르게 완료한 후에 추가 조준을 시작한다. 추가 조준은 초기 조준보다 진행 속도가 현저히 느리며, 이 속도는 조준된 적을 공격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끌어올릴 수 있다. 그러나 메가 스매셔와 마찬가지로 최대 조준 시간을 넘길 시 스킬이 발사되지 않고 사라진 후에 재사용 대기시간이 적용된다. 따라서 최대 조준 수에 도달한다면 즉시 발사해야 증발을 막을 수 있다.
추가 조준은 대상을 조준한 채로 가만히 있으면 1초에 한 발씩 조준이 되고, 캐릭터가 직접 공격을 할 때마다 별개로 한 발씩 조준된다. 이는 스킬의 사용 횟수와 관련이 있는데, 저격은 정직하게 1회당 한 발씩 조준되고, 블레이드 댄싱으로 긁으면 블댄의 공격 속도만큼 아주 빠르게 조준되어, 풀 차징까지 약 2초도 채 걸리지 않는다.[54] 즉 일반적인 보스전에서는 저격을 베이스로 하는 서브 공격기지만, 데미안, 루시드, 진 힐라 등 이동이 잦은 보스전에서는 블댄으로 빠르게 스택을 뽑아내서 풀 차징 상태로 화력을 때려박는 주력 스킬 중 하나가 된다.
30레벨 기준 최대 피해량은 92,400%[55]로, 보스전에서 평균적으로 11~12% 정도의 점유율을 차지하며[56] 퍼지롭 매스커레이드만으로는 부족했던 제논의 비 극딜 피해량을 크게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조준 이펙트가 적을 과도하게 가리고, 공중에서 시전하면 그 자리에 고정되며[57], 패턴에 따라 타점이 소실되는 벨룸이나 피에르, 등 일부 보스전에서 조준이 사라지고 초기화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비교적 빠른 초기 조준 완료까지도 시간이 2~3초 필요하기 때문에 사냥용으로는 다분히 부적절하다.
다만 어떻게든 사냥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광자 사출에 성공만 했다면 그 대상이 죽어도 근처 타겟을 자동으로 추적한다. 즉 엘리트 몬스터가 나타났을 경우, 조준을 걸고 딸피로 만든 다음, 포톤 레이 사출 직후 엘리트 몬스터를 잡으면[58] 메카닉의 마이크로 미사일 컨테이너처럼 광자가 사방으로 퍼진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가능할 뿐, 그럴 시간에 주력기 긁고 다니는 게 낫다.

8.2. 강화 코어


'''차수'''
'''레벨당 최종 데미지 증가량'''
'''스킬'''
'''수식어'''
'''20레벨 강화 효과'''
'''40레벨 강화 효과'''
1차
2%
[image]
'''핀포인트 로켓'''
로켓
크리티컬 확률 5% 증가
몬스터 방어율 무시 20% 증가
7%
[image]
에너지 스플라인
연마
최대 공격 가능 대상 1 증가
2차
5%
[image][image][image]
퀵실버 소드
신속
[image]
이온 쓰러스터
이온
3차
3%
[image]
트라이앵글 포메이션
삼각
크리티컬 확률 5% 증가
[image]
다이아그널 체이스
추적
최대 공격 가능 대상 1 증가
[image]
필라 스크램블
기둥
[image][image][image]
컴뱃 스위칭
변환
2%
[image]
이지스 시스템
이지스
크리티컬 확률 5% 증가
4차
[image]
블레이드 댄싱
검무
최대 공격 가능 대상 1 증가
[image][image][image]
'''퍼지롭 매스커레이드'''
펄스
크리티컬 확률 5% 증가
[image][image][image]
'''홀로그램 그래피티'''
포스
하이퍼
[image]
컨파인 인탱글
뿌리
[image]
멜트다운 익스플로젼
융해
1순위
'''퍼지롭 매스커레이드'''
'''홀로그램 그래피티'''
핀포인트 로켓
2순위
컴뱃 스위칭
이지스 시스템
다이아그널 체이스
3순위
트라이앵글 포메이션
멜트다운 익스플로젼
블레이드 댄싱
제논은 전체적으로 보면 코어 강화가 전직업에서 손에 꼽게 어려운 편이지만, 약식 코강의 경우 멀티 모드 링커로 인해 3종류로 분리되는 스킬이 다행히 1개로 엮였기에 코어 강화가 단순하다. 그러나 도적과 해적이 합쳐진 하이브리드 직업이라 장착해야 할 공용 스킬 코어가 많아 슬롯 관리가 까다롭다. 따라서 정 여유가 없다면 1순위에 굵게 표시된 핵심 강화 코어만 챙겨도 충분하다.
1순위는 사냥과 보스전 모두 필수인 강화 코어다. 주력기인 '''퍼지롭 매스커레이드'''와 보조 설치기인 '''홀로그램 그래피티'''를 강화한다. 남는 자리에는 저 둘 다음으로 피해량 점유율이 높은 '''핀포인트 로켓'''을 채택한다.
2순위는 사냥에 집중하는 강화 코어다. 우선 '''퍼지롭 매스커레이드'''에 비해 빠른 속도를 지닌 '''컴뱃 스위칭 - 격추'''로 사냥하기 위해 '''컴뱃 스위칭'''을 강화한다. 남는 자리에는 회피율이 높은 제논의 특성상 생각보다 자주 발동되는 '''이지스 시스템'''과 높이 뜬 발판에 위치한 다수의 적을 노릴 때 유용한 '''다이아그널 체이스'''를 채택한다.
3순위는 보스전에 집중하는 강화 코어다. '''메가 스매셔'''와 궁합이 좋은 '''트라이앵글 포메이션'''을 우선 강화하고, 남는 자리에는 디버프와 버프를 겸하는 '''멜트다운 익스플로젼'''과 포톤 레이와의 궁합이 좋은 '''블레이드 댄싱'''을 채택한다. 고로 사냥 시에는 2순위 코어, 보스 시에는 3순위 코어로 스위칭한다. 3순위부터는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어지간하면 여기까지 강화하지는 않는다.[59]
전용 스킬 코어는 '''메가 스매셔-홀로그램 그래피티:융합-포톤 레이-오버로드 모드''' 순으로 강화한다. 극딜기인 메가 스매셔가 1순위, 범위가 넓어 사냥/보스에 도움이 되는 홀로그램 그래피티:융합이 2순위, 서브 극딜기로 활용 가능한 포톤 레이가 3순위다. 오버로드 모드는 강화해도 플라즈마 전류의 데미지만 늘어나고 추가 서플라이 에너지 충전량/지속시간 등에는 변화가 없으므로 마지막에 강화한다.

9. 관련 문서


[1] 메이플 용사의 효과와 똑같다. 즉 순수하게 AP를 직접 투자한 능력치에만 적용되며, 장비나 잠재능력으로 증가한 능력치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2] 5차 스킬 중 오버로드 모드를 사용하면 40개까지 충전된다.[3] 오파츠 코드만 해도 무려 서플러스 에너지를 20칸 모두 소모한다.[4] 마을에서 체공이 가능한 라이딩 스킬과 비슷하다[5] 이게 어느 정도냐 하면 키네시스팬텀의 트리플 점프 길이를 합한 것보다 제논의 더블 점프 거리가 더욱 길다![6] 핀포인트 로켓이야 상향으로 메소 익스플로젼보다 좀 약한 정도가 되었지, 이지스 시스템의 원킬컷은 팬텀이 스틸 스킬로 훔치는 플래터 다음가는 정도로 정말 답이 없는 수준이다.[7] 코어 강화에 코어 슬롯 강화까지 전부 마치고 버추얼 프로젝션까지 포함하고 나면 2570.4%(270 × 2 × 1.7 × 2.8)가 나와서 그나마 할만해진다.[8] 카오스 블러디 퀸에서는 웬만하면 이 스킬을 봉인해야 한다 비탄의 얼굴 상태에서 공반 걸고 나면 멀리 떨어져서 쓰더라도 대각선으로 이동하는 특성상 공격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9] 다단히트하는 공격을 맞으면 그 횟수만큼 감소한다.[10] 이마저도 최대 HP가 10만을 넘으면 아카이럼의 즉사기도 버추얼 프로젝션 해제 피해량에 못 미친다. [11] 타당 피해 수치가 고정되어 타수가 퍼뎀보다 중요한 노말 루시드 1페이즈에서는 잡몹 처리를 위해 간혹 쓰인다.[12] 주력기 계열 중 가장 느린 690ms로, 대부분의 최대 공속 시 지연 시간인 600ms에 비하면 많이 느린 편이다. 같은 공격 속도를 가진 스킬로는 '''15회'''를 타격하는 캐논슈터의 캐논 버스터가 있다.[13] 최대 공속(2등급) 기준 652.5ms로, 저격보다도 짧다.[14] '알 엑스 제로 세븐'이라고 읽는다.[15] 이펙트가 보이는 범위 그대로 다 공격한다. 다만 하단 범위 판정은 없다.[16] 레헬른 시계탑, 츄츄의 츄릅 포레스트 깊은 곳, 격류지대 등[17] 단, 타격점이 많은 자쿰이나 혼테일, 우르스, 거대 괴수 더스크 같은 보스를 상대로는 관통을 쓰는 게 낫다.[18] 예를 들어, HP가 10만인 캐릭터가 이 스킬의 효과를 받고 나서 최대 HP의 70%만큼 피해를 입히는 공격에 얻어맞으면 받는 피해량이 7만에서 7만 7천으로 증가한다. 그러나 최대 HP만 증가하고 현재 HP는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피해량만 7천만큼 추가되는 것이다.[19] 아마란스 제네레이터나 오버로드 모드 사용 시 예외. 둘 다 소모값이 봉쇄된다.[20] 아마란스 제네레이터나 엑스트라 서플라이를 활용해 어찌어찌 무한정 유지시킬 수는 있다. 오파츠 코드 사용 후 바로 엑스트라 서플라이를 사용하면 엑스트라 서플라이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돌아오기 전에 서플러스 에너지를 모두 채울 수 있지만, 그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서플러스 에너지 널뛰기로 인한 스공 불안정성'은 여전하다.[21] 재사용 대기시간이 90초인 소울 컨트랙트(엔버 링크)를 약 22~25초만에 다시 사용할 수 있다.[22] 참고로 1920×1080 해상도에서는 일러스트가 반쯤 가려진 채로 나온다. 1920×1080 해상도가 나올 당시부터 있었던 유서깊은(?) 오류다.[23] (500+스킬 레벨×20)%[24] 7번(방어율 무시 20%)의 효과는 모험가 해적 중 캡틴과 바이퍼의 하이퍼 스킬로만 나오는 만큼, 그밖의 직업은 선택할 수 없다.[25] 럭키 다이스가 없는 직업군이 로디드 다이스를 배우는 경우 럭키 다이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5차 스킬에 추가되는 스킬이다. 5차 스킬 취급이므로 버프 지속시간 및 재사용 대기시간 초기화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26] 로디드 다이스 스킬 레벨과 함께 성장한다. 물론 아무 의미는 없다.[27] 레벨별 성능 차이 없음[28] (215+스킬 레벨×8)%[29] 1단계는 기본 10%에 10레벨마다 1%씩 증가하고, 2단계는 기본 30%에 5레벨마다 1%씩 증가한다.[30] 1레벨 기준 90초에 짝수 레벨마다 1초씩 줄어든다.[31] (2000-스킬 레벨×10)[32] (20+스킬 레벨×2)%[33] 기본 70초에 5레벨마다 1초씩 감소한다.[34] (100+스킬 레벨×10)%[35] (5+스킬 레벨 2레벨 당 1)% 소수점은 버린다.[36] (300+스킬 레벨×10)%[37] 기본 증가치는 5초이고, 10레벨마다 1초씩 늘어난다.[38] 총 유지시간 15초[39] 총 유지시간 16초[40] 메이플에서는 유일한 유형이다. 비슷한 개념으로 충전을 요하는 조디악 레이 같은 스킬도 존재하지만, 키다운 형식으로 차징 후 사용하는 스킬로는 메가 스매셔가 유일하다.[41] 이펙트를 잘 보면 루티가 대포를 조종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루티가 본체 아니랄까봐 제논은 팔만 앞으로 뻗고 있다. [42] 특히 거의 다 차지됐는데 피할 수 없는 단발 즉사기라면 멜트다운으로 피할 수라도 있겠지만, 필드 전체에 지속적으로 즉사 공격을 날리는 패턴은 극딜을 포기하고 스매셔를 미리 끊지 않는 이상 답이 없다.[43] 설명은 이렇지만 2초에 1번 차거나 피격/회피시 운 좋게 차는 것을 제외하면 전혀 충전되지 않는다. 본래는 4초에 1번이지만 충전 주기가 반이 되어 2초에 1번이다.[44] (180+스킬 레벨×7)%[45] 멜트다운 익스플로젼과 같다.[46] (250+스킬 레벨×10)%[47] (5+스킬 레벨×0.5)%. 소수점은 버린다.[48] 홀로그램 그래피티와 같다.[49] 단, 홀로그램 그래피티의 강화 코어는 적용되지 않는다.[50] 루시드 1페이즈, 더스크, 검은 마법사 2페이즈 등.[51] 다만 공격 판정이 '구체에 적중당할 때'와 '구체가 외벽에 부딪힐 때'에 나오기 때문에, 대상이 단순히 필드 안에 오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체에 얻어맞기 좋도록 공격 대상의 덩치도 커야 한다. 예를 들어 하드 윌은 전자만 만족하며, 검은 마법사 2페이즈는 둘 다 만족한다.[52] (350+스킬 레벨×14)%[53] 스킬 자체의 메커니즘은 추가 조준 시스템을 제외하면 핀포인트 로켓, 혹은 이지스 시스템의 강화판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54] 초기 조준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추가 조준에만 영향을 주므로, 포톤 레이를 쓰자마자 빠르게 충전하겠다고 블댄을 긁을 필요는 없는 것.[55] 770×4×30=92,400[56] 특히, 제논과 상성이 최악이라는 데미안에서는 20%를 넘기는 모습을 보인다.[57] 진 힐라를 상대할 때, 파란 바인드의 후속타를 맞고 날아가는 도중 포톤 레이를 사출하면 공중에서 멈출 수 있다. 이걸로 붉은 실을 피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도 가능하다. 어찌 보면 장점도 있는 셈.[58] 포톤 레이가 적중하기 전에 잡아야 한다.[59] 참고로 보스전에서 주로 쓰이는 보조 스킬의 50초 기준 피해량 총합은 핀포인트 로켓(50,600%) > 트라이앵글 포메이션(20,696%) > 멜트다운 익스플로젼(20,196%) 순이다. 전부 코어 강화 60레벨이며, 이 가운데 트라이앵글 포메이션은 50초 동안 저격만 사용하고, 멜트다운 익스플로젼은 단 1회만 사용한 것이다. 다만, 이 피해량은 멜트다운 익스플로젼을 재사용 대기시간마다 쓸 때 유의미한데, 멜익은 무적기로서의 활용성 때문에 저렇게 계속 쓸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