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세계

 


[image]
월남전 종전 이후 1975년 지도로 '''파란''' 부분이 제1세계에 소속된 국가들이다.[1]
1. 개요
2. 냉전 시대의 1세계
3. 냉전 이후
4. 한국
5. 관련 문서


1. 개요



'''제1세계'''는 미국소련냉전으로 불리우는 패권 경쟁에 도립했을 당시, 미국서유럽이 중심이 되어 동맹을 맺은 국가들이 이룬 블록을 말한다. ‘자본 진영'이나 '자유 진영'이라고도 불리운다.

2. 냉전 시대의 1세계


20세기 냉전 시대 이후로 정의되는 제1세계는, 두차례의 세계대전으로 인해 국력을 과도하게 소진하여 쪼그라든 근대 제국주의 열강들을 대신에 새로운 초강대국으로 등극한 미국소련이 서로의 이념으로 인해 대립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폭삭 주저앉은 유럽에서 소련을 중심으로 한 공산주의 혁명 물결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곳까지가 제1세계, 이에 대응하는 소련의 영향이 닿아 공산주의 정권이 수립된 곳까지를 제2세계로 분류하였다. 간단히 말하자면 NATO에 속한 유럽 국가를 제1세계, 바르샤바 조약기구에 가입한 국가를 제2세계로 구분하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아울러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친서방 국가들 또한 제1세계에 포함되었는데, 여기에는 '''대한민국''', 일본, 대만, 이란 제국, 이라크 왕국, 파키스탄, 태국, 필리핀, 남베트남, 크메르 공화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자이르 등이 있으며, 다만 자이르 등 일부 국가들은 제3세계로 분류되기도 한다.
제1세계 국가들은 대개 자유진영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제2세계제3세계에 비해 민주주의가 보급된 국가들이 월등히 많았기 때문이다.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냉전 시기에도 대부분 민주주의가 정착된 상태였으며, 대한민국과 같은 변방 제1세계 국가들도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이 매우 거센 편이었다.

3. 냉전 이후


서유럽 지역에 국한 되었던 제1세계라는 개념이 차츰 변화하여 미국-서유럽과 친한 타 대륙 선진국들을 포함하는 전세계적인 분류로 확산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한 반공블록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공산블록, 반공블록과 공산블록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는 중립 비동맹국가로 분리되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반공 블록에 붙은 국가들은 제1세계로 분류되었으며, 소련과 공산권의 공산블록을 제2세계로 분류되었다. 양쪽 어디에도 참가하지 않은 지역은 제3세계가 되었다.
냉전기 동안 제1세계에서는 미국을 맹주로 한 자기 진영을 '자유진영', 상대 진영을 '공산진영'이라고 칭했다. 반대로 제2세계에서는 소련을 맹주로 한 자기 진영을 '민주진영', 미국과 서방 측을 지칭해 '제국진영'이라고 칭했다.
영어권 위키에서는 중립 국가들도 포함이 되어 있다. 국가적으로는 개념상 친미 동맹국이면 제1세계로 분류되는 것 같지만 영문 위키 문서를 참고하면 집단이나 사람마다 다양한 정의가 있는 듯 하다. 대한민국, 대만, 터키, UAE, 일본, 이스라엘, 요르단 등은 유럽 국가가 아닌 대표적인 제1세계 국가다.
이들 국가들의 경우 경제적으로 미국의 자본과 아래 있으며 속생관계를 구축한 국가들이기도 하다. 미국과 직접적인 동맹을 맺지 않아도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미국의 영향력 아래 있으며, 자본주의를 채택하고 선진국 대열에 들어서면 제1세계로 분류하는 듯하다. 특히 유럽 연합과 각종 조약이 맺어져 있으면 굳이 미국과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지 않아도 제1세계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영문 위키에서는 한국의 위키와는 다르게 친미 국가라고 해도 명확한 연결고리가 없으면 제1세계 국가로 보지 않고 있다.

4. 한국


대한민국의 경우 제1세계와 제3세계 중 어느 쪽에 속하는지 혼동하는 경우가 가끔 있는데 대한민국은 '''제1세계 국가'''이다. 이런 혼동이 일어나는 이유는 제1세계와 제3세계를 구분하는 요인을 잘 모르기 때문이다.
제3세계란 본래 제1세계 국가의 주축이자 옛 제국주의 열강들인 미국 및 서유럽 국가들에게 반감을 가지지만 공산주의 진영인 제2세계와도 거리를 두는 비동맹 국가들을 지칭했다. 그런데 제3세계 국가들이 경제적으로 그닥인 나라들이 주축이다보니 비교적 빈곤한 개발도상국 국가라는 의미도 일부 포함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개발도상국=제3세계"[2]라는 오해를 하게 되고, 냉전 시기에 개발도상국이었던 한국을 제3세계로 포함하는 오류를 범하는 것이다.[3] 제1/2/3세계를 구분하는 가장 큰 원칙은 정치-외교 노선의 방향이므로, 정부수립부터 철저히 미국이 주도하는 질서에 동참해 온 한국은 엄연히 제1세계에 소속된 국가이다.

5. 관련 문서



[1] 포르투갈령 모잠비크, 포르투갈령 앙골라프랑스령 지부티, 스페인령 사하라, 로디지아, 네덜란드령 기아나, 나미비아(남아공의 위임통치를 받던 중), 이란 제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제1세계 영역으로 나와있다. 알다시피 이들 지역은 이후 제3세계가 된다.(모잠비크앙골라는 독립 이후 공산화되어 1990년대까지 제2세계에 속해있었다.) 에티오피아는 1974년 공산쿠데타로 제2세계가 되었다.[2] 주로 미국을 중심으로 선진국 국민들이 "제1세계에도 제2세계에도 못 끼는 제3세계 찌질이들" (...) 이런 사고방식으로 개발도상국들을 볼 때 제3세계 국가란 표현을 많이 사용한다. 본래 제3세계의 뜻은 어느 진영에도 비협조하고 우리끼리 힘을 합치자는 것이었다. 위 지도만 봐도 제3세계는 스웨덴, 핀란드, 스위스, 아일랜드, 오스트리아 같은 선진국 또한 포함한다.[3] 실제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 관련으로 더 뉴요커에 칼럼을 개재한 미국인 수필가 콜린 마샬(몇년 전 부터 한국 거주중)의 글에서 "내게 왜 미국에서 한국으로 가는거냐고 질문하는 사람들에게 '제 1세계에서 살고 싶어서'라고 '''반쯤 농담을 담아''' 답했는데, 최근의 미국 상황을 보면 낙담과 함께 '''맞는 말을 했다는 생각이 든다'''"라고 밝혔다. 즉 정치와 외교 노선으로서의 구분이 아니라 "미국 외 변방 국가"쯤의 인식으로서의 제1세계 외의 국가라는 생각이 어느정도는 깔려 있었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