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4대 민의원의원 선거'''

1954년 5월 20일
3대 민선

1958년 5월 2일
'''4대 민선'''

1960년 7월 29일
5대 민선
}}}
'''투표율'''
87.8%▼ 3.3%p
'''선거 결과'''
[image]

<color=#70000b> '''정당'''
<color=#70000b> '''지역구'''
<color=#70000b> '''총합'''
<color=#70000b> '''비율'''
'''자유당''']]
'''127석'''
'''127석'''
'''54.1%'''
'''민주당''']]
'''79석'''
'''79석'''
'''34.3%'''
'''통일당''']]
1석
1석
0.4%
'''무소속''']]
26석
26석
11.2%
1. 개요
2. 배경
3. 결과

[clearfix]

1. 개요


1958년 5월 2일 치러진 민의원의원 선거로 투표율은 87.8%를 기록했다. '''소선거구제'''를 유지했으며 의원정수는 '''233명'''이었다. 1952년 발췌개헌으로 국회 양원제가 도입됨에 따라 민의원 선거와 함께 참의원 선거도 치러져야 했으나, 여당인 자유당의 반대로 인해 민의원의원 선거만 실시되었다. 임기는 1958년 5월 31일부터 1962년 5월 30일까지였으나 4.19 혁명으로 인하여 제4대 국회의 임기는 1960년 7월 28일에 종료됐다.

2. 배경


제3대 민의원의원 선거에서 안정적 과반을 확보하여 사사오입 개헌으로 3선에도 성공한 이승만 대통령이었으나 1957년부터 미국의 원조가 감소하기 시작해[1] 원조에 의존하고 있던 경제조차도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이는 이승만 정권에 대한 국민의 불만으로 이어졌다.
경쟁률은 3.2대 1이었으며(후보자 841명) 지난 총선보다 더 안정되었으며 참가한 정당과 사회단체는 총 14개이다. 또한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의 시행에 따라 38선에서 맞춰 짜여진 선거구가 아닌 휴전선 이남의 전 지역에 대해 치뤄진 첫 선거다. 233석이 정원이며 과반 획득을 위한 의석수는 117석이었다.

3. 결과


[image]
'''정당 득표율'''
정당
득표수
득표율

3,607,092
'''42.1%'''

2,934,036
'''34.2%'''

53,716
0.6%

50,568
0.6%

1,857,707
21.7%
총합
9,077,835
100.0%
'''제4대 민의원의원 선거 결과'''
'''제1당'''

'''127석'''
'''제2당'''

'''79석'''
제3당

1석
-

26석
'''제4대 민의원의원 선거'''
지역
자유당
민주당
통일당
무소속
합계
서울
1
14
0
1
16
경기
15
8
0
2
25
강원
15
2
0
3
20
충남
15
6
0
1
22
충북
8
4
0
1
13
전남
18
10
1
3
32
전북
10
11
0
3
24
경남
20
15
0
5
40
경북
25
7
0
6
38
제주
1
1
0
1
3
합계
127 (54.1%)
79 (34.3%)
1 (0.4%)
26 (11.2%)
233 (100%)
자유당이 과반을 얻었으나 127석으로 지난 번보다 의석 비율이 줄게 되었다. 군소 정당이 난립하는 경향은 여전히 존재했지만 무소속 의원 수는 26명으로 현저히 줄었다. 반면 조병옥 대표가 이끄는 민주당은 총 79석을 차지하여 어느 정도 여당을 견제할 수 있는 야당으로 자리매김했다. 원내 정당은 자유당, 민주당, 통일당[2] 3개뿐이었다. 요약하자면 '''양당제'''의 경향이 나타난 첫 선거.
여촌야도 현상은 더욱 뚜렷해져 자유당은 서울특별시에서 '''전멸에 가까운 참패'''를 당했다. 서울의 16개 의석 중 여당 자유당이 획득한 의석은 단 '''1곳'''. 민주당이 14석, 무소속이 1석을 차지해 굴욕을 면치 못했으며 이는 이승만 정권에 대한 서울의 민심이 이미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악화되었음을 의미했다. 다만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영남호남에서 자유당이 앞섰기 때문에 최종 의석 수는 꽤 차이가 났다.[3]
전라남도 보성군에서는 자유당 안용백 후보가 닭죽 사건이라는 부정선거를 일으켰다가 당선무효가 되기도 했다. 근데 재선거 때 또 자유당 후보인 황성수가 당선되었다(...). 또한 이정재는 원래 경기도 이천군에서 출마하려 했으나 이기붕에게 선거구를 빼앗긴다.
[1] 1958년에는 아예 유상 차관 형식으로 전환해버린다.[2] 김준연이 창당한 민주당 계열의 정당으로 전라남도에서 1석을 얻었다. 5.16 군사정변 직후 해산되었다.[3] 이 당시는 지금과 달리 남쪽에 인구가 몰빵되어 있어 영호남의 의석만 합쳐도 134석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