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영복

 


'''역임 지위 및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42대 내무부 장관
주영복
周永福 | Choo Young-bock
'''
<colbgcolor=#003764><colcolor=#ffffff> '''출생'''
1927년 9월 30일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면 무기리[1]#
(現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무기리)
'''사망'''
2005년 3월 14일 (78세)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국립암센터#
'''본관'''
상주 주씨
'''재임기간'''
제13대 공군참모총장
1974년 8월 1일 ~ 1979년 4월 13일
제22대 국방부 장관
1979년 12월 14일 ~ 1982년 5월 21일
제42대 내무부 장관
1983년 7월 6일 ~ 1985년 2월 18일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003764><colcolor=#ffffff> '''배우자'''
박봉자
'''자녀'''
아들 주용식 외 1명[5]
딸 주금순, 주애순, 주비자
'''친인척'''
손자 주환우
'''학력'''
함안보통학교 (졸업)
오사카 오기마치 상업중학교 (졸업)
다치아라이 육군비행학교 (졸업)
도쿄 육군항공학교 (졸업)
통위부 보병학교 (졸업)
단국대학교 (법학 / 학사)
'''경력'''
제22대 국방부 장관
한국반공연맹 이사장
제42대 내무부 장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군사 경력'''
'''임관'''
공군사관학교 (소집 2기)
'''복무'''
대한민국 공군
1944년 ~ 1979년
'''최종 계급'''
대장 (대한민국 공군)
'''최종 보직'''
공군참모총장
'''주요 보직'''
공군사관학교 교장
공군 군수사령관
공군 작전사령관
공군참모총장
'''참전'''
6.25 전쟁

1. 개요
2. 생애
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직 군인. 13대 공군참모총장, 22대 국방부 장관, 42대 내무부 장관을 지냈다.

2. 생애


1927년 9월 30일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면 무기리에서 태어났다. 1945년 일본 육군항공학교를 수료하고 1949년 공군사관후보생 소위 임관, 1950년에는 공군사관학교 소집 2기로 해 중위로 재임관했다. 1959년 단국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한 뒤, 1963년 국방대학원을 수료하였다.
1950년 8월부터 1953년 7월 휴전 때까지 F-51 전투기 조종사로 참전해, 총 77회의 출격 기록을 세웠다. 1960년대 한국 영화의 최고 히트작 빨간 마후라의 주인공 및 배경의 실존 인물들 중 한 명이기도 하다.
1974년에는 옥만호에 이어 공군참모총장으로 임명되어 1979년 4월까지 4년 7개월 동안 최장수 공군참모총장을 지냈다. 같은 해 대장으로 예편하였다. 후임자는 첫 공군사관학교 출신 공군참모총장인 윤자중이었다.[2]
12.12 군사반란 이후 노재현의 뒤를 이어 국방부 장관에 임명되었다.[3]
하나회 반란군들이 쿠데타에 동조하지 않으려는 해군공군의 불만을 수습하고, 대외적으로 비 하나회 출신 인사를 얼굴마담으로 내세워 민심을 가라앉히며, 또한 하나회 출신[4]에서 장관을 선임할 경우 이에 따라 발생할 내분을 막으려는 이유로 선택한 것이었다. 1980년 5.17 내란 때 중앙청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계엄령 확대를 주장하였다. 이후 1982년까지 국방장관을 지냈다. 그러다가 장영자·이철희 금융사기 사건으로 인한 민심수습책으로 물러났다. 한국반공연맹(현 한국자유총연맹) 이사장(1983), 내무부(현 행정자치부)장관(1983~1985),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1985~1989) 등을 지냈다.
국방부 장관 시절 광주학살을 벌인 계엄군의 자위권 발동을 결정한 장본인으로서, 김영삼 정부 때 12.12 군사반란5.18 민주화운동 관련 재판에서 내란-반란 중요임무 종사 등의 혐의로 7년형을 선고받았다.
2005년 3월 14일에 일산 국립암센터에서 사망했으며 사망 후 유해는 서울 도봉구의 한 암자에 봉안되었다.

3. 관련 문서


[1] 상주 주씨 집성촌이다.[2] 아마 주영복 장관 시절에는 학사는 받지 않고 단기 교육만 받고 수료했을 가능성이 높다. 육사도 10기까지는 단기 교육만 받고 수료했으며 4년제가 된것은 11기부터이다.[3]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 중에서 공군 출신으로는 두번째다.[4] 사실 하나회 출신을 앉히는 건 어려웠던 것이 하나회에서 가장 높은 11기 윗 기수 장성들이 군 내에 아직 여러명 남아 있기도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