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 문정문

 






1. 소개
2. 역사
3. 구조

[image]
문정문

1. 소개



昌慶宮 文政門
조선시대 궁궐창경궁편전 문정전정문이다. 1층 목조[1]으로 되어 있다.
이름은 당연히 문정전이란 뜻으로, '문정(文政)'이란 명칭 자체는 창경궁 창건 당시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이던 서거정(徐居正)이 지었다.

2. 역사


1483년(성종 14년) 창경궁 창건 때 지어졌으며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16년(광해군 8년)에 복구하였다. 그러다 일제강점기 1930년대에 일본이 창경궁을 놀이공원 창경원으로 만들면서 헐렸으며 이 주변을 동물원으로 사용했다. 1983년 동물원 기능이 서울대공원으로 이관되었으며, 창경궁 복원 사업의 일환으로 1984년부터 발굴 조사를 한 후 1986년 복원되어 오늘에 이른다.

3. 구조


  • 본전 문정전은 남향을 한 반면, 문정문은 동향을 하고 있다. 그래서 문정문과 문정전은 일직선상에 놓여있지 않고, 문정문으로 들어와 동쪽으로 90도 각도로 틀어야 비로소 문정전이 보인다.
  • 본채를 따로 만든 것은 아니고 행각의 일부분을 문으로 삼았다. 장대석을 4벌 깐 기단을 놓고 그 위에 행각과 문을 만들었으며 역시 4벌 깐 계단을 가운데 칸 앞에 하나를 두었다. 계단은 장식한 소맷돌로 아름답게 꾸며 한껏 격을 높혔다. 문만 놓고보면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좌, 우 협문은 신하들이 다니고 가운데는 이 다니는 어칸(御間)으로 두었다. 어칸의 지붕을 높여 솟을대문 형식으로 만들었고 문 부분 높이 역시 좌, 우 신하들이 다니는 문보다 높게 지어 차별화를 두었다. 각 칸의 인방 위에 안상의 모양대로 풍혈을 뚫은 3개의 궁판이 놓여있고 그 위에 홍살을 놓았으며 가운데 칸 궁판에 현판을 걸었다. 지붕은 맞배지붕, 처마는 홑처마로 공포는 간결한 초익공 양식이다. 주춧돌기둥은 네모난 형태이며 단청은 모로단청으로 칠했다.[2] 천장은 서까래와 구조들이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으로 하였다.
  • 조선 후기 들어 문정전편전보다는 혼전[3]으로 자주 쓰이면서 문정문에도 약간의 변화가 생긴다. 문정전이 혼전으로 지정되면 문정문의 어칸은 신이 다니는 이 되기 때문에 과 신하들은 협문으로 다녔다.# 그리고 문정전으로 가는 길에 새롭게 복도각이 설치되었다. 여기서 복도각은 혼령이 드나드는 이란 의미를 갖는다. 복도각 역시 일제강점기에 철거되었고 1986년 문정문, 문정전이 복원될 때 함께 지어지지 못한 채 현재에 이른다.
[image]
<동궐도>에서 묘사 한 문정문과 문정전


[1] 보통 한옥의 경우 1층보다는 단층(單層)으로 말한다.[2] 부재 끝부분에만 문양을 넣고 가운데는 긋기로 마무리한 단청이다.[3] 魂殿. 임금이나 왕비국장 뒤 3년 동안 신위(神位)를 모시던 전각.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