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이문원
[clearfix]
1. 개요
昌德宮 摛文院
창덕궁 규장각 구역에 있는 건물이다. 조선의 왕실 도서관 및 학술연구기관 규장각의 사무청사이다.
규장각 기구에 대한 설명은 규장각 항목 참조.
2. 역사
정조는 즉위 직후인 1777년(정조 1년)에 창덕궁 후원에다 주합루를 짓고 그곳에 규장각을 두었다. 그러나 규장각의 규모가 커져서 주합루에 많은 책과 문서를 보관하기 힘들자, 1781년(정조 5년)에 옛 오위도총부 자리에 규장각을 새로 지어 이전시켰다. 이 때 사무청사로 지은 것이 이문원이다.
일제강점기에 헐렸다가 2000년 ~ 2004년에 복원했고 2005년부터 일반에 개방하여 오늘에 이른다.
3. 구조
- 긴 돌기둥 위에 건물을 올렸다. 정면 기둥 사이는 외부와 통해있으나, 나머지 돌기둥 사이에는, 장대석 한단을 깔고 그 위에 사고석과 벽돌로 고막이벽을 두었다. 뒷면 고막이벽에는 구멍을 뚫었다. 보관하던 책과 문서가 좀슬지 않게 환기와 통풍을 시키기 위한 용도인 듯 하다. 뒷면 가운데 3칸의 구멍은 벽돌에 2개 씩 뚫었고, 양 옆 칸의 구멍은 사고석에 1개 씩 뚫었다.
-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 공포는 이익공[2] 이다. 공포 사이에 장화반을 설치했다.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는 양성바름을 하고, 용두와 취두, 잡상을 올렸다. 지붕 측면의 합각은 나무판으로 마감했다.
- 출입문은 정면 가운데 3칸에 있으며, 그 앞에 나무로 만든 계단을 놓았다. 나무 계단 양 옆에는 난간을 설치했다. 난간은 풍혈을 뚫은 궁판 위에 하엽동자 모양의 난간기둥을 두고 그 위에 돌란대를 설치한 형태이다.
- 양측면과 뒷면의 외벽은, 하단부에 머름을 두고 그 위에 띠살창을 둔 모습이다.
4. 여담
- 이문원 앞 마당에 있던 측우기 받침대는 현재 국보 제331호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보관 중이다. 자세한 내용은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