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슈 리키

 

[image]
'''革命戦士 / Revolution Warrior'''
1. 프로필
2. 개요
3. 커리어
4. 둘러보기


1. 프로필



'''본명'''
곽광웅(郭光雄)
요시다 미츠오 (吉田 光雄)
'''링네임'''
'''초슈 리키(長州力)'''
'''생년월일'''
1951년 12월 3일 (72세)
'''신장'''
184cm
'''체중'''
120kg
'''출생지'''
일본 야마구치 현 토쿠야마 시[1]
'''피니시 무브'''
전갈 굳히기
리키 래리어트
'''주요 커리어'''
PWF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 1회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3회
IWGP 태그팀 챔피언십 3회
WWF 인터내셔널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IWGP 태그팀 챔피언십 1회
G1 클라이맥스 우승 (1996년)
세계최강 태그 결정 리그전 우승 3회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올해의 선수 (1987)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올해의 프로모터 (1995, 1996, 1997)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올해의 부커 (1992)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명예의 전당
'''별명'''
'''혁명 전사'''
'''입장곡'''
Power Hall[2]

2. 개요


[image]
'''長州力'''
일본프로레슬러로, 한국계 일본인이다. 2016년에 일본으로 귀화했는데, 스스로에게 있어선 여권 색이 바뀌는 일에 불과하다고 자서전에서 밝혔다.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중심으로 여러 단체에서 전설적인 커리어를 펼쳤다.

3. 커리어


성장 과정에서 재일 한국인이라는 점 때문에 차별을 받았다고 한다. 학생 시절에 아마추어 레슬링 선수로 훈련을 받아 센슈대학 재학 중 1972 뮌헨 올림픽에 자유형 레슬링 90kg 이상 급에 대한민국 대표로 출전한 적 있다. 올림픽 대표선발전 결과를 다룬 1972년 4월 24일자 중앙일보 기사. 그레코로만 라이트헤비급 대표 곽광웅이 실려 있다. 예선은 그레코로만형으로 통과했지만 본선에서는 자유형에 출전했다.[3] 그래서 프로레슬링 심판 출신의 미스터 타카하시의 책에 따르면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사카구치 세이지,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야츠 요시아키와 함께 실전에서도 강한 사람이라고 언급된다.
대학 졸업 이후 1974년에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데뷔한다. 안토니오 이노키가 지어준 링 네임인 "초슈 리키"에서 '''초슈(長州)'''는 출생지 야마구치현의 과거 별칭인 초슈 번[4]에서, '''"리키(力)"'''는 역도산의 "역(力)"에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 신일본 프로레슬링이 점보 츠루타의 대항마로 초슈 리키를 지목했을 정도로 기대를 한 몸에 받으며 미국, 멕시코 등에서 무사 수행을 하고 왔지만 별다른 인기를 얻지 못했기 때문에 1980년대 초까지 미드카더 수준을 넘지 못했다.
그러다 1982년 10월 8일에 당시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구사하던 후지나미 타츠미와의 대립으로 반등한다. 3살 연하였지만 초슈 리키에 비해 훨씬 창창한 커리어를 보내던 후지나미 타츠미에게 '''"나는 너의 들러리(噛ませ犬)가 아니야!"'''라고 일갈함으로써 전설적인 대립이 시작되었다고 알려져있는데, 실제로 "들러리" 발언을 한 것은 초슈 리키 본인이 아닌 링 아나운서였다고 한다. 다만 이 발언 자체는 쵸슈가 이미 인터뷰를 통해서 발언을 했고 이것을 링 아나운서가 인용을 해서 사용했다고 한다. 이를 통해 반역의 아이콘, 혹은 '''"혁명전사"'''로서의 정체성이 자리잡게 되었다. 후지나미 타츠미와의 경기들은 '명승부 풀이 노래'라고 일컬어지며, 본인의 위상이 크게 상승하지는 않았지만 1983년 4월 3일에는 후지나미 타츠미를 이기고 WWF 인터내셔널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등극하는 등 서로에게 윈윈이 된 대립이었다.
1983년에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탈단한 채 프리로서 신일본에 참전하다가 1984년 안토니오 이노키의 단체 운영방식에 불만을 품은 선수들과 같이 이탈하여 저팬 프로레슬링[5]을 창설한 후 실질적으로 전일본 프로레슬링에 참전하여 많은 영향을 주고받는다. 이때 스탠 핸슨, 텐류 겐이치로, 점보 츠루타 등과 경기를 가지며 활약한다. 그러다 1986년 1월 28일에 야츠 요시아키와의 태그로 학용 콤비(점보 츠루타 & 텐류 겐이치로)에게 도전한 NWA 인터내셔널 태그팀 타이틀 매치는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1986년 올해의 경기 2위에 이름을 올렸으며, 데이브 멜처에게서 5성 만점을 받았다. 1987년에 전일본 프로레슬링 측과 참전 문제를 두고 충돌이 생겼고, 당시 소속이던 재팬 프로레슬링 안에서도 내분이 생긴다.
전일본 프로레슬링에 입단하는 선수와 은퇴를 결정하는 선수, 제3의 길을 가는 선수들과 다르게 신일본 프로레슬링에 재입단해서 안토니오 이노키와 성공적으로 대립한다. 그러다 마에다 안면축격사건의 피해자가 되면서 신 UWF의 탄생에 엮이게 된다. 그래도 후지나미 타츠미와의 대립으로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1988년 올해의 경기 8위에 이름을 올리고,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세 번 차지하는 등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성공적인 커리어를 보내는 동시에 1990년대에는 신일본의 현장감독으로서 활동하며 G1 클라이맥스 등의 아이디어를 내놓았다. 1998년 1월 4일에 도쿄돔에서 은퇴를 하게 되는데, 이때 등장한 마에다 아키라와 화해하게 된다. 하지만 이후 오니타 아츠시와 대립하면서 2000년 7월 30일에 전류폭파 데스 매치를 통해 선수로 복귀한다.
2002년에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나와 WJ(World Japan) 프로레슬링을 설립했지만 대차게 망하는데, 당시 제자로 받아주길 요청하는 이시이 토모히로에게 가르침을 주었다. 신일본 프로레슬링에 복귀한 후 레전드 군단의 일원으로 활동하다가 2010년대부터는 올드 프로레슬러들 중심의 프로레슬링 흥행에 간간이 참전한다. 한편 용과 같이 극2에서 본인의 모델링으로 등장하거나, NHK 대하드라마 세고돈에서 조슈 번의 키지마 마타베 역으로 특별 출연하는 등 예능계에서도 활동한다.
2019년 6월 26일 "POWER HALL 2019 ~New Journey Begins" 흥행을 마지막으로 두 번째로 "링 슈즈를 벗었다."[6] 후지나미 타츠미 & 무토 케이지 & 마카베 토우기를 상대로 코시나카 시로 & 이시이 토모히로와 함께 팀을 맺은 6인 태그 매치를 가졌으며, 마카베 토우기의 킹콩 니 드랍에 핀을 당함으로써 커리어를 마감했다.
은퇴 이후 한때 프로레슬링 NOAH의 모기업이던 리딧트 엔터테인먼트의 대표이사로 있으며 프론트에서 활약하다가 2020년 NOAH를 DDT 프로레슬링의 모기업 사이버 에이전트에게 단체를 매각하였다. 이후 GREAT라는 단체를 창설한다.

'''POWER HALL 2019: THE FINAL RHAPSODY'''
이시이 토모히로, 코시나카 시로, 초슈 리키 vs. 후지나미 타츠미, 무토 케이지, 마카베 토기

4. 둘러보기


[image] '''역대 G1 클라이맥스 우승자'''
'''1995'''

'''1996'''

'''1997'''
무토 케이지

'''쵸슈 리키'''

사사키 켄스케
[image] '''레슬링 옵저버 선정 올해의 레슬러'''
릭 플레어
(1986)


'''초슈 리키
(1987)
'''

마에다 아키라
(1988)

[image] '''레슬링 옵저버 선정 최고의 부커'''
바바 쇼헤이 (전일본 프로레슬링)
(1991)


'''초슈 리키 (신일본 프로레슬링)
(1992)
'''

짐 코넷 (SMW)
(1993)

[image]'''레슬링 옵저버 선정 5성 경기'''
1986년
1월 28일
UWF
NWA 인터내셔널 태그팀 챔피언십
텐류 겐이치로 & 점보 츠루타 vs '''이신 군단 (야츠 요시아키 & 초슈 리키)'''

[1] 본인의 고향과 가까운 일본 프로 야구팀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골수 팬이다.[2] 일본의 전자음악 밴드 P-MODEL의 리더 히라사와 스스무가 외주활동을 하던 시절 작곡한 곡이다. 다만 히라사와의 이름이 아닌 가명으로 크레딧되었고, 판권 등이 신일본 프로레슬링과 쵸슈 리키 본인의 회사에 있는 탓에 히라사와는 이 곡으로 인한 수익을 일절 받지 못한다고.[3] 점보 츠루타도 동 올림픽에 일본 대표 레슬러로 출전했다.[4] 그래서인지 2018년 NHK 대하드라마 세고돈에서 조슈 번(長州藩)의 기지마 마타베(来島又兵衛) 역으로 특별출연을 했다.[5] 1984년에는 저팬 프로레슬링을 창설하기 몇달 전에는 마에다 아키라를 중심으로 신일본을 탈단하고 UWF가 창설되었다. UWF와 저팬 프로레슬링은 경기 스타일은 다르지만 신일본 탈퇴세력이 창설했다는 공통점이 있다.[6] 본인은 이게 "은퇴"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이미 1998년에 "은퇴"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