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이네 그리스어

 


'''ἡ κοινὴ διάλεκτος'''[1]
'''코이네 그리스어'''
'''언어 기본 정보'''
어족
'''인도유럽어족
헬라어파
아테네-이오니아 방언
코이네 그리스어'''
문자
그리스 문자
'''언어 코드'''
ISO-639-3
'''grc'''[2]
1. 개요
2. 어원
3. 표기와 발음
3.1. 발음 재구의 문제
4. 고대 그리스어와의 차이점
4.1. 신약 그리스어


1. 개요


'''코이네 그리스어'''는 기원전 4세기부터 중세 그리스어가 사용될 때까지 쓰이던 그리스어로 현대 그리스어의 직계조상이자 고대 그리스어의 후손언어쯤 된다.
정확히 말하자면 코이네 그리스어를 부르는 표현인 '''ἡ κοινὴ διάλεκτος'''는 '보편방언'이란 뜻이다. 알렉산드로스 3세헬레니즘 제국을 건설한 이후로 자연스럽게 제국 곳곳에 그리스어가 널리 퍼졌는데, 당시에는 통일된 언어가 존재하지 않았고 표준어라는 개념이 부재했던 시대기 때문에 여러 방언 사이에 소통의 문제가 존재했다. 이 때문에 당시 사용되었던 여러 고대 그리스어의 방언들이 섞이며 코이네 그리스어가 자연스럽게 만들어졌다.
'''헬라어'''라는 표현과 이의 한자 음차인 '''희랍어(希臘語)'''는 주로 코이네 그리스어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3]
코이네 그리스어는 공식적으로는 동로마 제국에서 1453년까지 사용했지만 이때는 이미 중세 그리스어가 발생한 시기였기 때문에 실질적인 민중의 입말은 중세 그리스어 혹은 제국 내부에서 쓰인 다양한 언어들을 사용하는 경우가 현실이었고, 코이네 그리스어는 르네상스 당시 라틴어와 비슷하게 문학적 혹은 종교적 용도에 한하여 사용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현재는 더 이상 일상언어로 사용되지 않고 있지만 그리스도교 역사에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특히 정교회에서는 전례언어로 살아남아 오늘날에도 사용된다.[4] 이는 구약성서가 다른 언어로 처음 번역된 사례였던 칠십인역과 신약성서가 코이네 그리스어로 작성되었기 때문이다. 당시 지중해레반트 지역에서는 아람어와 더불어서 링구아 프랑카로 이용되었기 때문에 신약성서에 등장하는 수많은 인물들은 코이네 그리스어를 구사했다.

2. 어원


'''코이네'''는 코이네 그리스어 '''Κοινή'''에서 온 단어로 고대 그리스어[5]로는 코이네[6]라고 발음하고 코이네 그리스어로는 퀴네[7] 혹은 퀴니[8]라고 발음하며 전자가 더 옛 발음이다. 현대 그리스어로는 키니[9]라고 발음한다.
Κοινή라는 단어 자체는 κοινός[10]의 여성 주격 단수형 곡용[11]으로 보통의, 평범한, 보편적인이라는 의미이다. 즉 코이네는 말 그대로 보편적인 방언이라는 의미이다.

3. 표기와 발음


코이네 그리스어는 그리스 문자로 표기된다. 고대 그리스어가 코이네 그리스어로 변하면서 발음이 서서히 바뀌기 시작한 반면에 정서법은 보수적으로 유지 된 결과 비교적 철자와 발음이 일치했던 고대 그리스어와 다르게 코이네 그리스어는 정확히 쓰인대로 읽지는 않지만 정서법이 복잡하기로 유명한 영어프랑스어보다는 규칙적인 편이다. 기본적인 정보는 그리스 문자 항목에 설명이 되어있으니 참고하자.
그렇지만 코이네 그리스의 정서법은 프랑스어의 정서법과 비슷한 면모가 많은 편이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에서 ai는 /ɛ/ 혹은 /e/로 발음하는데 코이네 그리스어에서도 αι를 /e/로 발음한다. 또한 프랑스어에서 ou를 /u/로 발음하고 u 단독으로는 /y/로 발음하는데 코이네 그리스어 역시 ου를 /u/로 발음하고 υ 단독으로는 /y/로 발음한다.
코이네 그리스어는 오랜 시간 걸쳐 사용된 언어기 때문에 시대에 따라 발음법과 정서법이 계속해서 바뀌기 때문에 발음법이 다양하게 가르쳐지는데, 보통 널리 알려진 코이네 발음은 기원후 4세기경 사용된 발음이다. 더불어서 한국에서는 코이네 그리스어가 주로 개신교 교회를 통해 유입되기 때문에 신약 그리스어의 발음으로 알려진 단어들도 많은 편이다.

3.1. 발음 재구의 문제


고대 그리스어를 포함해서 코이네 그리스어는 오랜 시간 사용된 언어인 동시에 오랜 시간에 걸쳐 가르쳐진 언어이다. 코이네 그리스어가 사용되던 시기에는 이들의 발음을 녹음할 수 있는 장치가 없었기 때문에 그들이 정확히 어떤 식으로 발음했는지 우리는 알 수 없지만 이들이 남긴 기록들과 서적들을 이용해 그들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발음을 재구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 자세하게 다루는 영문 위키피디아 문서를 읽어봐도 알 수 있는 부분이지만, 오랜 시간에 걸쳐서 여러 재구음이 제시되었고 많은 학자들이 여러 가능성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에 코이네 그리스어의 발음법은 여러 지역 혹은 문화에서 다르게 이해하고 가르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한국에서는 네덜란드의 인문학자이자 신학자인 에라스무스의 재구음을 바탕으로 신약 그리스어의 발음을 가르친다.[12] 다만 많은 국가의 기독교 기관 및 학교에서는 에라스무스의 재구음을 바탕으로 하나 일정 부분 변형하거나 보수한 발음법에 기초하여 그리스어를 가르친다.
정교회동로마 제국의 전통을 따라 현대 그리스어 발음법으로 코이네 그리스어를 읽는다. 동로마 제국의 공용어는 중세 그리스어였고 꾸준히 라틴어를 사용했던 가톨릭 교회와는 다르게 변해가는 언어에 많이 관용적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스 본토에서도 한국에서 국어 시간에 중세국어에 대해 배우듯 고대 그리스어를 배우기도 하는데 이 과정은 한국에서 중세국어 교육 방식과 비슷하게 한다. 발음은 현대 언어의 발음을 따라서 읽지만[13] 현대 언어와 옛 언어 사이의 문법적 차이점이나 발음의 차이가 어떤 것이 있는지 설명하는 정도로 배운다고 한다.

4. 고대 그리스어와의 차이점


코이네 그리스어는 고대 그리스어 문법과 비교해서 소통이 불가능할 정도의 차이점을 보이지는 않지만 여러 방언들, 특히 아테네 방언과 이오니아 방언을 필두로 타협을 본 부분들이 많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방언 통합을 위해서 여러 방언에서 다르게 나타나던 불규칙 변화를 하는 단어들이 규칙적으로 변하거나 다른 단어로 대체되었고, 제1변화와 2변화와 비교해서 불규칙적이거나 복잡한 변화형이 많이 있는 제3변화 단어들이 1/2변화를 하기 시작한다. 다시 말해 인도유럽조어 시절부터 내려오던 불규칙 변화형들이 규칙적으로 변했다는 것이다.
또한 문법적 단순화가 일어나서 많은 사람들을 괴롭혔던 중간태가 점차 사라지며 재귀대명사를 이용한 용법으로 대체되기 시작했고, 대명사가 필요 없는 문장에서도 대명사를 끌어 온다던가 크고 작은 변화들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코이네 그리스어는 그리스어 역사의 과도기적인 시기라고도 볼 수 있는데, 여느 링구아 프랑카와 마찬가지로 넓은 지역에서 오랜 시간 사용된 언어인 만큼 계속해서 변화가 일어났고 이게 안정되면서 중세 그리스어로 변해갔다고 볼 수도 있겠다.

4.1. 신약 그리스어


흔히 개신교에서 헬라어라고 부르는 언어는 주로 신약에 쓰인 그리스어를 지칭하는데 신약에서 쓰인 코이네 그리스어는 예루살렘을 비롯한 대도시들을 필두로 유대 지역에서 사용된 방언이다.
방금까지 위에서 열심히 코이네 그리스어는 고대 그리스어의 여러 방언을 하나로 통합한 언어라고 설명을 해놓고서 왜 다시 코이네의 방언이냐고 물어 볼 텐데, 설명을 덧붙이자면 언어란 계속해서 변해가는 성질이 있으며 코이네 방언이 워낙에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지역별로 다른 방언들이 자연스럽게 발생했다.
유대 지역에는 유대인들이 많이 있었기 때문에 신약 그리스어는 주로 유대인들이 사용한 그리스어이다. 영어를 전세계 곳곳에서 배우지만, 특정지역이나 집단별로 사용하는 영어의 스타일이 다른 것과 비슷하다.
유대 그리스어는 문법이든 발음이든 당시 이집트 속주의 수도였던 알렉산드리아에서 사용된 코이네와 매우 유사하다. 그리스 본토보다 알렉산드리아와 거리가 더 가깝기 때문인 것 같다.

[1] 이 이름은 보편 방언 (common dialect)라는 의미로, 특정 언어를 지칭하는 표현보다는 당시 여러 고대 그리스어의 방언들이 섞이며 등장한 배경을 설명하는 표현이다. 눈치가 빠른 사람들은 금방 알 수 있겠지만 뒷부분 '''διάλεκτος'''는 영어 dialect의 어원이 되었다.[2] 현대 그리스어 이전의 모든 그리스어를 포함한다. 즉 고대 그리스어부터 중세 그리스어까지 포함.[3] 한자 음차인 희랍어의 경우는 발음의 유사성 때문에 아랍어를 가리킨다고 헷갈리는 경우가 종종 있으나 희랍어는 그리스어를 의미한다.[4] 이는 가톨릭에서 라틴어, 콥트 정교회에서 콥트어가 전례 언어로 사용되는 것과 비슷하다.[5] 아테네 방언[6] /koi̯.nɛ̌ː/[7] /kyˈne/[8] /kyˈni/[9] /ciˈni/[10] 코이네 발음으로 퀴노스 /kyˈnos/라고 발음한다.[11] 제1변화에 해당한다.[12] 에라스무스의 발음법은 그의 저서 De recta Latini Graecique sermonis pronuntiatione에 설명이 되어있으며 그는 본인의 이름을 따서 에라스미안 발음법 (Erasmian pronuntiation)이라 명명했다.[13] 중세국어 발음을 정확하게 배워서 읽지 않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