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고 공화국/외교

 




1. 개요
2.1. 대한민국과의 관계
2.2. 중국과의 관계
3.1. 프랑스와의 관계
3.2. 러시아와의 관계
4.2. 가봉과의 관계
4.3. 카메룬과의 관계
4.4. 앙골라와의 관계
5. 지역별 관계
6. 관련 문서


1. 개요


콩고 공화국의 외교에 관한 문서.
콩고 공화국은 대체로 주변국들과 관계가 깊다. 특히, 콩고민주공화국, 가봉과는 교류가 많은 편이다. 또한, 콩고 공화국은 프랑코포니, 아프리카 연합의 회원국이다.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프랑스와는 사이가 안 좋지만, 현재에도 프랑스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냉전시절에는 중국소련의 지원을 많이 받았고 냉전 이후, 소련이 해체된 뒤 출범한 러시아와는 매우 우호적이다. 현재에도 중국과도 매우 가깝다.

2. 아시아



2.1. 대한민국과의 관계




2.2. 중국과의 관계


러시아와 마찬가지로 중국와의 관계도 우호적이다. 그리고 콩고 공화국도 중국과의 교류가 매우 활발한 편이다.

3. 유럽



3.1. 프랑스와의 관계



19세기에 프랑스의 지배를 받다가 20세기에 독립했다. 프랑스의 지배당시에는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의 일부였다. 프랑스의 지배와 영향으로 프랑스어가 공용어이고 프랑코포니 회원국이다.

3.2. 러시아와의 관계


프랑스와는 정반대로 러시아와는 소련시절부터 매우 우호적인 편이다.

4. 아프리카



4.1. 콩고민주공화국과의 관계



콩고민주공화국과는 콩고 강 영유권 문제로 사이가 꽤 좋지 않다. 양국은 아프리카 연합에 가입되어 있고 프랑스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어서 프랑코포니회원국들이다. 사이가 안 좋은 것과는 별개로 킨샤사브라자빌과의 교류는 활발한 편이다. 하지만 두 도시를 잇는 다리는 아직 없어서 배를 타고 가야한다.

4.2. 가봉과의 관계



가봉과 콩고 공화국은 프랑스의 지배를 받다가 독립했다. 양국은 아프리카 연합, 프랑코포니의 정회원국이다. 가봉과 콩고 공화국은 항구도시가 있어서 항구도시를 통해 무역관계가 활발하다.

4.3. 카메룬과의 관계


카메룬과 콩고 공화국은 프랑스의 지배를 받은 적이 있었다. 이후에 독립했고 수교했다. 양국은 아프리카 연합, 프랑코포니의 정회원국이다. 카메룬의 두알라시는 콩고 공화국과의 무역관계가 활발하다.

4.4. 앙골라와의 관계


앙골라와 콩고 공화국은 프랑스와 포르투갈의 지배에서 각각 벗어난 뒤에 수교했다. 양국은 항구도시를 통한 무역관계가 활발하다. 또한, 아프리카 연합의 정회원국들이다. 월경지카빈다는 콩고 공화국과 접해 있다.

5. 지역별 관계



6. 관련 문서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