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연합

 

'''아프리카 연합'''
African Union

[image]
[image]
'''깃발'''
'''휘장'''
'''모토'''
A United and Strong Africa
'''찬가'''
Let Us All Unite and Celebrate Together
'''정치 중심'''
[image] 아디스아바바[1]
[image] 요하네스버그[2]
'''공용어'''
아랍어, 프랑스어, 영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스와힐리어 外 기타 아프리카 토속언어들
'''설립일'''
2002년 7월 9일
'''의장'''
[image] 시릴 라마포사
'''가입국'''
[image]
1. 개요
2. 정치
3. 경제 협력
4. 언어
5. 논란
5.1. 중국 측의 백도어?
5.2. 일부 국가들의 영향력 문제
6. 현재의 회원국
6.1. 옵서버 국가들
7. 역대 의장 목록
8. 창작물에서

[clearfix]

1. 개요


영어로는 African Union. 2002년 7월 9일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AEC)와 아프리카 단결 기구(OAU ; Organisation of African Unity)를 통합하여 창설한 아프리카 대륙의 국제 정부간 연합체로, 유럽연합 같은 연합체 창설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에티오피아의 수도인 아디스아바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공식언어는 영어, 프랑스어, 아랍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스와힐리어이다.
아프리카 연합은 1960년대부터 아프리카의 날이란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2020년 2월 10일에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아프리카 연합 정상회의에서 리비아의 평화를 위해 노력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확산되는 가운데, 6월 4일에 아프리카 연합은 코로나19 검사를 촉진하기 위해 보건인력 10만명을 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2. 정치


아프리카 연합도 유럽연합과 마찬가지로 각 회원국들을 중심으로 정치 협력을 추진중이다. 하지만 각 회원국간의 이견이 매우 큰 경우도 있다. 심지어는 회원국들마다 갈등도 생기는 경우와 영토분쟁, 민족분쟁, 종교분쟁으로 인한 갈등도 상당한 편이다. 또한, 회원국들중에도 쿠데타, 내부 사정, 민족 갈등, 종교 갈등으로 인해 회원국 자격이 정지된 경우도 있다.
여러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일부 회원국들은 통합을 하는 곳도 있다. 대표적으로 동아프리카 공동체가 있는데, 동아프리카 공동체는 장래에 동아프리카 연방을 추진중이다. 특히, 동아프리카 공동체는 동아프리카 연방으로 통합하기 위한 것이 순조롭게 진행중이면서 경제적인 통합에도 점차 다가서고 있으며, 연방의 헌법도 2020년 3월 준비가 됐다는 발표가 났다. # 여권도 통합 여권을 2017년부터 발행하면서 동아프리카 공동체는 발전되고 있다.
모로코는 예전에 아프리카에선 유일하게 아프리카 연합의 회원국이 아니었지만, 2017년에 아프리카 연합에 가입했다. 모로코가 서사하라장벽을 세우면서 아프리카 연합에서도 타협안을 제시할 정도의 관심은 표명하고 있다.
1대 의장이 타보 음베키였고 현재 의장은 남아공의 대통령이기도 한 시릴 라마포사이다.
2010년대에 보코 하람이 나이지리아와 주변국에서 테러 행위를 계속하자 나이지리아와 주변국 군대를 돕기 위해 아프리카 연합에서도 지원 병력을 보냈다.[3] 말리 내전이 일어났을 때에 프랑스를 지지하며 일부 회원국들이 지원군으로 참여했다. 2008년에 코모로의 앙주앙 섬에서 정부에 반기를 들었다가 코모로군과 아프리카 연합군에 무력 진압당했다. 그외에도 회원국들에 대해 군사적인 지원도 일부 이뤄지고 있다. 소말리아는 내전이 심해서 아프리카 연합측에서 평화유지군을 파병중이다.
2018년 7월 4일에 대한민국 외교부는 아프리카 연합과 협력해서 말리에서 이동식 병원을 설립했다.#
강경화 장관은 2019년 7월 11일에 아프리카 3개국을 방문중에 아디스아바바에서 무사 파키 마하마트 아프리카 연합 집행위원장을 면담하고 파트너십 강화 방안을 논의하면서 한-아프리카 연합 청년교류협력 양해각서도 체결했다.#

3. 경제 협력


90년대부터 아프리카 연합의 회원국들은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를 형성했다. 그외에도 아프리카 연합내에 일부 경제 공동체가 존재한다. 특히, 중앙아프리카 경제통화공동체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CFA 프랑을 공식적으로 도입해서 쓰고 있다. CFA 프랑서아프리카쪽은 2020년부터 에코로 바꿀 예정이라고 하다. 장래에는 에코 통화가 서아프리카 전역에서 통용될 가능성이 높다. 아프리카 통화 연합도 제시되었고 장기적으로 아프리카 연합의 회원국들의 화폐를 통합시킬 계획도 세우고 있다.
2018년 7월 3일에 아프리카 연합의 의장을 맡고 있는 르완다의 폴 카가메 대통령은 모리타니누악쇼트에서 열린 아프리카 연합 정상회의 폐막식에서 7월 2일에 아프리카 자유무역지대에 49개국이 참가하기로 합의하고 아프리카 대륙 자유 무역 협정에 남아공 등 5개국이 서명하는 등 거대한 아프리카 대륙 자유무역지대(!)가 생겨났다. ## 그리고 이주자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공동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
중국의 아프리카에 대한 영향력에 EU 측은 아프리카와의 경제협력을 강화하고 향후 5년간 일자리 1000만개를 창출하는 등 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
2020년 11월 11일에 나이지리아 정부가 아프리카 자유무역지대 협약을 비준했다.#
2021년 1월 1일에 세계 최대의 자유무역지대인 아프리카 대륙 자유무역지대(AfCFTA)가 출범했다.#1#2

4. 언어


유럽연합과 마찬가지로 공용어가 다양한 편이다.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스와힐리어가 공식적인 사무언어로 지정되어 있고 그외 여러 아프리카 토착어도 지정되었다. 중국의 영향이 매우 커서 중국어(표준중국어)도 사무언어로써 널리 쓰이고 있다.
아프리카 연합에는 아프리카 언어 아카데미가 2001년에 설립되어 있어서 아프리카내의 언어 사용과 보존을 목적으로 활동중이다.

5. 논란



5.1. 중국 측의 백도어?




5.2. 일부 국가들의 영향력 문제


설립 초기에는 리비아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힘이 지나치게 컸다. 리비아의 시르테 협정으로 아프리카 연합이 세워진 것은 부정할 수 없기에, 회의에 거의 참석하지 않은 리비아의 무함마드 자나티 서기가 아프리카 연합을 의장 위의 위치에서 사실상 지배했다.
무함마드 자나티 서기가 물러난 이후 리비아는 빠르게 힘이 빠져 자나티 서기 사임 약 1년 후 리비아의 무아마르 카다피가 할 수 없이 의장직을 맡았다는 이야기도 있다. 최근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집트의 비정상적인 영향력이 이슈가 되고 있고, 르완다 역시 국력에 비해 지나치게 영향력이 강하다는 논란이 있다.

6. 현재의 회원국


  • 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르완다
  • 리비아
  • 마다가스카르[4]
  • 말라위
  • 말리[5]
  • 모로코[6]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상투메 프린시페
  • 서사하라
  • 세네갈
  • 세이셸
  • 소말리아
  • 수단 공화국[7]
  • 스와질란드
  • 시에라리온
  • 알제리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이집트[8]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9]
  • 지부티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 튀니지

6.1. 옵서버 국가들


이외에도 아이티, 멕시코, 카자흐스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세르비아, 스페인, 터키, 우크라이나 심지어는 팔레스타인, 뉴질랜드(!), 미국(!), 캐나다도 옵서버 국가이다.[10]

7. 역대 의장 목록


시르테 선언 이후 정식 설립 전까지는 무아마르 카다피가 임시 의장직을 맡았다.
<colbgcolor=#006030><rowcolor=white><colcolor=white> '''#'''
'''이름'''
'''임기'''
'''국적'''
'''1대'''
'''타보 음베키'''
'''2002. 07. 09 ~ 2003. 07. 10'''
[image] '''남아프리카 공화국'''
'''2대'''
'''조아킹 시사누'''
'''2003. 07. 10 ~ 2004. 07. 11'''
[image] '''모잠비크'''
'''3대'''
'''올루세군 오바산조'''
'''2004. 07. 11 ~ 2006. 01. 24'''
[image] '''나이지리아'''
'''4대'''
'''드니 사수응게소'''
'''2004. 07. 11 ~ 2006. 01. 24'''
[image] '''콩고 공화국'''
'''5대'''
'''존 쿠푸오르'''
'''2007. 01. 30 ~ 2008. 01. 31'''
[image] '''가나'''
'''6대'''
'''자카야 키퀘테'''
'''2008. 01. 31 ~ 2009. 02. 02'''
[image] '''탄자니아'''
'''7대'''
'''무아마르 카다피'''
'''2009. 02. 02 ~ 2010. 01. 31'''
[image] '''리비아'''
'''8대'''
'''빙구 와 무타리카'''
'''2010. 01. 31 ~ 2011. 01. 31'''
[image] '''말라위'''
'''9대'''
'''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
'''2011. 01. 31 ~ 2012. 01. 29'''
[image] '''적도 기니'''
'''10대'''
'''야이 보니'''
'''2012. 01. 29 ~ 2013. 01. 27'''
[image] '''베냉'''
'''11대'''
'''하일레마리암 데살렌'''
'''2013. 01. 27 ~ 2014. 01. 30'''
[image] '''에티오피아'''
'''12대'''
'''모하메드 울드 압델 아지즈'''
'''2014. 01. 30 ~ 2015. 01. 30'''
[image] '''모리타니'''
'''13대'''
'''로버트 무가베'''
'''2015. 01. 30 ~ 2016. 01. 30'''
[image] '''짐바브웨'''
'''14대'''
'''이드리스 데비'''
'''2016. 01. 30 ~ 2017. 01. 30'''
[image] '''차드'''
'''15대'''
'''알파 콩데'''
'''2017. 01. 30 ~ 2018. 01. 28'''
[image] '''기니'''
'''16대'''
'''폴 카가메'''
'''2018. 01. 28 ~ 2019. 02. 10'''
[image] '''르완다'''
'''17대'''
'''압델 파타 엘 시시'''
'''2019. 02. 10 ~ 2020. 02. 10'''
[image] '''이집트'''
'''18대'''
'''시릴 라마포사'''
'''2020. 02. 10 ~ 현직'''
[image] '''남아프리카 공화국'''

8. 창작물에서


창작물에서 나오는 경우는 적은 편이다.

[1] 아프리카 연합 위원회 소재지[2] 범아프리카 의회 소재지[3] 아프리카 연합에서도 보코 하람에 대해 토벌 작전을 실시하는 등 대 IS 군사 개입을 한 상태이다.[4] 2009년 군부 쿠데타 로 인해 자격 정지되었다. 물론 실제로는 민중의 항쟁을 유혈진압한 라발로마나나 정부에 대항해 군부까지 나선 형태지만 어쨌거나 공식적으로는 쿠데타가 맞다는 것이 문제. 이 때문에 군부의 지지를 받은 라조에리나는 새로운 대선 출마를 포기하고 제3자를 내세운 선거를 치르고자 했으나 라발로마나나의 부인과 디디에 라치라카가 후보로 출마하는 일이 벌어지자 입장을 전격 변경했다. 현재 국제 사회의 입장은 셋 다 조용히 물러나라는 것.[5] 2012년 아마두 사노고의 쿠데타에 대한 책임을 물어 자격 정지. 기한은 제대로 된 정부가 수립되고 군부가 정치에서 손뗄 때까지. 2020년 이후 거의 제재가 완화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지만 2020년 쿠데타로 제재가 언제 풀릴 지는 의문.[6] 원래 아프리카 연합의 전신인 아프리카 단결 기구(OAU)의 원년 멤버였다. 그런데 OAU에서 서사하라를 독립국으로 인정하자 그에 항의하여 1984년 11월 12일부로 탈퇴했고, 아프리카 연합으로 바뀐 후에도 재가입을 거부했었다. 그러다가 2017년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AU 정상회담에서 회원국들은 모로코의 재가입을 승인하면서 다시 아프리카 연합에 재가입했다. # 모로코와 서사하라는 둘 다 아프리카연합 정회원국으로 불편한 동거를 하게 되었다.[7] 2019년 4월 군부 정계 개입에 대한 책임을 물어 자격이 정지되었다. 기한은 군부가 정치에서 손을 완전히 때고 과도정부가 집권할 때 까지.[8] 2013년 7월 군부의 정치 개입(쿠데타로 추정)에 대한 책임을 물어 자격이 정지되었다. 기한은 군부가 정치에서 다시 손떼고 병영으로 돌아갈 때까지.[9] 2013년 3월 셀레카 군벌 연합이 정권을 전복함에 따라 자격이 정지되었다. 역시 기한은 민주 정부를 제대로 수립하거나 셀레카 군벌 연합이 알아서 정치 개입을 그만둘 때까지.[10] 출처는 영어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