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YTL 침몰 사건
[image]
1. 사건 개요
1974년 2월 22일 (금), 오전 11시 경상남도 통영(당시 충무) 앞바다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항내 예인정(YTL)이 침몰해 해군과 해양경찰 전경[1] 훈련병 159명[2] 이 숨졌던 대참사이다. '''대한민국 해군 역사상 최악의 수치로, 이 사건은 현재까지도 전시가 아닌 평시 해난사고 중 세계 해군 사상 가장 큰 인명손실사건으로 기록되었다.'''
이날 사고는 해군신병 159기 및 이들과 함께 신병훈련을 받던 해경 11기 훈련병 316명이 해군 신병 훈련의 8주차 훈련일정으로 충무공 전적지 견학과 충렬사 참배를 하고 복귀하고자 YTL을 타고 모함인 전차상륙함 LST-815 '북한함'으로 이동하던 중, 갑자기 몰아닥친 파도를 피하려고 YTL이 급선회를 시도하다 균형을 잃고 전복, 침몰하면서 비롯되었다.
2. 사고 원인
사건은 명백한 인재(人災)였다.
- 당시 통영에는 폭풍주의보가 내려졌는데, 그럼에도 밤톨만한 YTL을 타고 충렬사 참배를 강행한다. 결국 사고 후 훈련병 양성과정에서 충렬사 참배를 폐지했고, 현재는 부사관후보생과 장교 양성과정에만 있다.
- 게다가 그 YTL의 정원은 150명, 한마디로 정원의 2배가 넘는 사람이 승선한 것이다.
- 거기에 사고 당시 순직한 정장의 조함 미숙도 사고를 불렀다.
- 훈련병들이 민무늬 전투복에 전투화 차림이었음도 사상자를 늘리는 데 한몫했다. 물에 빠지면 헤엄에 방해가 되는 신발을 신속히 벗어야 하는데, 목이 길고 무거운 전투화는 이것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3. 사고 이후
사고 직후 당시 정부는 해군참모총장 김규섭 제독과 참모차장을 경질하고 진해 해군교육단장과 신병훈련소장을 직위 해제하는 한편 훈련대대장 등 인솔 책임자 3명을 구속, 군법회의에 회부했다. 여기까지는 정말 좋았으나...
사고의 특성[3] 때문에 당시 국방부 검열단 및 해군은 '''과다인원승선·태풍주의보 발령시 훈련강행·조타사의 급회전 등 과실 부분은 숨기고 서둘러 유족들을 회유[4] 해 국립묘지 안장과 약간의 군사원호를 지급하는 조건'''에서 봉합했다.
또한 당시 구속된 교육단장이나 신병훈련소장 등 핵심지휘부는 별다른 처벌 없이 풀려났고 훈련대장(중령)이하 중대장, 소대장, 교관, 조교 등 인솔책임자 역시 복직해 '''만기전역'''했다. 그러니까 '''결과적으로 책임져야 할 사람들 중 실제로 책임을 진 사람은 아무도 없었으며 젊은 수병 159명만 바다에서 죽어간 것이다.''' 심지어 정장은 발견됐을 당시 키를 잡은 채로 사망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더욱 큰 충격을 주었다.
훗날 박근혜 정권에서 일어난 비슷한 인재 침몰 사고인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와는 달리 근 30년간 유족들과 생존자들은 침묵 속에 자체적인 모임을 통한 위령제를 지내야 했다. 전자처럼 억울하게 죽어간 원혼들이 국가와 대한민국 해군의 인정을 받게 된 것은 '''군사정권이 작살나고도 무려 11년이나 더 흐른 1998년 국민의 정부 때였다.'''[5] 그 때부터 통영 해군 전우회와 함께 합동위령제를 주관해오고 있다. 또한 2004년, 사고에서 살아남은 동기생들이 주축이 되어 '해군 해경 159위 위령탑 건립위원회'가 발족하면서 통영시, 해군, 해경과 함께 사고 현장에서 1㎞ 떨어진 정량동 망일봉에 건립을 추진하였고, 2006년 확정되어, 2007년 완공되었다.
이 사건 이후로 특히 한국 해군은 함정에서의 전투화 착용을 특별한 경우가 아닌 한 엄금하고 있으며[6] , 신병 및 부사관 교육 과정의 마지막에 행하는 함정 견학시 직접 승함할 경우 훈련복이 아닌 근무복 및 해상병전투복 차림으로 행했다. 최근엔 일정 단축으로 직접 타 보는 게 없어진 데다 수료 직전까지 전투복에 전투화 차림으로 훈련받는 것으로 바뀌었다.
해군신병 159기에서 159명이 죽었다는 소름끼치는 우연의 일치(정확히는 159기 중엔 153명, 나머지 6명은 정장 등 실무장병이다.)로 더욱 잘 알려졌으며, 미신에 민감한 해군 특성상 더욱 무시하기 힘들었다. 당시 사고를 간발의 차로 피한 남은 159기 훈련병 전원은 당시 모든 훈련에서 제외되었으며, 실무에서 또한 선임들의 배려아닌 배려로 70년대 군대답지 않게 매우 편한 생활을 했다고 한다. 하지만, 동기생 159명이 희생됐는데 마냥 편했을리가...
전 봉은사 주지인 명진 스님의 동생이 이 사건으로 희생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지금도 통영 해양경찰서는 매년 이 추모식을 거행하고 있으며, 이 곳에 부임하는 해경 직원 또는 해군 장병은 반드시 해경-해군 합동위령탑을 방문하여 헌화하고 참배한다.
4. 같이 보기
[1] 현 해양경찰청 의무경찰[2] 해군 109명(승조원 등 실무 장병 6명, 해군 신병 103명), 해경 50명[3] 당시 박정희 정권이 국민의 구심점으로 삼았던 충무공의 사당 충렬사를 참배하다가 일어난 사고인데다가 대자연의 장난으로 받아들이기엔 너무나 명확했던 인재인 점, 게다가 군 사고에 민감했던 군사정권 집권 시기에 일어난 사고[4] 유가족들의 태도가 워낙 강경했던 데다 언론을 통해 크게 알려져서 유가족들을 강압적으로 대하지 못했다. 분위기가 얼마나 흉흉했는지, 김규섭 제독의 후임으로 사태를 수습하던 중이었던 황정연 제독의 관용차가 거리에서 습격당했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고, 진해에서는 근무복 차림으로 출퇴근하다 시민들에게 봉변당하는 해군 장교들이 속출하는 바람에 한동안 사복 차림으로 출퇴근하라는 공문이 나오기도 했다. 인구의 반이 해군과 해군 가족들인 진해 분위기가 이 정도였으니, 대중들의 분노가 얼마나 컸을지 짐작할 수 있다(격월간으로 발간되는 해군지에 실린 관련 회고문에선 "진해가 무법천지가 됐다."는 언급도 나온다.).[5] 출범 직후, 이 사건을 비롯해 군사정권 당시 묻혔던 사건들을 해군-해경의 유족들이 진상규명을 해달라며 서울에서 1인 시위를 한 적도 있었다.[6] 전투복을 입어도 일반적으로 함상화(=구두 또는 운동화)를 착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