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표폐색
通票閉塞 / Tablet(token) instrument Block System / スタフ閉塞
1. 개요
철도교통의 신호보안을 위해 고안된 장치로 폐색식 열차신호장치 중 하나. 정식명칭은 '통표폐색식 열차보안장치'. 통표는 이 열차보안장치를 작동시키는 통행의 증표다.
2. 상세
철도는 단선일 경우 상행 열차와 하행 열차 모두가 사용한다. 이 경우 선로는 한 열차가 사용하고 있으면 다른 방향에서 열차가 진입하지 못하도록 진입을 막아놔야 한다. 만약 두 방향에서 열차가 동시에 선로에 진입하면? 두말할 필요없이 사고가 나버릴 것이다. 이런 일을 막고 열차가 안전하게 다닐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옛날의 단선선로에서는 통표폐색이라는 철도보안장치를 사용했다.
가장 구식이긴 하지만 신호오류는 발생할 수는 없다. 아예 신호와 별개이기 때문이다. 보안도가 높다고 할 수는 없는데, 통표의 망실의 가능성이 있고, 통표 없이 다음 폐색에 진입한다 해도 이를 막을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통표는 10cm 정도의 놋쇠 원판으로 되어 있다. 중앙에 각각 원·사각·삼각·십자·마름모형의 구멍이 뚫려 있다. 이 구멍은 각 구간마다 정해져 있고, 순서대로 순환·지정되어 있다.
기관사는 통표수수구에 넣은 정해진 모양의 통표를 역장으로부터 받아 가져가지 않으면 열차를 발차시키지 못한다. 이 때문에 하나의 역 사이에서는 동시에 1개의 통표밖에 꺼낼 수 없게 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역장(혹은 역무원)은 플랫폼의 통표꽂이에 통표가 든 가죽가방을 꽂아두며, 진입하는 기관차에 탑승해 있는 철도기관사 중 1인이 손을 뻗어[1] G자 모양으로 생긴 통표걸이에 이전 역의 통표가방을 던져 걸어넣고, 통표꽂이에 꽂혀 있는 통표를 낚아챈다. 역 구내로 진입하며 기관차의 진입속도가 상당히 줄어들긴 해도 속도가 좀 붙어있는 편이라 손으로 잡기 힘들며, 주먹쥐고 팔뚝으로 통표가방의 고리를 낚아채는 게 정석이었다. 자칫 잘못하면 팔뚝에 멍이 드는 경우도 흔했다고 한다.
의왕 철도박물관에 있는 디젤동차(일명 니가타 동차)의 운전실 옆을 보면 창문도 없는데도 불구하고 웬 쇠창살같이 생긴 네모진 격자가 하나 용접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낚아챈 통표가방이 관성으로 차체에 부딪쳐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이다. 가죽가방에 들어있긴 하지만 통표 자체가 쇳덩이인데다 진입시 속도 때문에 풀스윙으로 차체에 오함마를 때리는 거나 마찬가지여서 차체가 움푹 찌그러지거나 반복된 충격으로 도장이 깨지는 수도 있고, 무엇보다 쿵 하는 소리에 승객들의 민원이 제기되어서라고 한다.[2]
대한민국에서 통표폐색 방식은 간선의 경우 2003년 12월까지 호남선 임성리역-목포역 구간, 2004년 8월까지 전라선 임실역-금지역 구간에서 쓰였고, 2020년 8월 기준으로 통표폐색을 활용하는 구간은 정선선 정선역-아우라지역,[3] 호남선 와룡역-김제역[4] 뿐이다.[5] 물론 저 구간 모두 열차가 뜸하게 다닌다(...). 서울교외선도 전 구간 자동폐색화 되었지만, 통표폐색기를 철거하지 않고 비상용으로 치장보관하고 있다.[6] 일영역 역무실에 관련 물품이 있다.
국내에는 의왕에 있는 철도박물관에 통표폐색기를 볼 수 있는데 무려 '''대한제국'''기에 쓰던 것이다.
일본의 철도박물관에서는 직접 통표폐색을 체험해 볼 수 있다고 한다.
일본은 아주 오래 전 통표폐색식이 아닌 '통표식' 통행제어를 일부 사철에서 사용한 적이 있는데, 이 경우는 폐색기를 쓰지 않고 릴레이식으로 통표만 전해주는 단순무식한 방법이다. 스태프(staff; スタフ)식이라고도 한다. 지금도 쓰는 곳이 몇 군데 있다.
철도의 왕국 일본 답게 여객 취급을 하는 몇몇 노선에서 아직도 현역으로 사용 중이다. 명칭은 다르나(스태프 폐색식, 통권 폐색식, 태블릿 폐색식 등) 원리는 비슷하다.
JR 그룹에서는 JR 니시니혼(에츠미호쿠선, 에치젠오노 - 쿠즈류코 간)을 더불어 JR 도카이(메이쇼선, 전 구간)에서도 사용중이다.
영업환경이 열악한 중소 사철에서도 현역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오이가와 철도(오이가와 본선, 카나야 - 신카나야 간), 쵸시 전기철도(쵸시 전기철도선, 나카노쵸 - 토카와 간), 코미나토 철도(코미나토 철도선, 카즈사우시쿠 - 카즈사나카노 간), 유리 고원철도(쵸카이산로쿠선, 전 노선), 나가라가와 철도(에츠미난선, 미노시로토리 - 호쿠노 간), 쿠마가와 철도(유노마에선, 전 노선)가 그러하다.
호조 철도는 개량형인 IC카드 통표를 사용하고 있다.
3. 작동 방식
A →→→ B
A에서 열차가 진입하여, B로 가는 상황을 생각해 보자.
- A에서 통행 가능한지 질의, B에서 확인한다.
- A에서 B의 통표폐색기를 잠근다(반개). 이제 B에서는 통표를 꺼낼 수 없으며, 통표를 수령해야 잠김을 풀 수 있다.
- B의 통표폐색기가 잠기면 A의 통표폐색기가 열리고 통표가 나온다(전개). 통표를 꺼내면 A의 통표폐색기도 잠기며, 이는 B에서 풀어주어야 한다.
- 이제 A-B 구간은 폐색되었으며, 통표가 없는 열차는 통행할 수 없다. 열차가 통표를 가지고 B로 이동한다.
- B에서 통표를 수령하면 통표폐색기의 잠금을 푼다.
- B에서 A의 통표폐색기의 잠금을 풀어준다. 이제 처음 상태가 되었다.
4. 참고 문헌
5. 관련 문서
[1] 7400호대 특대는 대개 기관실 옆 난간에 서 있고, 디젤동차의 경우 창문 밖으로 팔을 뻗었다.[2] 그래서 경원선 구간을 다닌 동차에는 이 격자가 붙어있지 않다. 당시 통표폐색은 의정부 이북에서 실시했기 때문이다.[3] 정기 여객열차가 통표를 쓰는 유일한 구간이다. 이 노선은 정선역에서 가져온 통표를 이용해 아우라지역에 있는 선로전환기 쇄정해제후 선로를 전환하는 특이한 방식으로 이용한다.[4] 본선 통과 차량은 상관없고, 와룡역 입출고 열차가 운행할 때만 사용. 왕, 복편 모두 하선에서만 통행한다.[5] 문경선 점촌역-주평역 구간은 2018년 4월 30일 이후, 장생포선 태화강역-장생포역 구간은 2017년 12월 29일 이후부터 운행 중지됐다.[6] 절전 관계로 신호기를 아예 꺼놨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