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피컬 루즈! 프리큐어
[clearfix]
1. 개요
18번째 프리큐어 시리즈이자 16대 프리큐어에 해당되는 작품이다. 2020년 11월 25일에 잡지를 통해 타이틀이 공개되었고[1] 11월 27일에 공식 사이트가 오픈되었으며 2020년 12월 1일에 본 상표를 등록했다. 12월 26일에 사이트 개편으로 관련 정보가 공개되었고 2021년 1월 31일에 예고편이 공개되었다. 첫 방영시기는 2021년 2월 28일.'''메이크업으로 체인지! 무적의 의욕!'''
'''(メイクでチェンジ!ムテキのやる気!)'''
캐치 프레이즈
2. 관련 정보
- 2021년 가을에 단독 극장판 개봉이 확정되었다.# 이미 2021년 3월에 힐링굿♡ 프리큐어 단독 극장판이 개봉되는데 사실상 크로스오버는 건너뛰고 단독 극장판으로만 진행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정황상 힐링굿♡ 프리큐어 단독 극장판의 동시상영작 극장판 트로피컬 루즈! 프리큐어 쁘띠 뛰어들어! 콜라보 댄스파티!를 크로스오버 작품으로 취급하는 모양.
- 2021년 1월 31일 오프닝과 엔딩 샘플이 공개되었다.
- 방영 며칠을 앞두고 신전사 이름이 유출되는 것이 거의 연례행사 수준처럼 되어버렸는데[3] 아니나다를까, 이번에도 신전사 명칭이 유출되었다. 변신 아이템인 트로피컬 팩트의 해킹을 통해 밝혀진 신전사의 이름은 큐어 라메르.
3. 줄거리
4. 특징
- 컨셉은 바다+화장. 무대는 남쪽 지방을 테마로 한 해변 마을. 테마는 "지금 가장 중요한 일을 하자!"이다. 화장은 예뻐지려는 용도보다는 자신에게 의욕을 불어넣기 위한 아이템으로서 묘사될 예정이다.출처 극중에 등장하는 화장품 브랜드가 실제로 판매될 예정이다.
- 최초로 주인공인 나츠우미 마나츠의 상징색이 무지개색과 흰색이다. 이전 무지개색 프리큐어들은 상징색은 무지개색이고, 서브컬러는 따로 있었지만 이번 주인공은 따로 서브컬러를 정하지 않고 둘 다 상징색으로 인정했다. 프리큐어 Splash Star 이후 15년만에 주인공의 퍼스널 컬러가 핑크가 아닌 다른 색이다.
- 각 프리큐어들의 성에는 삼수변(氵)이 있는 한자가 포함되어 있다. 나츠우미 마나츠=夏海まなつ, 스즈무라 산고=涼村さんご, 이치노세 미노리=一之瀬みのり, 타키자와 아스카=滝沢あすか.
- Go! 프린세스 프리큐어 이후 6년만에 주인공 포지션의 캐릭터가 중학교 1학년이며, 멤버 구성에 중학교 2학년이 1명밖에 없다. 또한 프리큐어 시리즈로서는 최초로 중3이 1명만 등장하게 된다.[4]
- Yes! 프리큐어 5 이후 14년만에 멤버 구성에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이 모두 포함된 시리즈이다. 차이점이 있다면 프리큐어 5는 중학교 1학년이 카스가노 우라라 한명 뿐이나, 본작은 나츠우미 마나츠와 스즈무라 산고 총 두 명이다.
- 프리큐어 시리즈로서는 최초로 2월 말(2월 28일)에 방영을 시작하여 역대 프리큐어 시리즈 중 가장 늦게 방영을 시작한 시리즈가 되었다. 전작 힐링굿♡ 프리큐어가 중간에 코로나바이러스-19 영향으로 인해 약 2개월 간 휴방을 한 영향 때문에 2월 초에 시작했던 선대 프리큐어 작품들과는 달리 다소 늦게 첫 방영을 시작한 것이다. 어떻게든 2월말에 맞추어 방영하게 된 것은 프리큐어 시리즈 역사상 2월 방영 시작이 아닌 작품이 단 하나도 없었기 때문인 것도 있고, 무엇보다 신학기 시작에 맞추어 상품 판매에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해서일 가능성이 높다.
- 전작에 이어서 CRE8BOY가 엔딩 안무를 담당한다.
5. 등장인물
5.1. 등장 필살기
5.2. 등장 아이템
6. 설정
- 아오조라 시(あおぞら市)
본작의 무대가 되는 도시. 이름은 '푸른 하늘'이란 뜻.
- 미나미노 섬(南乃島)
나츠우미 마나츠의 고향. 이름은 '남쪽 섬'이란 뜻.
- 그랑 오션(グランオーシャン)
인어의 나라. 작중에서는 미루기 마녀의 침공으로 의욕 파워를 빼앗겼다.
- 미루기 마녀 일당(あとまわしの魔女)
본작의 악의 조직. 어두운 해저에 살고 있으며, 인간들의 의욕 파워를 빼앗는다.
- 의욕 파워(やる気パワー)
이름 그대로 의욕의 에너지. 야라네다에 의해 빼앗기면 의욕을 잃고 모든 것을 뒤로 미루고 싶어지게 된다. 인간은 물론 인어를 비롯한 그랑 오션의 주민들도 갖고 있다. 그리고 프리큐어는 야라네다에게 의욕 파워를 빼앗기지 않는 특성을 지녔다.
7. 주제가
7.1. 오프닝
7.2. 엔딩
8. 회차 목록
9. 해외 방영
10. 평가
10.1. 스토리 및 캐릭터
본작에서 가장 주목을 받는 것은 인어 조력자 로라의 존재다. 이전 시리즈에서 프리큐어들에게 의지하던 요정들과 달리, 여왕이 되려는 자신만의 목적을 가지고 있으면서 자존심도 강한 모습을 보여, 단순히 프리큐어의 보조 캐릭터가 아니라 독자적인 포지션을 어필하였다. 전작 힐링굿♡ 프리큐어의 힐링 애니멀들이 또다른 주역으로 그려져 호평이었던 것을 더욱 발전시켰다고 할 수 있다.
10.2. 작화 및 연출
Go! 프린세스 프리큐어 때부터 평이 무척 좋았던 나카타니 유키코의 캐릭터 디자인이 굉장히 호평을 받고 있으며, 방영 시작하기도 전부터 인기를 끌고 있다. 화려하고 독특한 채색과, 캐릭터들의 성격과 고유의 개성이 잘 살아있다는 평을 받는다. 그리고 프리큐어들 이상으로 인어 로라의 디자인이 매우 평이 좋으며, 요정 쿠루룬도 귀엽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전부터 개그로 정평이 났던 츠치다 유타카 감독답게 스마일 프리큐어의 뒤를 잇는 역대급 개그물이란 평을 받고 있다.[9] 오프닝은 개그 연출로 일본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명성이 높은 다이치 아키타로[10] 가 담당했으며, 본편 또한 인물들의 몸개그와 얼굴개그부터 화면 연출까지 스마일 못지않거나 그 이상이라는 평이다.
액션 연출도 뛰어난데 1화 액션은 Go! 프린세스 프리큐어에 비견될 만한 화려한 육탄전을 선보였다. 고프리 같은 현란한 카메라 워크나 화려한 이펙트는 없지만, 액션의 속도감에 있어서는 더 낫다고 할 수 있을 정도이다.
배경 미술은 프리큐어 시리즈치고는 특이하게도 사실감을 살리기보다는 단순화시킨 느낌이다. 호불호가 갈릴 수 있는 부분이지만. 퀄리티 자체는 높고 도시와 건물 디자인은 무척 세련되게 되어있다.
엑스트라의 작화가 뛰어난 것도 특징 중 하나다. 엑스트라들 패션이 은근히 주역들 못지 않게 잘 되어있다. 그리고 수족관이나 바닷속에 있는 해양생물들의 작화도 매우 뛰어나다.
반면 채색은 원색 위주로 했으며 촬영 효과를 많이 넣지 않아 최근 채색 트랜드와 맞지 않는다고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11. 미디어믹스
11.1. 코믹스
나카요시 2021년 3월호부터 코믹스판 공식 연재가 결정되었다.#
11.2. 앨범
11.3. DVD
[1] 일반적으로 프리큐어 신작은 10월 초에 상표 등록이 이루어지고, 10월 말에 발표되는 것이 보통인데, 이 작품은 코로나 사태의 여파 때문인지 정보가 1개월이나 늦은 11월 말에 잡지를 통해 타이틀이 공개되었다.[2] 현재는 판매링크가 모두 내려간 상태이다.[3] 멀리 갈 것 없이 전작만 해도 라떼 완구 해킹을 통해 신전사 큐어 어스의 존재가 밝혀졌다.[4] 이전에 나온 중3 프리큐어들은 모두 같은 학년의 친구와 같이 나오고 프리큐어가 되었다.(아키모토 코마치(큐어 민트)&미나즈키 카렌(큐어 아쿠아), 아마미야 에레나(큐어 솔레유)&카구야 마도카(큐어 셀레네). 단 전자는 원래부터 둘이 서로 친한 사이였지만 후자는 원래 같은 학년이었지만 서로 친한 사이가 아니었다가 프리큐어가 된 이후에 서로 친해지게 된 경우이다.[5] 코마가타 유리의 뒤를 이어서 밀리마스 아이돌 성우가 프리큐어 시리즈 오프닝을 맡은 2번째 케이스이며. 아이마스 전체로 따지면 쿠로사와 토모요, 이소베 카린, 코마가타 유리에 이은 4번째. 한편 Machico의 프리큐어 주제가 참여는 이번이 두번째로, 전작 힐링굿♡ 프리큐어의 1쿨 엔딩을 부른 바 있다.[6] 전전작 엔딩을 불렀다.[7] 국내에서는 정식 방영이 이뤄지지 않는 작품이므로 한국어 번역명은 임의로 서술되었다.[8] 스태프롤에 연출만 표기되었을 경우는 콘티도 같이 담당한 것으로 간주한다.[9] 스마일 프리큐어에서 개그로 유명한 에피소드들 중 상당수는 츠치다 유타카가 콘티와 연출을 맡았으며, 개그 연출이 돋보이는 프리아라 극장판의 감독 또한 맡은 바 있다.[10] 대표작으로는 개그만화 보기 좋은 날, 괴짜가족, 멋지다! 마사루 등. 트로프리처럼 오프닝에만 참여한 사례로는 나루토의 New Song이 있으며, 이쪽도 본편을 훌쩍 뛰어넘는 개그 연출이 특징이다.
||
||
11.4. B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