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츠 리스트/작품 목록
1. 개요
리스트는 대부분 피아노 곡을 작곡했지만, 피아노 외적으로도 교향시나 교향곡, 오페라 등 다방면의 장르의 곡들을 작곡하여 후대 음악계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그가 작곡한 곡들만 1,000여 곡이 넘는다. 리스트의 작품에는 초기 몇개의 작품을 제외하곤 통상적인 Opus Number가 붙어있지 않으므로 R. 샤르닌 뮐러(R. Charnin Mueller)와 M. 에크하르트(M. Eckhardt)가 정리한 LW. 와 험프리 설(Humphrey Searle)이 1966년에 리스트의 음악이라는 책을 낼때 정리한 설 번호(Searle Number)가 사용된다. 이 정리 방식은 후에 샤론 윙클호퍼(Sharon Winklhofer)에 의해 덧붙여졌으며 레슬리 하워드가 리스트 전집 녹음작업 때 새로 발견된 곡을 더 추가하였다. 본 페이지에서는 더 논리적인 설 번호를 사용하여 정리하였다.
2. 오페라
3. 종교 합창곡
- S2 The Legend of St. Elisabeth (성 엘리자베스의 전설) - Otto Roquette의 대본에 의함,1857-62
- S3 Christus (크리스투스 - 성경과 가톨릭 미사에 의한 오라토리오),1855-67
- I.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 1. Introduction 서주
- 2. Patorale and Annunciation 목가곡과 수태고지
- 3. Stabat mater speciosa 아름다운 성모 마리아 서있네
- 4. Shepherds' song at the manger 구유에서 부르는 목자의 노래
- 5. The Three Holy Kings (March) 3명의 성스러운 왕 (행진곡)
- II. After Epiphany 주님공현대축일 이후
- 6. The Beatitudes 팔복
- 7. Pater noster 우리의 아버지
- 8. The Foundation of the Church 교회의 기초
- 9. The Miracle 기적
- 10. The Entry into Jerusalem 예루살렘으로
- III. Passion and Resurrection 고난과 부활
- 11. Tristis est anima mea 내 영혼의 슬픔
- 12. Stabat mater dolorosa 슬픔의 성모 서있네
- 13. O filii et filiae 오 아들과 딸이여
- 14. Resurrexit 하늘로 오르셨네!
- I.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4. 세속 합창곡
5. 관현악곡
5.1. 교향시
- S95 Poème symphonique No. 1 Ce qu'on entend sur la montagne (Berg Symphonie) 교향시 1번 산위에서 들은 것 (산악 교향곡) (3개의 판본) (1848–49, 1850, 1854)
- S96 Poème symphonique No. 2 Tasso, Lamento e Trionfo 교향시 2번 타소, 비탄과 승리 (3개의 판본) (1849, 1850–51, 1854)
- S97 Poème symphonique No. 3 Les préludes 교향시 3번 전주곡 (1848)
- S98 Poème symphonique No. 4 Orpheus 교향시 4번 오르페우스 (1853–54)
- S99 Poème symphonique No. 5 Prometheus 교향시 5번 프로메테우스 (2개의 판본) (1850, 1855)
- S100 Poème symphonique No. 6 Mazeppa 교향시 6번 마제파 (2개의 판본) (1851, b.1854)
- S101 Poème symphonique No.7 Festklänge 축제의 함성 (1863년 출판본에 개정 추가) (1853)
- S102 Poème symphonique No.8 Héroïde funèbre 교향시 8번 장례의 시가 (2개의 판본) (1849–50, 1854)
- S103 Poème symphonique No. 9 Hungaria 교향시 9번 헝가리아 (1854)
- S104 Poème symphonique No. 10 Hamlet 교향시 10번 햄릿 (1858)
- S105 Poème symphonique No. 11 Hunnenschlacht 교향시 11번 훈족의 전투 (1856–57)
- S106 Poème symphonique No. 12 Die Ideale 교향시 12번 이상 (1857)
- S107 Poème symphonique No. 13 Von der Wiege bis zum Grabe 교향시 13번 요람에서 무덤까지 (1881–82)
5.2. 다른 오케스트라 작품들
- S108 Eine Faust-Symphonie (2개의 판본) 파우스트 교향곡 (1854, 1861)
- S109 Eine Symphonie zu Dante's Divina Commedia 단테 교향곡 (1855–56)
- S110 Deux épisodes d'apres le Faust de Lenau 레나우의 파우스트에 의한 2개의 에피소드 (두곡) (1859–61) [2]
- S111 Zweite Mephisto Waltz 메피스토 왈츠 2번 (1881)
- S112 Trois Odes Funèbres 3개의 장송송가 (3곡) (1860–66)
- S113 Salve Polonia 폴란드 노예 (1863)
6.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곡
- S120 Grande Fantaisie Symphonique on themes from Berlioz' Lelio (베를리오즈의 렐리오 주제에 의한 대 환상 교향곡),1834
- S121 Malediction (저주) -현악 합주와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1830 스케치(?),1840 개정(?)
- S122 Fantasia on themes from Beethoven's Ruins of Athens (베토벤의 아테네의 폐허에 의한 환상곡),1848-52
- S123 Fantasia on Hungarian Folk Themes (헝가리 민속 춤곡에 의한 환상곡),1852 - 헝가리안 랩소디 14번의 편곡
- S124 Piano Concerto No.1 in E♭ Major (피아노 협주곡 1번),1830년대 스케치,1849,1853,1856 완성
- S125 Piano Concerto No.2 in A Major (피아노 협주곡 2번),1839,1849-61 개정
- S125a Piano Concerto No.3 (피아노 협주곡 3번)
- S126ii Totentanz (죽음의 춤),1849(i),1853,1859(ii)
7. 실내악곡
8. 피아노 독주곡
8.1. 연습곡
- S136(op.1) Etude en 48 exercices dans tous les tons majeurs et mineurs (모든 장단조를 위한 48개의 연습곡),1826 - 12곡만 쓰여짐
- S137 24 Grandes Etudes (24개의 대 연습곡),1838 - S136의 개정판, 12곡만 쓰여짐
- S138. Mazeppa (마제파),1840(?) - S137 4번의 개정판, 빅토르 위고에 의함
- S139 Etudes d'execution transcendante (초절기교 연습곡),1851 - S137-8의 개정, S100 참고
- S140 Etudes d'execution transcendante d'apres Paganini (파가니니에 의한 초절기교 연습곡),1838[10]
- 1. g minor 사단조 [6]
- 2. E♭ major 내림 마장조. 카프리스 17번을 모티브로 하였다.
- 3. La Campanella 라 캄파넬라 [7]
- 4. E major 마장조: 카프리스 1번을 모티브로 한 곡.[8]
- 5. La Chasse 사냥: 카프리스 9번을 모티브로 하였다.
- 6. Theme and Variations 주제와 변주곡[9]
- S141 Grandes Etudes de Paganini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대연습곡),1851 - S140의 개정판. 전작인 파가니니에 의한 초절기교 연습곡이 매우 어렵다는 평을 받자, 리스트가 이를 참고하여 각종 난이도 하향을 통해 내보낸 버젼이다. 특히 4번, 6번이 대폭 너프되었고, 3번 라 캄파넬라는 난이도가 대폭 하향되고 기존보다 음악성을 더 살려 재출시하였다.
- S142 Morceau de Salon, Etude de Perfectionnement (살롱 소곡, 교칙본 완성 연습곡),1840, S97참고
- S143 Ab Irato, Etude de Perfectionnement de la Methode des methodes (화난 사람, 교칙본 완성 연습곡),1852 - S142의 개정판
- S144 3 Etudes de Concert (3개의 연주회용 연습곡),1848
- 1. Il lamento 슬픔
- 2. La leggierezza 가벼움[11]
- 3. Un sospiro 탄식
- S145 2 Concert Studies (2개의 연주회용 연습곡),1862-3
- 1. Waldesrauschen 숲의 속삭임
- 2. Gnomenreigen 난쟁이 춤[12]
- S146 Technical Studies (테크닉 연습곡),1868-80 - 12권[13]
8.2. 오리지널 작품
- S147 Variatio아 on a waltz by Diabelli (디아벨리 왈츠에 의한 변주곡),1822
- S148 Huit Variations (8개의 변주곡),1824
- S149 Sept Variations brillantes sur un theme de G.Rossini (로시니 주제에 의한 7개의 화려한 변주곡),1824
- S150 Impromptu brillant sur des themes de Rossini et Spontini (로시니와 스폰티니 주제에 의한 화려한 즉흥곡),1824
- S151 Allegro di bravura (화려한 알레그로),1824
- S152 Rondo di bravura (화려한 론도),1824
- S153 Scherzo in g minor (사단조 스케르초),1827
- S154 Harmonies poetiques et religieuses I(시적이고 종교적인 선율 1),1834 - 단일곡[14]
- S155 Apparitions (유령),1834
- 1. Senza lentezza quasi Allegretto 느리지 않게 약간 빠르듯이
- 2. Vivamente 활기차게
- 3. Molte agitato ed appassionato 매우 격렬하고 열정적으로 (슈베르트의왈츠에 의함) - S427/4참고
- S156 Album d'un Voyageur (여행자의 앨범),1835-6 - S157, 160(리용)을 참고[15]
- I. Impressions et poesies 인상과 시
- 1. Lyon 리용
- 2a. Le Lac de Wallenstadt 발렌슈타트의 호수
- 2b. Au bord d'une source 샘가에서
- 3. Les cloches de G.... G.... 의 종
- 4. Vallee d'Obermann 오베르만의 골짜기
- 5. La Chapelle de Guillaume Tell 윌리엄텔의 성당
- 6. Psaume 찬송가
- II. Fleurs melodiques des Alpes 알프스의 선율적 꽃
- 7a. Allegro 빠르게
- 7b. Lento 느리게
- 7c. Allegro pastorale 빠르고 목가적으로
- 8a. Andante con sentimento 느리고 감정적으로.
- 8b. Andante molto espressivo 느리고 매우 표현하여
- 8c. Allegro moderato 조금 빠르게
- 9a. Allegretto 조금 빠르게
- 9b. Allegretto 조금 빠르게
- 9c. Andantino con molto sentimento 느리고 매우 감정적으로.
- III. Paraphrases 패러프레이즈
- 10. Improvisata sur le Ranz de Vaches de Ferd 랑 드 바슈에 의한 즉흥 - Huber(후버)의 주제에 의함
- 11. Un soir dans les montagnes 산의 저녁
- 12. Rondeau sur le Ranz de Chevres de Ferd 랑 드 셰브르에 의한 론도 - Huber(후버)의 주제에 의함
- I. Impressions et poesies 인상과 시
- S157 Fantaisie romantique sur deux melodies suisses (두개의 스위스 멜로디에 의한 낭만적 환상곡), 1835 - S156-7b 참고
- S158 Tre Sonetti del Petrarca (세개의 페트라르카의 소네토), 1번째 판본,1839(?), S270의 편곡 - S161의 4-6 참고
- S159 Venezia e Napoli (베네치아와 나폴리), 초기판본,1840 - S96과 162 참고
- 1. Lento 매우 느리게
- 2. Allegro 빠르게
- 3. Andante placido 느리고 차분하게
- 4. Tarantelles napolitaines 나폴리탄 타란텔라
- S160 Annees de Pelerinage - Premiere Annee
(순례의 해 - 제 1년 <스위스>),1836(7),1848-54 나머지 곡들,S156의 개정 - 1. Chapelle de Guillaume Tell 윌리엄텔의 성당
- 2. Au Lac de Wallenstadt 발렌슈타트의 호수
- 3. Pastorale 파스토랄
- 4. Au bord d'une source 샘가에서
- 5. Orage 폭풍
- 6. Vallee d'Obermann 오베르만의 골짜기
- 7. Eglogue 목가
- 8. Le mal du pays 향수
- 9. Les cloches de Geneve 제네바의 종
- S161 Annees de Pelerinage - Deuxieme Annee
(순례의 해 - 제 2년 <이탈리아>),1-2번 1838-9,3번 1849,4-6번 1846년이후 S158의 개정,7번 1837년 스케치 1849년 개정 - 1. Sposalizio 혼례
- 2. Il Penseroso 명상에 잠긴 사람
- 3. Canzonetta del Salvator Rosa 살바로테 로자의 칸초네타
- 4. Sonetto 47 del Petrarca 페트라르카의 소네토 47번
- 5. Sonetto 104 del Petrarca 페트라르카의 소네토 104번
- 6. Sonetto 123 del Petrarca 페트라르카의 소네트 123번
- 7. Apres une lecture du Dante, Fantasia qausi Sonata 단테를 읽고, 소나타 풍의 환상곡[16]
- S162 Venezia e Napoli - Supplement aux Annees de Pelerinage 2de volume (베네치아와 나폴리 - 순례의 해 2년의 보유),1859, S159/3,4의 개정
- 1. Gondoliera 곤돌라의 뱃노래(S.159-3 개정)
- 2. Canzone 칸초네
- 3. Tarantella 타란텔라(S.159-4 개정)
- S163 Annees de Pelerinage - Troisieme Annee (순례의 해 3년),1-4번 1877,5번 1872,6번 1857, 7번 1877
- 1. Angelus! Priere aux anges gardiens 안젤루스! 수호천사에의 기도
- 2. Aux cypres de la Villa d'Este, Threnodie I 에스테 장의 삼목 장송가 I
- 3. Aux cypres de la Villa d'Este, Threnodie II 에스테 장의 삼목 장송가 II
- 4. Les jeux d'eaux a la Villa d'Este 에스테 장의 분수[17]
- 5. Sunt lacrymae rerum, en mode hongrois 애처롭도다, 헝가리 풍의 비가
- 6. Marche funebre 장송 행진곡
- 7. Sursum corda 마음을 정결하게
- S163a 2 Album Leaf (2개의 스케치),1828
- 1. Album Leaf in f♯ minor - Allegro vivace quasi presto (올림 바단조의 스케치 - 매우 빠르고 활기차게)
- 2. Andantino in E♭ major - pour Emile et Charlotte Loudon (내림 마장조의 느린곡 - 런던의 샬롯과 에밀리를 위해)
- S163b Album Leaf in A♭ major- "Ah! vous dirai-je, Maman" (내림 가장조의 스케치 - "아! 어머니, 당신께 말씀 드리죠"),1833[18]
- S163c Album Leaf in C minor - "Pressburg" (다단조 스케치 - "브라티슬라바"),1839
- S163d Album Leaf in E major - "Leipzig" (마장조 스케치 - "라이프치히"),1840 - 2개의 버전
- S163e Album Leaf - "Quasi mazurek in C major" (스케치 - "다장조의 마주르카처럼"),1843
- S164a Albumblatt in E (마장조의 소품),1841 - S210으로부터
- S164a - Album Leaf in E major - "Vienna" (마장조 스케치 - "비엔나"),1840
- S164b Album Leaf in E♭ major -"Leipzig" (내림 마장조 스케치 - "라이프치히"),1840
- S164c Album Leaf - "Exeter Preludio" (스케치 - "엑서터"),1840
- S164d Album Leaf - "Detmold" (스케치 - "데트몰트"),1841
- S164e Three Album Leaves - "Magyar" (3개의 스케치 - "마자르"),1840-41
- 1. B♭ minor 내림 나단조,1840 - S164e/2의 초기판본, S242/11에서 테마 재사용
- 2. B♭ minor 내림 나단조,1840 - S164e/1의 개정판, S242/11에서 테마 재사용
- 3. D♭ major 내림 나장조
- S164f Album Leaf in a minor - "Rákóczi-Marsch" (가단조 스케치 - "라코치 행진곡",1841 - S242a에 기초
- S164g Album Leaf in C major - "Berlin Preludio" (다장조 스케치 - "베를린 전주곡"),1842
- S164h Album Leaf in D major (라장조 스케치),1840년대 초반(?)
- S164j Album Leaf - "Preludio" (스케치 - "전주곡"),1842
- S164k Album Leaf - "Moderato in Db major" (스케치 - "내림 라장조의 보통빠르기 곡"),1842
- S164l Album Leaf - "Adagio -religioso in C major" (스케치 - "다장조의 종교적 아다지오"),1825
- S165 Feuilles d'album in A♭ major (내림 가장조의 소품),1844
- S166 Albumblatt in Walzerform (왈츠풍 소곡),1842
- S166a Album Leaf in E major (마장조의 스케치),1843 작품 목록 오류 추정(S166a의 초기판본?)
- S166a Album Leaf in A major (가장조의 스케치),1870 작품 목록 오류 추정(S166a의 개정판?)
- S166b Album Leaf in A♭ major - "Portugal" (내림 가장조 스케치 - "포르투갈"),1845
- S166c Album Leaf in A♭ major (내림 가장조 스케치),1845
- S166d Album Leaf - "Lyon Prélude" (스케치 - "리용 전주곡"),1844
- S166e Album Leaf - "Prélude omnitonique" (스케치 - "모든 조성의 전주곡"),1844
- S166f Album Leaf in F♯ major? - "Braunschweig Preludio" (올림 바장조(?) 스케치 - "브런즈윅 서곡"),1844
- S166g Album Leaf in a minor - "Serenade" (가단조 스케치 - "세레나데"),1840
- S166h Album Leaf -"Andante religioso in G major" (스케치 - "사장조의 종교적 안단테"),1846 - S166j의 초기판본
- S166j Album Leaf ("Andante religiosamente in G major" (스케치 - "사장조의 종교적 안단테),1846 - S166h의 개정판
- S166k Album Leaf in A major - "Friska" (가장조 스케치 - "프리스카"),1840년대 후반
- S166m Albumblätter für Prinzessin Marie von Sayn-Wittgenstein (마리 폰 자인-뷔트겐슈타인 공주를 위한 소곡집),1847
- 1. Lilie (Andantino) in C major - 릴리 (다장조의 안단티노)
- 2. Hryc 헤리크
- 3. Mazurek - Gdy w czystem polu (마주르카 - 깨끗한 지구에 서있을 때)
- 4. Krakowiak (크라코비아)
- S.170 리스트 발라드 1번
- S.171 리스트 발라드 2번
- S.171a Consolations (S.172의 초판[19] 총 6개의 곡)
- S.172 Consolations (위로[20] 6개의 곡)
- S.172a Harmonies poetiques et religieuses II(시적이고 종교적인 선율 2)
- S.173 Harmonies poetiques et religieuses III(시적이고 종교적인 선율 3)
- S.174 Berceuse(자장가)-2가지 version이 있음
- S.175 2 Legends
- S.176 Grosse Konzertsolo(Grand solo de concert, 연주회용 대독주곡)[21]
- S.177 Scherzo und Marsch
- S.178 리스트 소나타[22]
8.3. 춤곡
- S.208a Walzer in A major 가장조 왈츠, S.126b/2의 편곡
- S.213 Waltz impromptu A♭ major 즉흥 왈츠 내림가단조.
- S.214 3 Valse-caprice 3개의 caprice 왈츠
- S.215 Waltz oublièe 잊혀진 왈츠
- S.216 Mephisto Waltz No.3 메피스토 왈츠 3번 Katsaris - Mephisto Waltz No.3, S.215a의 두번째 판본, 연탄 편곡 S.615a
- S.216a Bagatelle Sans Tonalité (무조성의 바가텔) [23]
- S.216b Mephisto Waltz No.4의 초판[24]
- S.218 Galop 갤럽
- S.219 Grand galop chromatique(반음계의 대춤곡) [25]
- S.223 Two Polonaises(2개의 폴로네이즈)
8.4. 전통선율을 모티브로 한 작품들
'''오스트리아'''
- S.234 Hussitenlied 후스파의 노래
- S.235 God Save the Queen 하느님, 여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 S.694로 개정
'''독일'''
'''헝가리'''
- S. 244 헝가리 광시곡
- S.250 2개의 러시아 멜로디
- S.252 Rondeau fantastique sur un thème espagnol "La Contrabandista"(스페인 곡 "밀수업자" 주제에 의한 환상적 론도)
- S.253 스페인 대환상곡[26]
- S.254 스페인 광시곡 [27]
9. 가곡
S.282 Oh, quand je dors(아, 내가 잠이 들면)
S.295 Wo weilt er?(그는 어디에 사나요?)
10. 기타 성악곡
11. 음송곡[28]
- S346 Lenore 레오노레 (Bürger 뷔거), 1858
- S347 Vor hundert Jahren 100년 전 (F. Halm 할름) (분실?), 1859
- S348 Der traurige Mönch 슬픈 수도승 (Lenau 레나우), 1860
- S349 Des toten Dichters Liebe 죽은 시인의 사랑 (Jókai 요카이), 1874
- S350 Der blinde Sänger 맹인 가수 (Alexei Tolstoy 알렉세이 톨스토이), 1875
12. 관현악 편곡
13.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편곡
- S366 Wanderer Fantasy(Op.15)(슈베르트 - 방랑자 환상곡)
- S367a Konzertstück(Op.79)(베버 - 소 협주곡)
14. 오케스트라 반주를 단 가곡 편곡
15. 실내악 편곡
16. 피아노 편곡
- S.390 Réminiscences des Puritains 청교도의 회상, 2개의 판본[29]
- S.397 Réminiscences de Lucia di Lammermoor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의 회상
- S.394 Réminiscences des Norma 노르마의 회상
- S.400 Réminiscences de Lucrezia Borgia 루크레치아 보르자의 회상[30]
- Réminiscences de la Juive
- Grand Fantasy on Pacini’s Niobe 니오베 환상곡[31]
- Grande Fantaisie sur La Tyroliène de l'Opéra La Fiancée d'Auber
- Fantasie über Themen aus Mozarts Figaro und Don Giovanni
- Weber’s Konzertstück in F minor
- S.407 Valse de l'opéra Faust 파우스트 왈츠
- S.410 A Midsummer Night's Dream 한 여름밤의 꿈 중 축혼 행진곡
- S.412 Réminiscences des Huguenots 위그노의 회상
- S.413 Réminiscences de Robert le diable 악마 로베르의 회상
- S.418 Réminiscences de Don Juan 돈 후안의 회상[32]
- S.429 Tchaikovsky Polonaise from Eugene Onegin 차이콥스키 예브게니 오네긴 중 폴로네이즈 편곡
- S.433 Miserere du Trovatore 일 트로바토레 패러프레이즈
- S.434 Paraphrase de concert sur Rigoletto 리골레토 패러프레이즈
- S.438 Réminiscences de Boccanegra 보카네그라의 회상
- S.439 Wagner Phantasiestück über Motive aus 'Rienzi'
- S.442 Ouvertüre zu Tannhäuser 탄호이저 서곡
- S.451 Fantasie über Themen aus Webers “Der Freischütz”overture 베버 마탄의 사수 서곡 주제에 의한 환상곡
- S.470 Berlioz Symphonie Fantastique 베를리오즈 환상교향곡
- S.574 Weber’s Oberon overture 베버 오베론 서곡
- Réminiscences de La Scala
- S.420 Grande Fantaisie de bravoure sur la Clochette (작은종에 의한 화려한 대환상곡)
- Variations de Bravoure Sur Des Themes de Paganini -
- S.514 Mephisto Waltz No.1 메피스토 왈츠 1번 [33]
- S.515 Mephisto Waltz No.2 메피스토 왈츠 2번
- S.541 Liebestraumer, 3 Notturnos, (사랑의 꿈, 3개의 야상곡) S.307, S.308, S.298의 편곡. (1850)
- 1. Hohe Liebe (고귀한 사랑) - Ludwig Uhland의 시를 바탕으로
- 2. Seliger Tod (행복한 죽음) [34] - Ludwig Uhland의 시를 바탕으로
- 3. O lieb, so lang du lieben kannst! (사랑하라, 사랑할 수 있는 한!) - Ferdinand Freiligrath의 시를 바탕으로
- 3곡의 야상곡을 타이틀로 출판되었으며 이 중 3번째 곡인 녹턴(야상곡) 3번 A♭장조 작품의 경우 1847년 작곡된 "사랑할 수 있는 한 사랑하라"라는 곡으로 부제인 Liebesträume, <사랑의 꿈>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이 곡과 다른 2곡의 가곡인 "고귀한 사랑"과 "가장 행복한 죽음"을 함께 편곡해 출간한 것. 당연하지만 이 출판물의 이름인 Liebestraume를 아예 부제로 가지고 있는 3번 A♭장조 작품이 제일 유명하며 이 곡만이 현재는 이 이름으로 불리고 연주되고 있다. 리스트의 곡 중 헝가리 광시곡과 함께 가장 유명한 곡 중 하나로, 노다메 칸타빌레나 마법사의 밤 등 에서도 사용되기도 했다.
- S.555 Danse Macabre 죽음의 무도(교향시)[35]
- S.558
4. 마왕
'''슈만'''- S.566 Widmung(헌정)
17. 피아노 연탄 편곡
- S577a Field Nocturnes Nos. 1-9, 14, 18 and Nocturne Pastorale in E 필드 - 야상곡 1-9, 14, 18, 마장조의 목가적 야상곡
18.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편곡
19. 오르간 편곡
20. 오르간과 다른 악기들을 위한 편곡
21. 성악 편곡
22. 음송 편곡
23. 미완성 곡
- S687 Sardanapalo (사르다나팔로), 1849-51
- S692 Violin Concerto (바이올린 협주곡), 1860 (스케치)
- S692a The Four Seasons String quartet (사계 현악 사중주), 1880?
- S692b Piano Sonata, 1880 분실된 피아노 소나타 (S725/1)의 첫 페이지 [36]
- S695c Romancero espagnol 스페인 노래집 [37]
- S695f Cadenza for S514
- S696 Mephisto Waltz No. 4 (메피스토 왈츠), 1885 [38]
- S697 Fantasie über Themen aus Mozarts Figaro und Don Giovanni (피가로와 돈 지오반니의 주제에 의한 판타지), 1842 [완성되지]
- S700a Variations sur Le Carnaval de Venise de Paganini, 1843
- S700i Grande fantasie sur des thèmes de Paganini – [Variations sur] La clochette et Le Carnaval de Venise, 1845
- S700ii Grande fantasie sur des thèmes de Paganini – [Variations sur] La clochette et Le Carnaval de Venise, 1845 [39]
- S700a Variations sur le Carnaval de Venise (베니스의 카니발 변주곡), 1843?
24. 신빙성이 부족하거나 분실된 곡들
- S712 Romance oubliee (잊혀진 로맨스), S132, 비올라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편곡 - 리스트에 의해 편곡 되지 않음
24.1.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
- S713 Two concertos (2개의 피아노 협주곡), 1825 - 분실
- S714 Concerto in the Hungarian style (헝가리 스타일의 협주곡), (?)
- S715 Concerto in the italian style (이탈리아 스타일의 협주곡), (?)
- S716 Grande Fantaisie Symphonique in A minor (가단조의 대 환상 교향곡), (?)
[1] 피아노 반주를 곁들인 이야기라고 생각하면 쉽다. [2] S.110-2이 Mephisto Waltz No.1의 관현악 버전이다[3] 곡이 매우 길어서 리스트 연습곡 중에서도 어려운 곡에 속한다고 한다. [4] 빠르고 익살스러운 멜로디라서 리스트 연습곡 중 좋은 평가를 받는다.[5] 눈치우기, 심지어는 제설기 등으로 불리기도 하나 명백한 오역이다.[6] 본래 A단조였던 카프리스 5번의 도입부를 g단조로 내려 같은 조성인 카프리스 6번과 병합하였다.[7] 중간에 나오는 좀 생소한 멜로디는 파가니니 바이올린 협주곡 1번 3악장의 멜로디를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8] 4A, 4B가 있으며, 각각의 난이도는 극악 그 자체였다. 특히 4B는 리스트의 곡 중에서도 기교적으로도 최상위로 꼽히는 난이도이다. 이후 리스트가 이를 인지하고 후의 S141 개정판에서는 대폭 하향시켜 왼손/오른손을 둘 다 이용하는 아르페지오 형식으로 교체되었다. 악보에 60bpm이라 템포가 지시되어 있어서 그래도 리스트가 템포 지시는 자비적이었다는 신념이 있었으나 최근에 이 템포 지시가 리스트가 아닌 다른 사람에 의해 악보에 기입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리스트는 처음부터 이 곡에 특정 템포를 지시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큰 논란이 일었는데 리스트 의도대로 4b를 연주한다면 파가니니 카프리스나 파가니니 대연습곡 4번과 같은 Andante 32분음표는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속도이기 때문이다. 현재는 이 곡을 거의 파가니니 카프리스 1번과 같은 속도로 연주해야 한다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9] 원곡은 파가니니의 카프리스 24번 a단조. 이 곡집 자체가 파가니니의 바이올린 기교를 피아노로 재해석한 것에 가까워 그 많은 카프리스 24번 편곡중 원곡과 유사하다. 기교, 즉 테크닉적으로 연주하기 매우 어려워 브람스 파가니니 변주곡보다도 연주하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애초에 연주를 시도하려는 피아니스트가 거의 없다.[10]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연습곡과는 다르다. 더 정확히 설명하자면 그의 전신,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대연습곡은 그의 재개정판이다[11] 일각에서는 '경쾌' 라는 부제로도 알려져 있다.[12] 리스트 연습곡중 가장 난이도가 낮아서 입문용으로 많이 연주되고 있다.[13] 참고로 12권에 68개의 연습곡이 들어있다. [14] 2번째 버전은 S.172a no.8, 3번째 버전은 S.173 no.4이다.[15] 순례의 해의 초기 판본이다.[16] 단테소나타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리스트의 소나타는 현재까지 확인된 작품이 리스트 소나타 단 1개뿐이다.[17] 인상주의의 시발점으로 평가받는 작품으로 후에 모리스 라벨이 이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물의 유희(Jeux d'eau)를 작곡한다.[18] 흔히 말하는 작은별이다[19] S.171a no.3은 개정할 때 S.172에서 빠지고 후에 S.244 no.1 헝가리안 랩소디 1번에서 Lassan 전에 매우 긴 전주곡처럼 붙였다. 대신 S.172 no.3에는 새로운 곡이 들어갔다.[20] '위안'이라고 하기도 하며 제 3번이 특히 유명하다.[21] 2pf 버전으로 S.258, piano concerto 버전으로 S.365가 있다.[22] 이것이 리스트의 현존하는 유일한 소나타다. 나머지 소나타는 모두 어릴때 작곡한 곡들로 현재는 분실되었지만 리스트가 기억에 의존해 복원한 몇페이지의 스케치는 존재한다.[23] 리스트 말년의 작품으로, 무려 무조성을 시도한 곡이다. 당대로서는 매우 파격적인 시도이다. 그러나 현대의 무조성과 같이 12음계의 사용을 추구한 것은 아니고, 조성이 불규칙적으로 바뀌면서 들어가는 형태이다. [24] S.696의 초판본[25] 말 그대로 주제가 반음계로 이루어져 있는 갤럽(춤곡). 난이도는 반음계가 난무한 만큼 쉽지 않으며, 특유의 빠른 템포도 한몫한다. 옥타브 반음계, 빠른 반음계 상/하강 등, 반음계의 끝을 보여주는 곡. [26] 리스트의 피아노 독주곡 중 가장 어려운 곡 중 하나라고 평가받는 곡. NWC 피아노 유튜버인 Mendes가 이 곡을 사보하면서 인지도가 높아졌다.[27] 스페인 민요 중 'la folies d'Espagne'와 'Jota argonesa'라는 전통선율을 주제로 한 광시곡. 이전 2곡보다 난이도는 낮아진 편이고, 음악성은 더욱 높아졌다. 같은 주제를 변화무쌍하게, 즉흥적으로 변주하는 듯한, 리스트의 3개의 스페인 민요를 주제로 한 곡 중에서는 가장 자유로운 곡이다.[28] 피아노 반주를 곁들인 이야기라고 생각하면 쉽다. [29] 벨리니의 청교도를 편곡한 곡. 회상곡중에 난이도가 최상위권이다.[30] 리스트의 회상곡 중에서도 정말 끝판왕의 난이도를 자랑하는 곡. 2개의 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2곡 모두 사람의 한계를 넘어서는 속도와 테크닉, 20분이 넘어가는 긴 시간과 그동안 지속되는 빠른 템포로 인해 레코딩이 거의 없다. 실제로 유튜브에도 제대로 음반이 나오는건 Wolfram의 녹음 정도지만 Wolfram의 레코딩도 매우 어려운 난이도로 인해 원곡의 템포보다 느리게 연주하였다.[31] 탈베르크와의 피아노 경합 때 연주했던 곡이다.[32] 리스트식 기교가 집합되어있는 곡이다. 굉장히 어려우며 시간 날 때 들어보면 리스트가 당대에 어느 정도의 기교를 썼는지 대충 알 수 있다.[33] 리스트의 메피스토 왈츠는 4개가 있는데,4번은 미완성이고 1번이 제일 유명하다.[34] 보통 첫줄의 가사인 Gestorben war ich (나는 죽었었다)로 알려져 있다[35] 리스트가 작곡한 작품 S.126 Totentanz(Dance of Death-죽음의 춤) 와 영어식 이름이 같지만, 리스트의 Totentanz는 생상스의 것과 완전히 다른 작품이다.[36] 리스트가 1824년에 쓴 소나타의 첫페이지[37] 보통 스페인 서사시로 알려져있지만 romancero의 일반적인 번역은 romances, 리스트 협회 번역은 (spanish) songbook이다. romancero는 로맨스 혹은 발라드의 모음집으로 서사시의 의미와 거리가 멀다. 인지도가 낮은 이유중 가장 큰 것은 미완성 상태의 곡이라는 것. 바이마르에 자필본 형태로 남아있다가 레슬리 하워드가 완성하여 처음으로 출판것이 2009년의 일이다. 한국에서는 2020년에 알려졌을지 모르지만 이미 리스트 연구가와 애호가들 사이에선 이미 16년 전부터 알려져있었다. 대한민국에서는 NWC 전문 유튜버 Mendes의 발굴 덕분에 상당한 난이도를 자랑하는 곡으로 유명해지고 있다.[38] S216b의 2번째 버전; 미완성 안단티노 섹션이 S216b의 마지막 마디 전에 추가되었다[완성되지] 않았지만 초연한 기록이 존재한다. 대충 뼈대를 만들어놓고 즉흥으로 채워넣었을것. 부조니가 돈 지오반니 부분을 삭제하고 완성 시킨 버전이 유명하고 레슬리 하워드가 나머지 부분을 모두 포함한 형태로 완성시켜 녹음하였다.[39] 리스트 라 캄파넬라의 변주곡 버전으로 유명하지 않지만, 난이도는 매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