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후무

 


夏侯楙
생몰년도 미상
1. 개요
2. 정사
3. 연의
4. 기타
5. 미디어 믹스


1. 개요


삼국시대의 인물. 위나라의 무장으로 자는 자림(子林). 하후돈의 차남, 청하공주의 남편.
정사 삼국지, 위략, 삼국지연의 등 사서 및 창작물 사이에 캐릭터 차이가 전혀 없는 몇 안되는 인물로, 2차 창작의 역사 왜곡 문제에서 가장 자유로운 인물 중 하나. 물론 그게 무능하다는 공통적인 기록으로 남아서 문제지(...).

2. 정사


조조의 딸인 청하공주와 결혼해 부마가 되었다.
하후무가 조조의 사위가 된 것도 순전히 하후무와 친했던 조비의 추천 덕분이었다. 조조는 원래 추남사팔뜨기였지만 재주가 널리 알려져 있던 정의를 청하공주의 남편으로 삼으려 했다. 그러나 아들 조비는 여자들은 외모를 중요시하는데 정의는 사팔뜨기라서 안 된다며 대신 하후무를 추천했다. 그렇게 하후무는 청하공주와 결혼해 조조의 사위가 되었다. 이 일이 있은 뒤 조조는 정의를 만나보고는 사팔뜨기가 아니라 장님이었더라도 정의를 사위로 삼았어야 했다며 탄식했다.[1] 이 사건 때문에 하후무는 무능하지만 조비의 추천을 받을만큼 미남일 가능성도 있다는 떡밥이 존재한다. 사실 옛부터 신언서판으로 대표되는 외모지상주의는 횡행했고, 조비는 미남이라는 이유로 유달리 맹달을 총애하는 등 유달리 남자 외모를 따진 걸로 유명하다. 그러나 하후무의 외모가 뛰어났다면 당대 기록에 하후무는 미남이었다는 언급이 하나쯤은 남아있어야 하는데[2] 그런 기록이 전무하고, 애초에 비교대상이었던 정의가 추남인 걸로 유명한 인물이다보니 조비가 하후무를 추천한 건 '못생긴 정의보다 멀쩡하게 생긴 하후무가 그나마 낫지 않겠냐'는 뉘앙스에서 나온 발언 아니냐는 해석도 있다.
220년 장인 조조가 죽고 처남인 조비가 위왕을 계승한 뒤 같은 해에 황제 자리까지 차지하자 하후무도 황제의 인척 지위를 통해 안서장군이 되었고 거기다 하후연의 뒤를 이어 관중도독까지 되었다. 그러나 이때부터 능력에 한계를 보여주었으며, "하후무는 성정이 무략(武略)이 없고 치생(治生)을 좋아했다."는 구절이 정사에 적혀 있다. 제갈량의 1차 북벌 중에 조예가 장안으로 순시했는데 하후무를 고발하는 이가 있어 소환되어 상서로 임명되었다. 전쟁이 끝나지도 않았는데 최고위 장군이 고발당한 것이다. 서쪽에 있을 때 여러 명의 기생을 거느려 아내 청하공주와의 사이도 좋지 않았다.
그런데 하후무의 여러 아우들[3]형을 닮았는지 생활에 절도가 없었는데, 그 도가 하후무가 보기에도 지나쳤는지 하후무로부터 여러 차례 꾸중을 들었다. 이 때문에 아우들은 하후무가 법으로 다스릴까 두려워 공모해서 형을 비방하고 조예에게 상주해서, 하후무는 모함을 뒤집어 쓰고 수도로 소환되어 죽을 뻔했으나 장수교위 단묵 덕분에 오해가 풀려 진상을 파악해 하후무의 두 아우가 꾸민 일임이 밝혀졌다.
<위연전>에서는 위연이 자오곡 계책을 언급하며 하후무를 적이 공격해오면 싸워보지도 않고 바로 도망갈 겁쟁이로 평가한다. 자오곡 계책은 위나라의 사서인 《위략》에 나오는 기록이므로 하후무에 대한 이 평가는 엄밀히 말해 위나라 입장의 평가다.

3. 연의


정사에서의 하후무는 제갈량의 1차 북벌 중 고발당해 장군직을 내려놓아 제갈량과 싸울 기회조차 없었지만, 삼국지연의에서는 제갈량에게 당하는 상대로 각색되었다.[4]
연의에서는 설정이 은근히 복잡한데, 하후연의 아들이었으나 하후돈양아들이 되었으며[5], 친아버지인 하후연이 정군산에서 죽은 것을 불쌍히 여긴 조조가 자신의 딸과 결혼시켜 부마가 되었다고 나온다. 자는 자휴(子休)[6]로 나오고 성격은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도로 급하면서 무서운 깍쟁이로 안서진동장군, 시중, 상서, 부마도위를 지내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가져 신분은 높으나, 실상은 그 신분에 비해 능력은 쥐뿔도 없다. 제갈량이 북벌을 감행해 위를 침공하자 조정의 모든 신하들이 제갈량을 무서워할 때 혼자 일어나서 큰 목소리로 "제갈량도 한낱 인간에 불과하오, 그런데 어찌 그를 이리 무서워한단 말이오!"라고 비분강개하여 일어나서 외치는 간지 넘치는 등장신이 있다. 물론 제갈량도 인간이라 가정을 마속 따위에게 맡기는 등 실수를 하긴 했으니 맞는 말이고, 적과 제대로 싸워보기도 전에 장수나 신하들이 지레 겁을 먹고 벌벌 떨기만 하고 아무도 나서서 싸울 생각을 안하고 있던 판이었다. 이러면 병사들의 사기가 어떻게 될지는 뻔한 것이고, 이 상태로 전투에 돌입해도 장수가 겁을 먹고 있으니 전투에서 제대로 이길수 없는 건 당연지사니 하후무가 어느 정도 능력 있는 사람이었으면 "오오 무간지 오오" 소릴 들었을 것이다. 그런데 "육도삼략을 마스터하신 하후무 님"이 이런 소릴 하니,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간지를 느끼는 게 아니라 어이가 없다는게 문제.
하후무는 자신이 지휘관이 되어 제갈량을 막겠다고 나섰다. 이에 사도 왕랑이 하후무는 경험이 없어서 안 된다고 했으나, "뭣이? 그대는 지금 내 재능과 능력을 시기하여 내가 공을 세울 기회조차 빼앗아서 적을 이롭게 해줄 참이요?"라며 되도 않는 고집과 어거지를 부린다.
연의에서 왕랑에게 "나는 어릴 적부터 병법을 터득하여 육도와 삼략에 통달하였다"고 자뻑하는 대사가 있다. 이 때문에 한술 더 떠서『하후무=육도삼략』이라는 등식을 제공하기도 했으며 그를 까는 사람들은 언제나 "육도삼략을 마스터하신 하후무 님"이라고 마구 깐다. 이후 제갈량에게 포로로 잡히고 결국 오랑캐 땅으로 도망가는 그의 이후 행적과 비교해 볼 때 이 발언 자체는 독자들로 하여금 폭소를 유발한다. 참고로 육도삼략은 삼국지 시대에 있는 물건이 아니다. 육도삼략에 통달했다는 대사는 연의의 창작.
이런 고집으로 결국 지휘관으로 발탁되어 촉군을 막고자 출전한다. 출전하기 전에 제갈량을 사로잡지 않고는 맹세코 돌아와 천자를 뵙지 않겠다고 했다.
그러나 결국 제갈량에게 연이어 패해 결국 포로가 되었고, 이후 제갈량이 강유를 얻기 위한 계책에 쓰이는 역할로 풀려났으며 석방되고 나서도 주제를 모르고 다시 제갈량에 대항하다가 또다시 패해 이번엔 아예 강족의 땅으로 도망간다. 이에 촉의 제장들이 위의 부마인 하후무를 놓아준 것이 안타깝다고 말하자 제갈량은 "내가 하후무를 놓아준 것은 오리 새끼 한 마리를 놓아준 것과 다름없지만 강유를 얻은 것은 봉황을 손에 넣은 것이나 다름없다."라고 말해 졸지에 오리 새끼 취급을 받는 굴욕을 겪었다. 오리는 무슨 죄지?
이후 등장하지 않고 나중에 제갈량의 여섯 번째 북벌 때 사마의하후패 형제를 선봉으로 세울 것을 조예에게 말할 때 잠시 언급되는데, 조예는 하후무가 나섰다가 대패하고 강족의 땅으로 쫒겨난 뒤 부끄러워 돌아오지 않고 있다면서 하후패 형제도 하후무와 같은 형제가 아닌가라고 하자 사마의가 자신 있게 하후패 형제를 두둔한다. 하후무는 출전하기 전에 제갈량을 사로잡지 않고는 맹세코 돌아와 천자를 뵙지 않겠다고 했고 작중 그 말대로 돌아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결국 삼국지 팬들에게는 부조리 개그의 화신이 되어서 큰 웃음 주는 개그 캐릭터가 되고 말았다.

4. 기타


해축갤에서는 하후무의 연의에서의 행적을 그대로 가져와 어떤 축구감독을 비꼬는 별명으로 만들었는데 그게 바로 하후무리뉴이다.

5. 미디어 믹스


하후무/기타 창작물 문서 참조.

[1] 다만, 이렇게 말한 것 치고 조조는 정의를 중용하지 않았다. 헌제 앞에서는 유종을 칭찬했으면서도 손권과 유수구에서 싸울 때 유종을 이복형 유기와 함께 개돼지 같다고 싸잡아 비하한 조조의 평소 언행을 고려해 볼 때, 저 탄식은 느닷없이 혼담이 깨진 정의를 달래주는 립서비스이거나 '내 딸을 하후무 같은 놈에게 시집보내는 것이 아니었다.'는 아버지로서 후회를 돌려 말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2] 외모가 뛰어나서 기록에까지 남은 사례로는 제갈량, 맹달, 손책, 주유, 유표, 하안 등등 찾아보면 꽤 많다. 심지어 조조의 가장 큰 라이벌이라 정사 삼국지에서 상당히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있는 원소조차 미남으로 묘사하고 있는 마당에, 아무리 무능해도 조조의 사위인 하후무가 미남이었다면 관련 기록이 누락됐을 가능성은 적다.[3] 하후자강(夏侯子江)과 하후자장(夏侯子藏)이라는 두 사람이 기록에 남아 있다. 자강과 자장은 자(字)이고, 둘 다 본명은 불명.[4] 정사에서 위연이 자오곡 계책을 얘기하면서 하후무를 언급한 것에 착안한 듯하다.[5] 이건 나관중이 참고했을 자치통감부터가 문제였던거 같다. 삼국지집해의 편저자 노필이 살피길 '자치통감에서 "정서장군(征西將軍) 하후연의 자식 하후무가, 태조의 딸 청하공주에게 장가들었다."라고 썼으나, 잘못 쓴 것이다. 하후무는 하후돈의 자식으로, 하후연의 자식이 아니다. 아마도 "하후연의 지위를 이어 관중(關中)을 모두 거느리게 했다."라 쓰여서 잘못 쓰게 된 것이다.' 라고 했다. 나관중은 절충책으로 하후연이 친아버지고 하후돈이 양부라고 설정한거 같다.[6] 림(林)을 휴(休)로 잘못 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