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성옛터

 


<color=#fff> 이애리수 '황성옛터'

<color=#fff> 남인수 '황성옛터'
1. 설명
2. 가사[1]
3. 기타
4. 같이 보기

[clearfix]

1. 설명


1928년, 전수린이 작곡하고 왕평이 작사하여, 이애리수(1910~2009)가 부른 가요. 당시 이들이 있던 순회극단[2]개성에서 공연을 하고 있을 때 작곡된 노래로, 옛날에는 찬란했으나 현재엔 그 흔적조차 없어지고 폐허가 된 고려만월대를 보고 얻은 감명을 소재로 하였다. 따라서 곡명의 황성도 황실의 궁궐인 皇城이 아닌 황량해진 성이라는 荒城이다.
세월의 흐름 앞에서 한 톨의 먼지에 불과한 필멸자로서의 자신을 깨닫고, 주체할 수 없는 쓸쓸함과 설움을 담은 노래이다. 어쩐지 노래 정서가 조선과는 맞지 않다고 생각될 수 있는데, 이는 황성옛터가 황성의 달오마주라고 해도 될 정도로 주요 소재와 정서가 비슷하기 때문이다. 마침 이 노래를 유명하게 부른 이도 남인수라, 황성옛터의 왜색에 대해 한동안 말이 많았다. 하지만 정작 조선총독부는 이 노래의 확산을 막기 위해 이를 금지곡으로 지정하였다.
정작 해당 곡을 부른 이애리수는 음독자살 소동까지 일어난 후로 배동필의 부모한테서 연예계에서 완전히 은퇴하고 주변인들에게 연예인인것을 발설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간신히 결혼하고나서는 가정주부로 지냈고 1960년 이후로는 평범한 가정주부로 지낸다는 소식만 전해진채로 잊혀졌다. 사실 딱히 연예계에 복귀하지 않더라도 최소한 TV와 라디오에 출연하거나 언론사 인터뷰에 응하는 식으로 근황을 전할수도 있었고, 아니면 학자들과 만나서 당대의 연예계 생활이나 음악관련 풍문들을 증언하는 식으로 근황을 전할수도 있었지만 결혼 조건을 너무 충실하게 지킨 나머지 남편이든 아내든 간에 장수하여 해로했음에도 방송출연이나 언론인터뷰에도 응하지 않은탓에 학자들조차도 이애리수가 죽은줄만 알았다가, 2008년에서야 근황이 알려졌고 2009년에 세상을 떴다. 자식들도 나중에 어머니가 말하기전에 가수생활을 했던줄 몰랐을 정도였다니 조건을 얼마나 잘 지켰는지 알만했다. #
영천 출신인 작사가 왕평은 평안북도 강계 공연장에서 세상을 떴다. #
1932년 빅타레코드에서 발매한 이애리수의 독집 음반의 곡명은 <황성의적>이다.

2. 가사[3]


황성옛터에 밤이 되니 월색만 고요해

폐허에 서린 회포를 말하여 주노라

아아 가엾다 이내몸은 그 무엇을 찾으려고

끝없는 꿈의 거리를 헤매어 왔노라

성은 허물어져 빈터인데 방초만 푸르러

세상이 허무한 것을 말하여 주노라

아아 외로운 저 나그네 홀로 잠 못 이뤄

구슬픈 벌레소리에 말없이 눈물져요

나는 가리로다 끝이 없이 이 발길 닿는 곳

산을 넘고 물을 건너서 정처가 없이도

아아 한없는 이 설움을 가슴 속 깊이 안고

이 몸은 흘러서 가노니 옛터야 잘 있거라


3. 기타


  • 야인시대에서 시라소니가 불렀다. 끔찍할 정도로 못 불러서 화를 내는 문영철신영균의 모습이 인상적. 사실 이 역시 김두한과 싸움을 붙고자 하는 의도적인 도발행위였다. 실제로 시라소니의 노래 실력은 나쁜 편은 아닌데 극 후반에서 장면이 부통령에 당선된 뒤 그의 경호를 그만두고 야인으로 돌아갈 때 희망가를 부르는데, 이 때는 나쁘지 않게 불렀다. 다만 희망가 장면은 야인시대/합성물에선 보기가 힘들고 그냥 시라소니가 부러 음치처럼 불렀던 황성옛터 첫구절만 주구장창 나온다.[4]
  • 박정희 前 대통령이 생전에 좋아했던 노래로 유명하다. 심수봉이 안가에서 황성옛터를 부르자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고 한다. 반면, 이시대 최고의 돌+아이 조영남은 이걸 대통령 앞에서 안불러서 크게 사고를 친 적 있다. 조영남이 군입대후[5] 계룡대에서 군생활을 하던 중, 박정희 대통령이 계룡대를 찾아왔다. 원래 가수였다보니 거기서 행사병으로 차출되어 박대통령 앞에서 박대통령이 좋아한 황성옛터를 부르기로 행사 담당 장교에게 명령을 받았는데, 막상 기타들고 무대에 오르자 또 돌+아이 모드가 발동된 조영남은 부르라는 황성옛터는 안 부르고 "얼씨구씨구 들어간다~ 절씨구씨구 들어간다~ 작년에 왔던 각설이가 죽지도 않고 또왔네~."를 열창한 것이다. 당연히 회장은... 옆에 배석했던 장군 한명이 어떻게든 분위기 수습하려고 황성옛터를 불러봤지만 조영남은 황성옛터 가사를 까먹고 정신줄을 놔버리고... 흥이 깨진 박대통령은 그만하라고 하고 행사장을 나가고, 조영남은 헌병대로 끌려가서 "뭐 작년에 왔던 각설이? 매년 오시는 대통령이 각설이냐?"라고 엄청나게 추궁을 당했다고...개가 웃을 일이다.
  • 남산의 부장들에서 박정희를 모티브로 한 박통이 이 노래를 부른다. 아무도 믿지 못하고 부하들을 토사구팽하기를 반복하는 고독한 독재자의 심경을 잘 담아냈다.[6] 박통을 상징하는 노래 중 하나이다보니 영화 첫 장면에서부터 등장하며 영화의 클라이막스인 궁정동 대행사 장면에서는 박통은 이 노래를 부르지 않고 초대된 여가수가 이 노래를 부르는데 이 자리에서 박통은 김 부장과 마시던 막사 대신 양주를 따라 마시는 등 초심을 잃은 듯한 모습을 보인다. 영화 전개상 인트로에서 이 노래가 잔잔하게 깔리다가 총성이 울리고 유신 정권을 결사 옹호하며 절대 권력을 누리던 남산 중앙정보부와 그 위상에 대한 소개가 잠시 나오는데 이 노랫말이 영화의 결말을 비교해보면 이 노래가 더 허망하게 들린다.[7]
  • 가사는 백석의 시를 모티브로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 #
  • 뽕숭아학당에서 이찬원이 불렀다. # 이 곡의 원래 제목이었던 <황성의적>이란 곡명으로 음원 발매 되었다.

4. 같이 보기




[1] 이애리수 원곡과 남인수의 커버곡은 1절과 2절의 후반부가 서로 뒤바뀌어 있다.[2]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극을 공연하는 극단.[3] 이애리수 원곡과 남인수의 커버곡은 1절과 2절의 후반부가 서로 뒤바뀌어 있다.[4] 이 음치처럼 부르는 장면이 인상적이었는지 합성물에서 황성옛터 장면이 나올 땐 시전 난이도가 최악이라고 나오거나 주변인들 반응이 영 좋지 않게 나온다.[5] 군대에 가게된 이유도 걸작인데, 1970년 4월 와우 시민아파트 붕괴사고 한달 뒤, 원조 한류스타 김시스터즈의 내한공연 오프닝을 맡은 조영남이 "신고산이~ 와르르르~ 와우아파트 무너지는 소리에~" 이런 짓을 했다가 경찰에 잡혀서 감옥에 들어갈뻔 했다가 감옥대신 군대를 간거다. 자세한 내용 보기.[6] 이 노래를 부르고 나서 잠시 뒤에 누군가로 부터 전화를 받으며 토사구팽을 암시하는 말을 하는 장면이 나온다.[7] 한 때 황제국을 칭하며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중심에 있었던 고려왕조가 몰락하여 폐허밖에 남지 않았다는 것이 가사의 내용인데 유신정권 역시 10.26 사태 이후 박 대통령과 비롯한 핵심인물들이 모조리 죽거나 권력에서 밀려났고 헌법까지 씹어먹던 중앙정보부 역시 김 부장을 비롯한 간부들이 모조리 숙청되고 이름 또한 국가안전기획부로 바뀌며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