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알바니아 금융사기 사건

 


[image]
알바니아 수도 티라나에 체류 중인 미국인들을 대피시키는 미군. 1997년 3월 15일
알바니아어: Kriza piramidale (다단계 위기)
1997년 1월 16일 ~ 1997년 8월 11일
1. 개요
2. 배경
3. 발단
4. 전개
5. 종말
6. 결과
7. 여담


1. 개요


1997년폰지사기 때문에 알바니아 국민 대부분이 재산을 잃어버린 사건. 반년 넘게 유혈사태로 이어졌다. 알바니아 내전, 알바니아 사태, 혹은 알바니아 봉기라 불리기도 한다. 위키백과 영문판에는 'Albanian civil war of 1997(1997년의 알바니아 내전)'으로 서술했다.

2. 배경


한 국가 내의 절대 다수의 국민(60%)이 폰지 사기에 휘말려 재산 대부분을 손실한 이 희대의 사건이 어떻게 일어났는지 알려면 먼저 1990년대 초 알바니아의 상황을 살펴봐야 한다. 냉전 시기에도 서방권과 적대관계가 아니었던 인접 유고슬라비아, 적대관계였더라도 미국. 서유럽 국가들과 기본적인 교류는 하던 소련바르샤바 조약기구 회원국들과 달리, 알바니아는 스탈린주의에 철저히 경도된 엔베르 호자가 장기 집권하며 어떠한 국가와도 일절 교류하지 않는 극단적인 쇄국정책을 취했다. 타 동구권 국가들은 이미 1980년대부터 시장경제 요소를 도입했지만, 알바니아는 꿋꿋이 철저한 중앙통제 경제정책을 취하며 자본주의적 요소를 일절 거부했다.
그 결과 알바니아는 동구권이 붕괴되던 1989년 1인당 GDP가 723달러에 불과해 동유럽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기준에서 보더라도 최빈국 신세를 면치 못하는 실정이었다. 1989년 동유럽 혁명의 여파로 1991년 알바니아도 마침내 동구권에서 마지막으로 47년 간 이어진 공산독재를 종식시키기는 했으나 빈곤이 극심하고 자본주의 경제체제 경험이 전무했으므로, 체제전환 과정에서 루마니아, 불가리아보다도 어려움을 훨씬 더 많이 겪을 수밖에 없었다.

3. 발단


이처럼 알바니아는 자본주의 경험이 없었다. 이런 취약점을 파고든 집단은 다름아닌 현지 마피아와 결탁한 다단계 회사들이었다. 1992년 5월 공산당의 후신인 사회당이 총선에서 패하고 심장 전문의 출신 살리 베리샤(Sali Berisha)가 이끄는 민주당으로 정권이 넘어갔는데, 이때부터 알바니아 정부와 다단계 회사 간 유착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정부 내에 경제 전문가가 하나도 없었으므로 외부 전문가를 불러 의지했는데, 그 전문가라는 작자 중에 '''폰지 사기의 연루자 하이딘 세이디야(Hajdin Sejdia)'''가 있었다.
세이디야를 포함한 사기꾼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아 여러 다단계 회사들을 설립했다. Sudja, Beno, Bashkimi 등 23개 회사들은 고수익을 보장해준다며 사람들을 끌어모았다. 50여 년 가까이 폐쇄적 공산주의 사회에서 살아온 알바니아에선 일반 대중은 물론 정부 관료들까지도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라는 경제상식을 몰랐다. 더군다나 당시 알바니아가 3년간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했고 물가상승률도 높았기에 국민들은 고수익이라는 말에 속아 기둥 뿌리를 뽑아가며 피라미드 회사들에 투자했다.
이들 피라미드 회사들은 주로 '''무기 밀매'''와 고객들의 투자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했고, 처음엔 고객들에게 약속한 대로 고수익률 배당금을 지급해주었다. 게다가 이 회사들은 알바니아 정부에게 합법적인 승인을 받았고 정부 관료들과도 유착했기 때문에 미래의 위험을 눈치채는 사람이 드물었다.[1][2] 1997년 초에는 전체인구 330만 중 무려 60%가 넘는 200만 명이 다단계 회사들에 투자하는 실정이었다.

4. 전개


[image]
티라나의 사실상 외항인 두러스(Durrës)에서 항구의 통제권을 장악한 알바니아 마피아. 이들은 돈을 받고 알바니아인들을 바다 너머 이탈리아 등지로 밀입국시켜주는 브로커 역할을 하기도 했다.
사기 초기에는 돈이 확 돌았기 때문에 경제가 확 살아나는 효과가 있었다. 금융사기가 벌어지기 직전의 알바니아는 경제상황이 매우 암울하여 3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고(1990 -10%, 1991년 -28%, 1992년 - 7.2%) 1인당 국민소득도 1989년의 723달러에서 1992년에는 248달러로 거의 1/3토막이 났다. 그러나 다단계사업이 활성화되기 시작하면서 1993년을 기점으로 경제성장률은 플러스로 돌아섰고 1993년부터 1996년까지 연 평균 8,8%대의 고도경제성장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경제성장에 힘입어 국민들의 소득수준도 급속히 불어나며 이전보다 윤택한 삶을 살수있었고, 사기로 드러나기 이전에는 매달 80달러를 평균 배당금으로 챙기는 수준이었는데[3] 이는 당시의 평균 배당금은 알바니아의 1인당 국민소득과 맞먹는 금액이었다. 단기적으로 볼때 몇달치 급여에 해당되는 수준의 불로소득을 국민들에게 뿌려준 셈이었다. 이렇게 1992년에 1인당 국민소득이 248달러였던 1인당 국민소득은 1995년에 공산체제 당시에 기록했던 수치를 넘어섰고 1996년에는 1인당 국민소득 천달러를 달성한다. 참고로 동시기 한국의 평균 경제성장률은 1993년부터 1996년도까지의 통계를 합산해놓으면 8.3%가 나온다. 그래서 동유럽에서 체제전환이 순탄하게 진행되는 나라로 분류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순전히 '''거품경제'''였다. 불법무기 밀매와 고객 투자유치만으로 회사들이 정상적인 수익을 낼 리 없었다. 다단계 회사들은 이웃나라인 유고슬라비아가 내전과 혼란에 빠진틈을 타 무기를 밀거래하면서 일단 고객들에게 수익금을 줄수있었지만 이는 오래가지 못했으며 결국 1996년에 경제성장률이 7.1%로 둔화되며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동시기에 치러진 양대 선거에서 민주당이 압승을 거두었지만 사회당 측이 선거결과에 반발하며 보이콧을 하는 상황이었는데 1997년 1월 8일을 기점으로 다단계 회사들이 연쇄도산을 하여 사태의 실체가 드러나고 말았다. 국민들 중 일부만 폰지사기에 연루되었어도 큰 사회문제가 되었을 텐데, 알바니아에선 국민의 과반수가 연관되어 관계자 절대다수가 전재산을 잃어버렸기에 그냥 '큰 문제' 정도가 아니었다. 게다가 일반 개개인만이 아니라 호텔, 공장, 연료회사 등 경제의 핵심이 되는 일반 사기업들도 다단계회사에 투자했다가 엄청난 손실을 입었기에 '''단 며칠 만에 알바니아 전체 경제가 마비'''되고 말았다. 결국 1주일쯤 지난 1997년 1월 16일, 남부지방에서 시위가 일어났고 19일에는 수도 티라나에서도 반정부 시위가 일어났다. 24일에는 본격적으로 폭력사태로 시위가 격화되어 내무부를 제외한 수도의 정부 부처들이 모두 시위대에게 점령, 파괴되기에 이르렀다.
2월이 되자 재산피해가 특히 심했던 남부 지방에서 시위가 더욱 잦아졌다. 2월 20일 블로러(Vlorë)에서 대학생들이 단식투쟁하며 시위가 촉발되었는데, 27일에는 시위대가 대학교 내에 상주하던 공무원들을 습격, 공무원 6명과 민간인 3명이 사망했다. 사태는 더욱 격화되어 약 10일 간 '''준 내전 상태'''가 되고 말았다.
2월 27일부터 3월 9일까지 남부 지방은 사실상 무정부 상태가 되었다. 3월 1일 블로러는 정부의 통제를 벗어나버렸고 '''시위대들은 블로러 남쪽의 해군기지를 점령했다.'''[4] 초유의 사태가 일어나자 정부는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군대를 블로러, 테펠레너(Tepelenë)에 투입했지만, 폭도로 변한 시위대는 군대의 접근을 막아섰다.
3월 2일 인근 사란더(Sarandë)도 폭도들에게 점령되었다. 같은달 4일에는 '''이들 폭도들을 폭격하라는 명령'''이 떨어지지만 공군 조종사들 중 일부가 거부하고 이탈리아로 전투기를 몰아 망명했다. 8일까지 시위대는 남부지역 대부분을 점령했고, 일부는 수도 티라나 교외까지 접근해 리나스(Rinas) 국제 공항[5]을 습격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북부지방까지 폭력사태가 확산, 수도 티라나를 제외한 전국에서 정부가 통제력을 잃어버리고 시위대, 시위대와 결탁한 갱단들이 날뛰었다. 폭도들은 알바니아 군 기지들도 습격하여 총탄 약 15억 발, 수류탄 350만 발, 지뢰 100만 개, 총기 65만 정을 탈취, 유출했다.
결국 3월 9일 지로카스터르(Gjirokastër) 시장 바쉬킴 피노(Bashkim Fino)가 이끄는 새 내각이 구성되었다. 살리 베리샤는 전국 텔레비전 방송으로 조기총선 실시, 남부지방에서 군대 철수를 약속하고 대신 안정을 되찾아달라고 호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사태가 진정되지 않자 결국 같은달 28일 알바 작전(Operation Alba)이라는 작전명으로 오스트리아, 그리스, 루마니아, 터키, 프랑스, 이탈리아가 군을 투입하고 미국, 독일도 독립된 군사 작전을 수행하자 알바니아 사태는 겨우 진정되었다. 그러나 5월까지도 갱단이 군을 습격해 수 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벌어지는 등 불안정 상태는 이후로도 한동안 계속되었다.

5. 종말


살리 베리샤 대통령이 약속한 대로 6월 29일 조기총선을 실시했다. 사태의 주 원인을 제공한 민주당은 당연히 대패하고 파토스 나노(Fatos Nano)가 이끄는 사회당이 압승을 거두었다. 7월 24일에는 살리 베리샤는 사임했다. 마침내 불안정 상태는 거의 마무리되었고 8월 11일 알바니아에 투입된 외국군이 철수하여 사태는 완전히 끝났다.

6. 결과


이 사건으로 손실 2억 달러가 일어났고 전국에서 민간인, 경찰, 군인을 포함한 3800여 명이 희생되었다. 그리고 알바니아의 1인당 GDP는 전년도 1046달러에서 749달러로 1989년 수준으로 추락하고 말았고 1997년 알바니아의 경제성장률은 -10.1%를 기록하였다. 본 사태는 자본주의적 경험이 없는 나라가 제대로 된 감독 없이 어설프게 체제 전환을 시도하면 어떻게 되는지 보여주는 적나라한 사례가 되고 말았다. 알바니아는 이런 그 결과를 몸으로 겪으며 뼈저리게 배운 셈이었다.
다행스럽게도 인접한 구 유고 연방국가들이 유고슬라비아 내전이나 보스니아 내전을 겪었던 것과는 달리, 알바니아는 경제문제가 주 원인이 된 사태를 상대적으로 빨리 진정시켰고, 1998년부터 2001년까지 연 평균 9.2%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며 금융사기 사건의 후유증을 재빨리 넘기고 다시금 정상궤도를 밟게 되었다 1999년 일어난 코소보 전쟁에서도 알바니아 본토 자체가 유혈 사태에 휘말리는 일은 피할 수 있었다. 여 유럽의 최빈국이란 불명예스러운 타이틀도 벗어 던졌다.[6]
한편 이번 사태의 중심에 있었던 살리 베리샤는 2005년 내각제에서 총리로 취임해 다시 권좌에 올랐지만, 2013년 에디 라마(Edi Rama)가 이끄는 사회당에게 다시 정권을 넘겨주었다.

7. 여담


[image]
티라나 스칸데르베그 광장에서 지지자들과 함께 무력 시위를 벌이는 레카 조구(가운데 군복입은 남자). 1997년 7월 2일
1928년부터 1939년까지 알바니아 국왕으로 재임하며 알바니아의 근대화를 이끌다 무솔리니에게 쫓겨난 조구 1세(Mbreti Zogu I)의 외아들 레카 조구(Leka Zogu, 1939~2011)도 공산주의 붕괴 이후 알바니아로 돌아와 머무르고 있었다. 레카 조구는 귀국 이후에도 상당한 지지를 등에 업고 계속 왕정 복고를 주장했는데, 1997년 사태로 나라가 극도의 혼란에 빠지자 조구 왕조를 부활시켜야만 이런 혼란을 바로잡을 수 있다며 7월 2일 티라나 스칸데르베그 광장에서 지지나 2천여 명과 함께 '''무력 시위'''를 벌였다. 알바니아 정부는 당연히 이를 쿠데타로 간주했는데, 이미 정부가 사태를 어느 정도 수습한 시점이었기 때문에 시위는 실패로 끝났고, 레카 조구는 전용기를 타고 다시 알바니아를 떠나야 했다. 다만 코소보 전쟁 당시 알바니아를 적극적으로 지원했음을 감안하여 알바니아 정부는 레카 조구를 2002년 사면했다. 레카는 다시 귀국하고 2011년 72세로 사망할 때까지 대우받으며 계속 활동할 수 있었다.

[1] 물론 해외에서는 위험성을 인지했다. 1996년부터 국제통화기금은 이 문제로 계속 경고했지만 알바니아 정부는 무시했다.[2] 아이러니하게도 추후 총리가 되는 당시 야당인 사회당의 파토스 나노가 적절한 규제없이 무분별하게 금융회사가 생기면 심각한 문제가 될거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당시 여당이던 민주당은 파토스를 알바니아로 온 국제원조를 횡령했다는 혐의로 감옥에 넣어버려 반대파를 강압적으로 탄압했다. 이는 명백한 정치공작이었기 때문에 나중에 무죄방면된다 .[3] 이것도 지역이나 가입연도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가 있었다.[4] 파샤 리만(Pasha Liman) 해군 기지. 1950년대 소련 해군이 건설한 해군기지로 지중해와 접하는 유일한 소련 해군기지였다. 알바니아가 바르샤바 조약기구를 탈퇴한 뒤 소련군은 기지에서 철수하였으며 동구권 붕괴 이후 터키의 도움을 받아 기지 개수를 마친 현재 기지는 알바니아 해군과 터키 해군이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다.[5] 2011년 마더 테레사 국제공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6] 2010년대 이후 유럽 최빈국은 몰도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