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형 유보트
1. 제원 (7C형)
2. 개요
7형 유보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해군 잠수함대의 주력을 차지한 독일의 유보트이다.
3. 개념과 건조
7형 유보트는 제1차 세계 대전의 UB 3형 유보트와 취소된 UG형 유보트에 기반된 설계를 보인다. 1차대전의 설계는 잠수함 건조 기술 유지를 위해 세운 I.v.S사를 통해 보존될 수 있었다. 7형의 설계에는 핀란드의 베테히넨급과 스페인의 E-1형 잠수함 또한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1형 유보트와 상당히 유사하다. 단 1형 유보트는 두척만 건조되었고 1형의 설계가 훗날 7형 유보트와 9형 유보트로의 발전에 기여를 했다고 한다.
7형 U보트는 제2차 세계 대전중 가장 많이 사용된 유보트이자 역사상 가장 많이 건조된 잠수함급이다. 총 703척이 건조되었으니 그럴만 하다.
4. 7A형 유보트
7A형 유보트는 1933~1934년에 설계되었다. 대부분 브레멘의 데스치매그 AG 베서 조선소에서 건조되었고 U-33에서 U-36까지는 킬의 프라이드리츠 크럽 게르마니아베르프트 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 7A형은 2형 유보트보다 강력한 성능과 더 숙달된 승조원으로 2형 유보트들을 밀어냈다. 함수에 4문의 어뢰발사관, 함미에 1문을 장착하고 어뢰 11발을 탑재했다. 갑판에는 88mm 함포를 장착했다.
총 10척이 1935년과 1937년에 건조되었다.
4.1. 함선 목록
5. 7B형 유보트
7A형 유보트가 연료 탑재량이 충분치 못했기 때문에, 7B형 유보트 24척이 1936년과 1940년 사이에 건조되었다. 33톤 용량의 외부 부착형 탱크를 장착해 연료 탑재량을 늘렸으며, 덕분에 항속거리가 4,600km 늘어났다. 7B형은 7A형보다 살짝 빨랐으며, 조타를 두개 설치해 기동성이 증가되었다. 또한 갑판에 있던 함미 어뢰발사관을 함 내부로 옮겨 어뢰 적재량도 늘어났다. 상부 갑판에 두개의 수밀격실을 추가해 어뢰적재실로써 사용했다. 덕분에 어뢰 적재량은 총 14발로 늘어났다. U-83은 예외로, 함미 어뢰발사관이 없었기에 12발을 탑재했다.
7B형 U보트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많은 U보트 명장을 배출했다. 대표적인 예로는 U-48, 귄터 프린 함장의 U-47, 오토 크레치머 함장의 U-99와 요아힘 셰프케 함장의 U-100 등이 있다.
5.1. 함선 목록
6. 7C형 유보트
7C형 유보트는 독일 잠수함대의 주력함이었다. 총 568척이 1940년과 1945년 사이에 취역했다.
7C형 유보트의 초도함은 1940년 취역한 U-69였다. 7C형 유보트는 효율적인 전투함이었고 독일은 그걸 알았기에 대량 건조 및 배치를 감행했고, 덕분에 연합군이 유보트를 발견하면 대부분 이 7C형 U보트이었다! 그러나 항속거리가 약 12,000km로 조금 부족했으며 다음 함급인 9형 유보트보다 모자랐다. 재보급 없이는 서대서양이나 남대서양에 도달하기 힘들었다. 그래서 보급용 유보트인 4형 유보트나 14형 유보트의 도움을 받아야만 대서양 횡단이 가능했다.
7C형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초기 유보트들의 전적과 비교해 격침 수가 확연히 줄고 되려 피격되는 수가 늘어나는 시점에 취역을 시작했지만 잠수함대의 주력을 차지했다. 이후 연합군의 대잠전이 효과를 톡톡히 보여주던 1943년과 1944년에 들어서도 여전히 주력함의 위치를 고수하고 있었다.
7C형과 7B형의 차이는 능동소나[1] 의 장착과 여러 기계적 성능 개선이며, 약 2 피트 길어지고 8톤 무거워졌다. 속도나 항속거리는 거의 비슷했고 대부분의 함선이 1944년과 1945년에 스노클[2] 을 장착했다.
어뢰발사관의 갯수는 이전 함종들과 마찬가지로 함수 4문 함미 1문이었으며, 예외적으로 U-72, U-80, U-554, U-555는 함수 어뢰발사관이 2문만 장착되었으며 U-203, '''U-331'''[3] , U-351, U-401, U-431, U-651은 함미 어뢰발사관을 제거했다.
[image]
영화 다스 보트에서 등장한 U-96이 바로 이 7C형 유보트이다.
[image]
이 잠수함은 나중에 레이더스에서도 헐넘버 26을 달고 다시 등장한다.
6.1. 7C/41형 유보트
7C/41형 유보트는 7C형의 소폭 개량형이었다. 무장과 엔진은 동일했으나 압력선체의 강도가 증가해 최대 잠항심도가 증가했다. 엔진의 중량을 줄이는 덕분에 이러한 개선이 가능했고, 결과적으로는 7C형보다 소폭 가벼워졌다. 총 91척이 건조되었으며, U-1271부터는 기뢰부설 능력이 제거되었다.
오늘날까지 살아남은 7C/41형 유보트 하나가 바로 문서 상단의 사진에 등장한 U-995이다. 7C/41형뿐만 아니라 '''현재 남아있는 유일한 7형 유보트'''이다.
6.1.1. 함선 목록
- U-292
- U-293
- U-294
- U-295
- U-296
- U-297
- U-298
- U-299
- U-300
- U-317
- U-318
- U-319
- U-320
- U-321
- U-322
- U-323
- U-324
- U-325
- U-326
- U-327
- U-328
- U-407
- U-410
- U-455
- U-827
- U-828
- U-929
- U-930
- U-995
- U-997
- U-998
- U-999
- U-1000
- U-1001
- U-1002
- U-1003
- U-1004
- U-1005
- U-1006
- U-1007
- U-1008
- U-1009
- U-1010
- U-1013
- U-1014
- U-1015
- U-1016
- U-1017
- U-1018
- U-1019
- U-1020
- U-1021
- U-1022
- U-1023
- U-1024
- U-1025
- U-1063
- U-1064
- U-1065
- U-1103
- U-1104
- U-1105
- U-1106
- U-1107
- U-1108
- U-1109
- U-1110
- U-1163
- U-1164
- U-1165
- U-1166
- U-1167
- U-1168
- U-1169
- U-1170
- U-1171
- U-1172
- U-1271
- U-1272
- U-1273
- U-1274
- U-1275
- U-1276
- U-1277
- U-1278
- U-1279
- U-1301
- U-1302
- U-1303
- U-1304
- U-1305
- U-1306
- U-1307
- U-1308
6.2. 7C/42형 유보트
7C/42형 유보트는 1942년과 1943년에 노후화된 7C형 유보트를 대체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압력선체 두계를 28mm로 늘려 강도가 증가했으며 이전 7C형 계열보다 최대 잠항심도가 두배로 늘어났다. 이 함선들은 7C/41형과 외관상 다를게 없었으나 잠망경이 총 2개로 늘었고 어뢰 탑재량도 2발 늘어 총 16발이 되었다.
164척이 계약되어 몇 척은 진수식까지 치뤘으나 1943년 9월 30일에 새로운 21형 유보트의 등장으로 전량 취소되었다.
7. 7D형 유보트
7D형 유보트는 1939년과 1940년에 설계되었다. 10m 정도 길이가 늘어났으며 기뢰부설을 주임무로 삼았다. 기뢰들은 사령탑 뒤에 3열로 배치된 총 15개의 수직발사관에 보관되고 부설되었으며 압력선체가 확장되어 연료나 식량 탑재력이 증대되었다. 총 6척이 건조되었다.
U-218 한 척만이 살아남았고, 나머지 5척은 모두 격침, 승조원 또한 전원 전사했다.
7.1. 함선 목록
8. 7F형 유보트
7F형 유보트는 1941년에 설계되었고 해상에서 다른 유보트들에게 어뢰 등을 재보급하기 위해 건조된 보급함이었다. 길이는 더 길어져서 7형 계열함중 가장 크고 무거웠다. 무장은 다른 7형 계열함과 같이 함수 4문 함미 1문의 어뢰발사관을 갖췄지만 어뢰 적재량은 39발이었고 함포는 제거했다.
4척이 건조되었고, 이중 두척인 U-1062와 U-1059는 몬순 그룹[4] 을 지원하러 극동으로 떠났고 U-1060과 U-1061은 대서양에 남았다.
엔진은 7D형과 동일했으며 3척이 전쟁 중 격침당했고 1척은 전쟁이 끝나고 다른 전우들이 그러했듯이 자침했다.
8.1. 함선 목록
9. 여담
9.1. 세계 최초로 비행선을 격추시킨 잠수함
7C형 잠수함 U-134로 미 해군 K급 비행선 K-74를 격추한 적이 있다. 사실 이 U-134 잠수함은 이전부터 비범한 포스를 보여줬었다. 1943년 7월까지 9번의 출항 동안 상선 3척을 격침하였는데 그 중 첫번째 상선은 독일 상선. 7번째 항해에서는 승무원 1명이 권총자살하는 일도 발생하였다. 7월 8일에는 대잠초계부대에 발각되어 간신히 침몰을 면하기도 한다.
[image]그러던 7월 18일 밤, U-134는 플로리다 해엽을 항해도중 상선 두 척을 발견, 격침시키려고 상선에 접근한다. 한편 미 해군 소속 비행선 K-74는 이 해역을 초계하고 있었는데 때마침 U-134를 발견. 원칙대로라면 본대에 지원요청을 해야하지만 상선이 위험하다고 판단한 K-74는 U-134를 직접 공격한다.
K-74는 M2 중기관총과 폭뢰 4개가 전부였지만 U-134와 교전하기로 마음먹고 55노트로 가속, 80m로 하강하며 U-134에게 접근한다.
U-134 또한 200m 거리에서 K-74를 포착 , 대응하려 했으나 K-74는 M2 기관총으로 제압사격을 퍼부었고 20mm 기관포의 사각지대까지 오는 상황에 이르렀다.
[image]
원래 7C형은 8.8cm 함포가 있었으나 많은 잠수함 함장이 88을 제거한 후 20mm 기관포 2문을 얹혀놓는 방식을 선호하였고 U-134도 마찬가지였다. 이윽고 K-74는 폭뢰를 떨어트리려 했으나 '''사실 20mm 기관포가 사각인건 기만'''이였고 폭뢰를 떨어트리려던 K-74의 하부에 20mm 포탄을 먹여줬다. K-74도 폭뢰를 떨어트리긴 했지만 투하장치가 고장나 2발만 투하하였다. 결국 K-74는 두 엔진을 잃고 바다에 불시착하였으며 승조원은 근처 미 해군 구축함에 의해 구조되었다.[5]
9.2. 변기 때문에 침몰한 잠수함
7C식 잠수함인 U-1206의 경우엔 변기 오작동으로 침몰하였다. 이 잠수함은 1943년 10월 30일 진수되었고 1945년 3월 16일에 실전배치되었다. 4월 14일, 영국 스코틀랜드 근해를 잠항 중 함장이 화장실을 이용했는데 그만 변기가 역류를 해버린 것. 잠항 상태에서 변기를 사용하려면 역류를 막기 위해 밸브를 조절해야 하는데 이게 꽤 복잡해서 함장이 실수를 해버린 것이다. 기술병이 와서 수습을 해보려 했지만 이 역시 실패해서 대량의 해수가 잠수함을 침수시켰고, 급기야 배터리까지 침수되어서 염소 가스가 퍼지기 시작했다. 도저히 잠항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함장은 결국 함선을 수면 위로 부상하였고, 마침 기다리고 있던 영국군 초계기에게 공격을 받아서 4명이 사망하고 함장을 비롯한 나머지 인원은 투항해야 했다. 잠수함은 결국 살리지 못하고 자침 처분했다.
9.3. 방공잠수함
전쟁이 중반에 접어들면서 연합군의 대잠초계망은 더더욱 조밀해졌고, 비스케이 만 같은 지역은 항공기의 등쌀에 못이겨 아예 유보트가 수중항주만으로 통과해야 하는 지경이었다. 이에 '피하지 말고 맞서면 어떨까'라는 개념에서 나온 것이 방공무장을 대폭 강화한 U-Flak이었다. 정확히는 비스케이 만에서 수상항주중인 유보트를 노리는 연합군 대잠기를 격추시켜 해당지역의 대잠세력을 견제하고 피해를 줄일 의도였다.
U-Flak의 개량된 세일부는 다수의 대공포로 도배되었고 실제로 초반에는 쇼트 선덜랜드 비행정과 맞장을 떠 격추시키는 등 만족할만한 성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나중가면 U-Flak을 발견한 초계기가 직접 공격하는 대신 구축함 등 증원을 데려왔기 때문에 도저히 버틸 수가 없었고, 반년을 채우지 못한 채 모든 U-Flak은 원래의 7형 유보트 세일로 돌아왔다.
1943년 한 해에 총 4척의 7형 유보트가 시험적인 방공 개장을 받고 시험적인 방공 임무에 투입되었다.링크
10. 대중매체에서
중국의 모바일 게임 전함소녀에서 7B형 유보트 U-47, 7C형 유보트 U-81, U-96, U-1206이 의인화되어 등장한다. U-47(전함소녀), U-81(전함소녀), U-96(전함소녀), U-1206(전함소녀) 참조.
중국의 모바일 게임 벽람항로에서 7B형 유보트 U-47, U-73, 7C형 유보트 U-81, U-556, U-557이 의인화되어 등장한다. U-47(벽람항로), U-73(벽람항로), U-81(벽람항로), U-556(벽람항로), U-557(벽람항로) 참조.
MMO 슈팅 게임 월드 오브 워쉽에서 현재 추가 예정이다. 9형, 21형과 함께 7C형인 U-69가 6티어로 등장할 예정이다.
11. 관련 항목
[1] 음파를 쏘아보내는 수중 음파 탐지기이다. 1940년 10월 11일 장착되었다가 1942년 4월 24일 제거 명령이 떨어졌다. 그런데 이미 있는 장비를 치우기는 귀찮았는지 장비는 그대로 둔 채 그냥 덮개를 덮어버렸다.[2] 얕게 잠수한 채로 잠수함에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해 수면 위로 올리는 흡기통이다. 허나 보통 스노클 하면 생각나는 잠망경형 스노클은 당시의 독일로서는 방수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실용화되지 못하였고 대신 경첩형 잠망경이 설치되었다.[3] QE급 전함 버럼에 어뢰 3발을 쐈고 버럼은 기울어지면서 탄약고 유폭으로 굉침된다. 버럼은 유틀란트 해전에서 제5전함전대를 이끌고 독일이 일방적으로 이기고 있던 순양전함끼리의 교전에 난입, 자이들리츠, 폰 데어 탄 등 수많은 독일 순양전함들을 대파시킨 '''독일 해군의 적'''이었기 때문에 함장인 한스 디트리히 폰 티센하우젠 남작은 기사 철십자장을 받았다.[4] 태평양과 인도양에서 활동한 유보트 세력[5] 그러나 승무원 중 한명은 실종되어 끝내 찾지 못했는데, 당시 바다가 수온이 따뜻해 상어가 득시글 거렸기에 상어에게 당하지 않았나 추측할 뿐이다. 그의 이름은 기관사인 2등 수병 이자도어 스테셀로서, 대전 당시 미군 비행선 장병중 유일하게 사망한 인물로서 기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