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VOLO
[image]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자 명의는 度胸兄弟(배짱형제). L.E.D.&dj TAKA가 아닐까 하는 추측도 있었지만, Ryu☆ 3rd 앨범 발매 기념 라이브에서 L.E.D.&wac으로 확정됐다. 레이어 및 로고 담당은 작곡명의가 형제였던걸 반영해 자매로 컨셉을 잡은 명의인 チャーム・シスターズ(챰・시스터즈).
원곡은 프란츠 리스트의 파가니니에 의한 대연습곡 중에서 6번째 곡인 "주제와 변주"[1] . 해당곡은 펌프 잇 업에서 Caprice of Otada란 곡으로 이미 리듬게임에 한번 등장한 적이 있다. 편곡은 원곡을 최대한 훼손하지 않는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원곡인 '주제와 변주' 의 BPM을 160으로 올려서 재생하면 DIAVOLO와 크게 차이가 없다는 점을 느낄 수 있다. 심지어는 L.E.D.가 편곡한 뉴스타일 개버 부분도 비슷하다. 들어보자.[2]
다음 작품인 tricoro에서 동일 명의 후속곡으로 Thor's Hammer가 등장했다.
싱글 어나더 플레이 영상
더블 어나더 플레이 영상
최후반 3소절은 악몽 그 자체. 게다가 '''EX-HARD로 플레이해야 하기 때문에''' 클리어는 더욱 녹록치 않은 상황이였지만 예상 외로 클리어한 사람은 하루만에 나왔다. 정배치 기준으로 계단 구간 팁을 주자면 12/456/67 동시치기 반복 형식으로 치면 클리어에 한결 수월해진다 클리어 영상(니코동 계정 필요) (유튜브) 그리고 얼마 안가 풀콤자까지 떴다.풀콤 영상 더블 어나더의 클리어자도 나왔다. 난이도 평가는 비공식 난이도 12.3으로 헐화보다 약간 쉽거나 비슷하다는듯. 발광 BMS DP 측정표 기준으로 ★6~7이라는 평가가 있다. 2013년 9월, 한국에서도 풀 콤보가 나왔다. 플레이어는 Nari.영상
하지만 일반적인 클리어레이트는 상당히 낮은 편으로, 비트매니아 IIDX 20 tricoro 기준으로 싱글 어나더는 Plan 8 싱글 어나더와 함께 클리어 레이트가 단 5%밖에 되지 않는 흉악한 곡.[3] 현재도 클리어 레이트가 한 자리 수다(9%대...)
당연히 랜덤 노크가 사실상 불가능한 곡이기도 하다. 그도 그럴것이, 48비트 계단이 랜덤이 걸리는 순간 '''48비트 난타'''가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아무리 계단이 힘들다 해도, 난타로 되는 것과는 비교가 불가능하다.
BGA는 신작 범용 BGA에 VJ GYO가 담당한 레이어가 대응된 형태. 빨간색, 파란색을 띈 변종트란[4] 이 나와서 불을 뿜는다. 거기에 저 두 트란들의 현란한 스텝을 보고있노라면 참으로 괴이한 느낌이 든다. VJ GYO가 간만에 헐화 이후로 원 모어 엑스트라의 BGA를 담당했고, 트란이 처음으로 원 모어 엑스트라에 나온 사례 되겠다.
이 곡의 1/6박 이하 계단을 보고 BACO가 2007년에 제작한 BMS인 DENGEKI Tube[5] 를 연상한 사람 도 적지 않았기 때문인지 아예 전격튜브의 음원으로 DIAVOLO를 카피한 '''DIAVOLT'''라는 BMS 차분도 나왔다. 원곡을 알고 있다면 '''정말 위화감 없다.''' (니코동 로그인 필요) (니코동 아이디가 없으면 여기로.) 심지어 니코동 백과의 DIAVOLO(BEMANI) 문서에도 전격튜브가, 반대로 전격튜브 문서의 바깥고리에서는 본 곡이 언급된다!
예전에 'SOFT LANDING PARADISE'라는 패러디 BMS팩에 革命등의 괴 리믹스를 제공한 SUGI&OSAM 명의의 아티스트가 오랫만에 이 곡을 이런 방식으로 패러디했다. 혁명 소프란파라다이스 에디션처럼 BGA에는 라이온사의 '소후란'세제가 춤추며 배경에는 디아볼로나 디아블로를 연상케하는 유사 상표들이 슬라이드쇼로 반복된다. 난이도는 제대로 Overjoy 관상용 BMS 수준으로 파워업(!). 그러나 마지막에는 그냥 DIAVOLO 글자노트만 늘어져서 혁명같은 엽기적인 막판 반전 연출은 없다.
灼熱Beach Side Bunny와 합친 BMS도 존재한다. 의외로 잘 어울린다... 영상 클리어 영상도 있다(...)
로케테스트 당시에는 일반 해금곡이었지만 정식 출시판에는 2012년 10월 8일 공개된 유비트 소서 시즌 1 지금만 해금곡 2번째 곡으로 등장했다. 이식곡 최초의 10레벨인게 특징.[7] 앨범 커버에는 IIDX 레이어에서 등장했던 배짱형제 트란이 그려져있다.
BSC 채보 영상(플라워 마커+핸드 클랩)
ADV 채보 영상(셔터 마커+핸드 클랩)
ADV 채보 영상(플라워 마커+핸드 클랩)
ADV 패턴은 익스트림에서 이빨이 굉장히 많이 빠졌지만 중반에 연속 세로긁기, 중후반에는 16비트 트릴이 등장한다. 개인차가 있긴 하지만 대부분의 유저들은 어렵다고 평가하는듯. Macuilxochitl과 비슷하게 풀콤보는 어렵지 않으나 SSS이상 스코어링은 꽤나 어려운 편이다.
EXT 채보 영상(셔터 마커+핸드 클랩+숫자)
EXT EXC 영상. 플레이어는 CORBY.QS
IIDX에서 계단으로 승부했다면, 유비트에선 패턴 대다수가 긁기(물결) 패턴이다. 초반에는 기본 멜로디를 소개한 뒤 동시치기를 낀 강화 패턴을 소개하며, 24비트에 마지막 노트가 3개짜리 동시치기인 부분이 등장한다. 16비트 물결 잠시 등장 후에는 12비트 구간이 등장하는데, 가운데 2개는 정박이며 양 옆의 2개의 노트가 12비트로 나와 전체가 12비트인 패턴. 그 직후에 등장하는 물결은 24비트이며, 16비트 물결에 초반에 등장하는 세로방향 트릴 후 나오는 긁기는 32비트이다. 이와같이 곡 전체에 16, 24, 32비트가 모두 존재하는데, 각각의 속도는 명확히 구분되기에 조금만 연구해보면 어디가 어느 속도인지 구별이 될 것이다. 뮤직바 상으로는 상당히 짧은 시간에 900개 넘는 노트가 등장하니 밀집도도 높은 편이지만, 이 곡은 단타보다는 긁기로 대다수를 처리하는 것이 매우 편하다.
거기에 중반부의 동시치기+상하단타 패턴과 2번 등장하는 상하긁기 패턴은 스코어링을 위해선 반드시 숙지가 필수하니 주의하자. 덤으로, 초반의 팔이 위아래로 왔다갔다 하는 동시치기는 IIDX의 BGA에 나오는 트란의 춤을 형상화한 것이다(..)
로케테스트 당시에 어떤 용자가 익스트림 채보 영상을 찍어 웹에 유출시켰었다. 비록 프레임은 낮지만 저 영상을 기반으로 누군가가 아이부기 채보를 제작하였다. 결국 소서 출시 한참 전에 익스트림 채보가 풀려버린 셈...[8] 웬일인지 코나미에서도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았고, 어쨌든 채보가 유출된 덕분인지 엑설런트가 쉽지 않은 곡임에도 곡이 풀린 날 엑설런트가 떴다.
클리어 영상
손배치 포함 '''퍼펙트''' 영상
괴도 BisCo의 예고장!! 이벤트를 통해 6월 17일 이식되었다. 天空の夜明け, C18H27NO3 이후 오랜만에 등장하는 이식곡 49레벨 EX 보면이다.
원래부터 IIDX에서도 최상급 라인에 해당되는 곡이었기에 많은 이들이 이식에 주목했는데, 아니나다를까, 팝픈뮤직 라피스토리아에서 출현한 49레벨 중 가장 어렵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EX의 경우 패턴이 상당히 악랄한 편. 초반부까지만 보면 딱히 크게 어려워 보이지 않지만 ,겹계단이 나오는 시점부터 보면의 난이도가 급상승한다. 겹계단 이후에는 교차 트릴과 자주 나오는 빠른 계단 패턴이 등장하며, 후반부에서는 투덱에서의 악명을 그대로 이어 미친듯한 계단 발광을 보여준다. 7키에 걸친 48비트 계단+세세하게 엇갈린 2중 계단으로 게이지를 왕창 깎아먹은 이후 약간 회복 구간이 나오는가 싶더니 최후반에 48비트 7531, 8642, 9753 계단(각 6번씩 나온다) 후살 패턴으로 확인사살한다. 이 후살의 순간 노트 밀도는 '''초당 32타'''로, 극한의 후살 밀도를 보여주는 差無来!!의 다음가는 수준. 이 48비트 노트를 하나하나 박자를 맞춰서 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안미츠로 처리해야 하는데,[9] 그렇다 하더라도 4개 동시치기를 12비트 연타/혹은 2개 교대동시치기를 24비트 트릴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다.
일본 헬위키 기준 클리어 난이도 위치는 '''49 상급'''으로 Zirkfied와 비슷한 위치에 있으나, 계단 안미츠 실력에 따라 개인차가 심하게 갈린다.
슈퍼랜덤 클리어 영상
슈퍼랜덤을 걸 시에는 곳곳에 포진된 48비트 구간 때문에 난이도가 한없이 오른다. 계단에서 어떻게 게이지를 남기는 데 성공한 극소수의 17 러너들도 너무나도 긴 후살에서 좌절하기 일쑤. 슈퍼랜덤 난이도는 50레벨 상위 곡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Lv19로 책정되었으며, 해금날로부터 한참 지난 9월 14일에서야 첫 슈랜클리어자가 나타났다. 클리어자는 칸지로 [10] 그 외 DA-SU라는 유저하고 Rustin이라는 유저가 클리어해 현재 클리어자는 총 세 명이다.
2017년 7월 19일 EX 보면의 첫 퍼펙트가 떴다. 달성자는 TATSU.
사족으로, 이 곡을 플레이할 때 나오는 트란은 3D 캐릭터이다.
1. 개요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자 명의는 度胸兄弟(배짱형제). L.E.D.&dj TAKA가 아닐까 하는 추측도 있었지만, Ryu☆ 3rd 앨범 발매 기념 라이브에서 L.E.D.&wac으로 확정됐다. 레이어 및 로고 담당은 작곡명의가 형제였던걸 반영해 자매로 컨셉을 잡은 명의인 チャーム・シスターズ(챰・시스터즈).
원곡은 프란츠 리스트의 파가니니에 의한 대연습곡 중에서 6번째 곡인 "주제와 변주"[1] . 해당곡은 펌프 잇 업에서 Caprice of Otada란 곡으로 이미 리듬게임에 한번 등장한 적이 있다. 편곡은 원곡을 최대한 훼손하지 않는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원곡인 '주제와 변주' 의 BPM을 160으로 올려서 재생하면 DIAVOLO와 크게 차이가 없다는 점을 느낄 수 있다. 심지어는 L.E.D.가 편곡한 뉴스타일 개버 부분도 비슷하다. 들어보자.[2]
다음 작품인 tricoro에서 동일 명의 후속곡으로 Thor's Hammer가 등장했다.
2. 비트매니아 IIDX
싱글 어나더 플레이 영상
더블 어나더 플레이 영상
- 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19 Lincle ~
- 단위인정 수록
- SPH : 6단 (25 CANNON BALLERS)
장르가 '''초절기교연습곡'''인 만큼 고속 트릴이나 후반부의 빠른 계단 반복으로 난이도가 레벨 12중에서도 상급이다. BPM은 160으로 그렇게 높은 편이 아니라는게 그나마 인간적이지만, 종래 찾아보기 어려운 48비트의 초고속 왕복계단은 플레이어의 게이지를 왕창 깎아먹는다. 너무나도 빨리 떨어지는 탓에 보면상 계단의 경사는 완만해지는데, 이 때문에 일본의 투덱계에서는 DIAVOLO(와 Thor's Hammer)에 한해 계단이 아닌 '언덕'으로 부르기도 하며, 또 아티스트명을 따라 '배짱언덕'(度胸坂)이라 부르기도 한다.종전 방식 : 엑스트라 전용곡을 HARD 옵션을 사용해 정배치로 AAA 클리어
Lincle : 엑스트라 전용곡을 '''EX-HARD 옵션을 사용해''' 정배치로 AAA 클리어
최후반 3소절은 악몽 그 자체. 게다가 '''EX-HARD로 플레이해야 하기 때문에''' 클리어는 더욱 녹록치 않은 상황이였지만 예상 외로 클리어한 사람은 하루만에 나왔다. 정배치 기준으로 계단 구간 팁을 주자면 12/456/67 동시치기 반복 형식으로 치면 클리어에 한결 수월해진다 클리어 영상(니코동 계정 필요) (유튜브) 그리고 얼마 안가 풀콤자까지 떴다.풀콤 영상 더블 어나더의 클리어자도 나왔다. 난이도 평가는 비공식 난이도 12.3으로 헐화보다 약간 쉽거나 비슷하다는듯. 발광 BMS DP 측정표 기준으로 ★6~7이라는 평가가 있다. 2013년 9월, 한국에서도 풀 콤보가 나왔다. 플레이어는 Nari.영상
하지만 일반적인 클리어레이트는 상당히 낮은 편으로, 비트매니아 IIDX 20 tricoro 기준으로 싱글 어나더는 Plan 8 싱글 어나더와 함께 클리어 레이트가 단 5%밖에 되지 않는 흉악한 곡.[3] 현재도 클리어 레이트가 한 자리 수다(9%대...)
당연히 랜덤 노크가 사실상 불가능한 곡이기도 하다. 그도 그럴것이, 48비트 계단이 랜덤이 걸리는 순간 '''48비트 난타'''가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아무리 계단이 힘들다 해도, 난타로 되는 것과는 비교가 불가능하다.
BGA는 신작 범용 BGA에 VJ GYO가 담당한 레이어가 대응된 형태. 빨간색, 파란색을 띈 변종트란[4] 이 나와서 불을 뿜는다. 거기에 저 두 트란들의 현란한 스텝을 보고있노라면 참으로 괴이한 느낌이 든다. VJ GYO가 간만에 헐화 이후로 원 모어 엑스트라의 BGA를 담당했고, 트란이 처음으로 원 모어 엑스트라에 나온 사례 되겠다.
이 곡의 1/6박 이하 계단을 보고 BACO가 2007년에 제작한 BMS인 DENGEKI Tube[5] 를 연상한 사람 도 적지 않았기 때문인지 아예 전격튜브의 음원으로 DIAVOLO를 카피한 '''DIAVOLT'''라는 BMS 차분도 나왔다. 원곡을 알고 있다면 '''정말 위화감 없다.''' (니코동 로그인 필요) (니코동 아이디가 없으면 여기로.) 심지어 니코동 백과의 DIAVOLO(BEMANI) 문서에도 전격튜브가, 반대로 전격튜브 문서의 바깥고리에서는 본 곡이 언급된다!
예전에 'SOFT LANDING PARADISE'라는 패러디 BMS팩에 革命등의 괴 리믹스를 제공한 SUGI&OSAM 명의의 아티스트가 오랫만에 이 곡을 이런 방식으로 패러디했다. 혁명 소프란파라다이스 에디션처럼 BGA에는 라이온사의 '소후란'세제가 춤추며 배경에는 디아볼로나 디아블로를 연상케하는 유사 상표들이 슬라이드쇼로 반복된다. 난이도는 제대로 Overjoy 관상용 BMS 수준으로 파워업(!). 그러나 마지막에는 그냥 DIAVOLO 글자노트만 늘어져서 혁명같은 엽기적인 막판 반전 연출은 없다.
灼熱Beach Side Bunny와 합친 BMS도 존재한다. 의외로 잘 어울린다... 영상 클리어 영상도 있다(...)
2.1. 아티스트 코멘트
3. 유비트 시리즈
로케테스트 당시에는 일반 해금곡이었지만 정식 출시판에는 2012년 10월 8일 공개된 유비트 소서 시즌 1 지금만 해금곡 2번째 곡으로 등장했다. 이식곡 최초의 10레벨인게 특징.[7] 앨범 커버에는 IIDX 레이어에서 등장했던 배짱형제 트란이 그려져있다.
BSC 채보 영상(플라워 마커+핸드 클랩)
ADV 채보 영상(셔터 마커+핸드 클랩)
ADV 채보 영상(플라워 마커+핸드 클랩)
ADV 패턴은 익스트림에서 이빨이 굉장히 많이 빠졌지만 중반에 연속 세로긁기, 중후반에는 16비트 트릴이 등장한다. 개인차가 있긴 하지만 대부분의 유저들은 어렵다고 평가하는듯. Macuilxochitl과 비슷하게 풀콤보는 어렵지 않으나 SSS이상 스코어링은 꽤나 어려운 편이다.
EXT 채보 영상(셔터 마커+핸드 클랩+숫자)
EXT EXC 영상. 플레이어는 CORBY.QS
IIDX에서 계단으로 승부했다면, 유비트에선 패턴 대다수가 긁기(물결) 패턴이다. 초반에는 기본 멜로디를 소개한 뒤 동시치기를 낀 강화 패턴을 소개하며, 24비트에 마지막 노트가 3개짜리 동시치기인 부분이 등장한다. 16비트 물결 잠시 등장 후에는 12비트 구간이 등장하는데, 가운데 2개는 정박이며 양 옆의 2개의 노트가 12비트로 나와 전체가 12비트인 패턴. 그 직후에 등장하는 물결은 24비트이며, 16비트 물결에 초반에 등장하는 세로방향 트릴 후 나오는 긁기는 32비트이다. 이와같이 곡 전체에 16, 24, 32비트가 모두 존재하는데, 각각의 속도는 명확히 구분되기에 조금만 연구해보면 어디가 어느 속도인지 구별이 될 것이다. 뮤직바 상으로는 상당히 짧은 시간에 900개 넘는 노트가 등장하니 밀집도도 높은 편이지만, 이 곡은 단타보다는 긁기로 대다수를 처리하는 것이 매우 편하다.
거기에 중반부의 동시치기+상하단타 패턴과 2번 등장하는 상하긁기 패턴은 스코어링을 위해선 반드시 숙지가 필수하니 주의하자. 덤으로, 초반의 팔이 위아래로 왔다갔다 하는 동시치기는 IIDX의 BGA에 나오는 트란의 춤을 형상화한 것이다(..)
로케테스트 당시에 어떤 용자가 익스트림 채보 영상을 찍어 웹에 유출시켰었다. 비록 프레임은 낮지만 저 영상을 기반으로 누군가가 아이부기 채보를 제작하였다. 결국 소서 출시 한참 전에 익스트림 채보가 풀려버린 셈...[8] 웬일인지 코나미에서도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았고, 어쨌든 채보가 유출된 덕분인지 엑설런트가 쉽지 않은 곡임에도 곡이 풀린 날 엑설런트가 떴다.
4. 팝픈뮤직
클리어 영상
손배치 포함 '''퍼펙트''' 영상
괴도 BisCo의 예고장!! 이벤트를 통해 6월 17일 이식되었다. 天空の夜明け, C18H27NO3 이후 오랜만에 등장하는 이식곡 49레벨 EX 보면이다.
원래부터 IIDX에서도 최상급 라인에 해당되는 곡이었기에 많은 이들이 이식에 주목했는데, 아니나다를까, 팝픈뮤직 라피스토리아에서 출현한 49레벨 중 가장 어렵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EX의 경우 패턴이 상당히 악랄한 편. 초반부까지만 보면 딱히 크게 어려워 보이지 않지만 ,겹계단이 나오는 시점부터 보면의 난이도가 급상승한다. 겹계단 이후에는 교차 트릴과 자주 나오는 빠른 계단 패턴이 등장하며, 후반부에서는 투덱에서의 악명을 그대로 이어 미친듯한 계단 발광을 보여준다. 7키에 걸친 48비트 계단+세세하게 엇갈린 2중 계단으로 게이지를 왕창 깎아먹은 이후 약간 회복 구간이 나오는가 싶더니 최후반에 48비트 7531, 8642, 9753 계단(각 6번씩 나온다) 후살 패턴으로 확인사살한다. 이 후살의 순간 노트 밀도는 '''초당 32타'''로, 극한의 후살 밀도를 보여주는 差無来!!의 다음가는 수준. 이 48비트 노트를 하나하나 박자를 맞춰서 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안미츠로 처리해야 하는데,[9] 그렇다 하더라도 4개 동시치기를 12비트 연타/혹은 2개 교대동시치기를 24비트 트릴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다.
일본 헬위키 기준 클리어 난이도 위치는 '''49 상급'''으로 Zirkfied와 비슷한 위치에 있으나, 계단 안미츠 실력에 따라 개인차가 심하게 갈린다.
슈퍼랜덤 클리어 영상
슈퍼랜덤을 걸 시에는 곳곳에 포진된 48비트 구간 때문에 난이도가 한없이 오른다. 계단에서 어떻게 게이지를 남기는 데 성공한 극소수의 17 러너들도 너무나도 긴 후살에서 좌절하기 일쑤. 슈퍼랜덤 난이도는 50레벨 상위 곡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Lv19로 책정되었으며, 해금날로부터 한참 지난 9월 14일에서야 첫 슈랜클리어자가 나타났다. 클리어자는 칸지로 [10] 그 외 DA-SU라는 유저하고 Rustin이라는 유저가 클리어해 현재 클리어자는 총 세 명이다.
2017년 7월 19일 EX 보면의 첫 퍼펙트가 떴다. 달성자는 TATSU.
사족으로, 이 곡을 플레이할 때 나오는 트란은 3D 캐릭터이다.
4.1. 캐릭터 코멘트
[1] 파가니니의 카프리스 24번 가 단조를 프란츠 리스트가 편곡한 것. 피아노 문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피아노로 칠 수 있는 연습곡 중에서 사실상 최종보스 취급이며, 원곡도 바이올린계에서는 닿기 어려운 로망이라고 많이 인정된다.[2] 단, 이 버전은 잘 알려진 "파가니니에 의한 대연습곡(S. 141)" 버전이 아니라 1838년에 출판된 "파가니니에 의한 '''초절기교''' 연습곡(S. 140)" 버전이다.[3] Lincle Kingdom 최종보스곡이자 조건 만족시 이 곡 대신 출현하는 天空の夜明け보다도 어렵다. 天空の夜明け이 비공식 공략 사이트 기준으로 지력 A/A인데 DIAVOLO는 개인차S+/S+(...) 다만 계단에 매우 강하다면 매우 드물게 이 곡이 천공보다 먼저 클리어 될 수 있다.[4] 훗날 팝픈뮤직으로 이식되면서 "붉은/파란 배짱의 신"이라는 정식 명칭이 붙었다.[5] 전격튜브. 1/6~1/8박의 음계가 특징으로 정규 BMS의 어나더는 ☆12짜리로 후반부 가서야 두드러진다. 원래는 ☆11이었으나 ☆11 치고는 제법 어려워서 ☆12로 승격되었다. 발광 BMS 차분으로 붙은 노트들을 보면 거의 다 '''1/6박, 1/8박 계단으로 도배되어있다'''. 구 발광BMS 단위인정 오버조이 3번째 곡인데 1/8~1/16 박 발광구간으로 인해 여기서 폭사하는 사람이 많았다.[6] 굵은 글씨는 칭호 파츠.[7] 초대작에서 이식곡 4개가 10레벨이었지만 리플즈에서 9레벨로 강등당했다.[8] 물론 원본이 워낙 저질이라 한 두 군데 정도 박자가 틀린 부분이 있기는 하다. [9] The 5th KAC 팝픈 결승전 남성 부문에서 이 곡이 나왔는데, 결승 진출자 3명 모두 2개씩 뭉개서 치는 것을 볼 수 있다.[10] 이와 대조적으로 라피스토리아 최종보스 L-an!ma EX는 슈퍼랜덤 최강자 칸지로에 의해 해금 이틀째에 클리어 보고가 올라왔다.